화성행궁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 바로 ‘신풍루(新豊樓)’이다. 신풍루는 화성 행궁의 정문으로, 정조 14년인 1790년에 세운 누문이다. 처음에는 6칸으로 된 문을 세우고 조심태가 편액을 써서 ‘진남루(鎭南樓)’라고 하였다. 정조는 1795년에 문의 이름을 ‘신풍루’로 고치라고 명하여, 조윤형으로 하여금 다시 편액을 쓰게 하였다.

'신풍'이란 명칭은 일찍이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 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로 편액을 걸게 한 것이다. 정조는 이름을 고치고 1795년 을묘 행차시에 신풍루 앞에서 친히 참석하여 화성부의 백성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고, 굶주린 백성에게는 죽을 끊여 먹이는 진휼 행사를 벌리기도 했다.



2월 13일, 신풍루에 오르다

정조 18년인 1794년 가을 행궁을 대대적으로 증축할 때는 누대 양편에 군영을 설치하고, 정조 19년인 1795년에는 누문 앞으로 길이 114척, 넓이 35척의 돌다리를 설치하여 ‘신풍교’라 이름하였다.

2월 13일(월) 화성 행궁을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이나 간 곳이지만, 신풍루는 아래에서만 사진을 찍었을 뿐, 위로는 한 번도 올라가지 못했다.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출입을 금한다는 푯말 때문이다. 화성사업소에 들려 신풍루를 촬영하겠다고 허락을 받고 신풍루로 올랐다.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


신풍루는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123번지에 소재한다. 국립민속박물관에 보관중인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에는 신풍루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 신풍루 위로 올라보니, 팔달문 밑으로 놓인 행궁이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문밖으로는 팔달문에서 장안문으로 가는 도로와, 건너편 창룡문 쪽으로 가는 도로가 보인다.

아마도 이 행궁을 짓고 난 정조 당시에도 이곳 신풍루 앞은 이렇게 길이 나 있었을 것이다. 뒤로는 팔달산을 끼고, 앞으로는 넓은 도로를 볼 수 있는 곳, 이 신풍루의 누각에 올라 정조는 마음속에 담은 큰 뜻을 펼치려고 했을 것이다.




장초석으로 바친 기둥, 장엄함의 상징

6칸 규모의 중층 누각으로 지어진 신풍루는 위로는 누마루를 놓고, 아래는 3개의 얼문을 설치하였다. 정조는 나중에 왕위를 물려주고 이곳에 내려와 살 생각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그 행궁의 정문 또한 남다른 신경을 써서 축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어른 키만한 장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려 이층 누각을 받치게 하였다. 안쪽으로는 바깥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장초석을 사용하여 웅장함을 더했다. 삼문은 판문으로 해서 달았으며, 문의 좌우에도 판벽을 둘렀다. 이층 누각으로 올라가는 누각은 가파르다. 그만큼 누각을 높였다는 것이다. 누마루를 깐 이층에는 사방을 둘러 난간을 달아냈다.


이층 누각으로 오르면 좌우로는 남군영과 북군영의 지붕들이 보이고, 팔달산 쪽으로는 시원하게 공간을 내어 정전의 바깥 출입문인 좌익문을 만나게 하였다. 화성 행궁은 미로처럼 이어져 있다. 그 행궁의 문인 신풍루. 아마도 이 신풍루의 이름을 직접 지은 정조는, 이 누각 위에서 강한 군주가 통치하는 나라를 그렸을 것이다.

세계문화유산 화성을 걷다(8) - 서장대와 서노대

화성을 한 바퀴 돌다가 보면 사방이 한 눈에 들어오는 곳이 있다. 바로 ‘화성장대’라 불리는 ‘서장대’이다. 서장대는 팔달산의 산마루에 있는데, 서장대 위에 올라가 사방을 굽어보면 사면팔방으로 모두 통하는 곳이다. 석성산의 봉화와 대항교의 물이 한 눈에 들어온다. 이 산 둘레 백리 안쪽의 모든 동정은 앉은 자리에서 변화를 다 통제할 수 있다는 곳이다.


서장대, 한 때 어느 취객에 의해 웅장한 서장대가 불에 타기도 했다. 그러나 <화성성역의궤>에 의해 다시 옛 모습을 찾았다. 그 문지방 위에는 정조임금께서 쓰신 큰 글자인 [화성 장대(華城將臺)]로 편액을 붙였다.

정조 이산의 꿈은 무엇일까?

정조임금은 이 장대에 올라 장용위 군사들을 호령했다. 이산은 이곳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강력한 왕권을 갖고 북진을 하여, 옛 고토를 회복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아마도 이 장대 위에서서 사면팔방을 바라보면서, 막힘없이 달려가는 병사들의 무한한 힘을 바라보았을 것이다.




장대에는 항상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그곳에서 담소를 나누기도 하고, 사랑을 엮어가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이곳에 깃든 이산의 꿈이 무엇인지를 생각한 사람이 있었을까? 난 늘 이곳을 올 때마다 생각을 한다. 아마도 이곳에서 정조임금의 꿈을 이 나라의 청년들에게 알려줄 수만 있다면, 저마다 큰 꿈을 키워나갈 수가 있을 텐데. 늘 그것이 아쉽다는 생각이다.

장대에는 모두 네모난 벽돌을 깔고 바깥에는 둥근 기둥 12개를 세웠는데, 그 높이가 각각 7척이고 이것을 팔각형의 돌기둥으로 받치었고 있는데 그 높이는 각각 3척 5촌이다. 위층은 한 간인데 사면에 교창을 내고 판자를 깔아 바닥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그대로 아래층의 반자가 되었다. 그 서북쪽 모퉁이에 층사다리를 세워서 위층으로 통하게 하였다.




다연발 화살을 쏘아대는 노대

서장대의 뒤에는 ‘서노대’가 자리한다. 원래 노대는 <무비지(武備志)>에 설명하기를,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야 하며 대 위에 집을 짓는다고 하였다. 그 모양이 전붕과 같이 하고, 안에는 화살을 쏘는 노수가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노대의 설명을 보면 「현재의 노대는 그 제도를 본떠서 짓되 약간 달리 하였다. 집을 얹지 않고 대를 8면으로 하되 깎아지른 듯이 우뚝 서있게 지었다. 면마다 아래 너비 각 8척 5촌, 위의 줄어든 너비 각 각 6척 5촌, 높이 12척, 지대 위에 체벽으로 면을 만들고, 돌을 깎아 모서리를 만들었다. 위에는 장대를 얹고 凸 모양의 여장을 7면에 설치하였다.」




고 하였다. 장대 쪽으로는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으며, 상부를 둘러 총안을 낸 여장을 둘러놓았다. 대 위에는 네모난 전돌을 깔았는데 아마도 이곳에서 쇠뇌를 쏘았을 것이다. 쇠뇌란 다연발로 발사하는 화살을 말한다. 쇠로 된 발사 장치를 갖고 있는 이 쇠뇌는 가공할만한 파괴력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정조임금 이산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사방이 훤히 바라다 보이는 이곳에서 군사들의 움직임을 내려다보는 정조는 더 강한 군사력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많은 군사들의 위용을 보고 있는 조정 대신들의 모습도 살펴보았을 것이다. 미처 이루지 못한 이산의 꿈을 지금 이 땅의 젊음에게 전해줄 수는 없는 것일까? 철모르는 사랑타령을 하고 있는 한 젊은 연인이 조금은 아쉬운 까닭이다.

전라북도에는 ‘삼한(三寒)’이 있다. 세 곳의 찬바람을 맞을 수 있는 곳이라는 이야기이다. 그 하나는 전주천 가에 자리하고 있는 ‘한벽당(寒碧堂)’이요, 또 하나는 남원의 ‘광한루(廣寒樓)’이다. 그리고 남은 하나가 바로 무주에 있는 ‘한풍루(寒風樓)’라고 한다. 세 곳 모두 물에 가까이 있어 시원한 바람을 맞기에 적합하다.

한풍루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한풍루가 언제 지어졌는가는 정확지가 않다. 다만 14세기경에 지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동국여지승람』무주 누정조에는 ‘한풍루재객관전’이라고 적고 있어, 한풍루가 객관에 달려있는 건물임을 밝히고 있다. 한풍루는 선조 25년인 1592년에 왜군의 방화로 소실되었던 것을, 현감 임환이 다시 지었다.


한풍루의 수난, 그러나 당당한 자태로 남아

한풍루는 누마루 밑으로 어른들도 지나갈만한 높이로 지어졌다. 정면 세 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인 정자는, 이층 누각을 계단을 이용해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한풍루의 주초는 네모난 모형으로 돌을 다듬어 사용하고, 그 위에 원형의 기둥을 세웠다. 전체적으로 보면 당당한 자태가 남아있어 ‘호남제일루’라고도 부른다.

한풍루는 수난의 역사를 당했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임환이 다시 지었으며, 그 뒤에도 몇 차례 중수를 하였다. 이러한 한풍루는 한 때는 일본인의 소유로 넘어가 불교포교당으로 사용이 되기도 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금호루’란 명칭으로 바뀌기도 했다. 수난의 역사를 당한 한풍루는 1971년에야 제 이름과 옛 모습을 찾았다.




아름다운 우물천정, 그러나 굳게 닫힌 문

밖에서 올려다 본 한풍루는 아름다웠다. 주심포계로 지어진 누정은 우물천정을 하고 화려한 색채로 그림을 그려 넣었다. 기둥 밖으로 뺀 누마루에는 난간을 둘러 멋을 더했다. 이층으로 올라가 한풍루의 풍취를 느껴보고 싶은 마음이다. 그러나 누각으로 오르는 출입구에는 널판으로 짠 문이 굳게 닫혀 있다.

도대체 문화재 보호를 한다고 하면, 이렇게 문을 달아 잠가버리다니. 그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싶어 찾아간 곳이지만, 가는 곳마다 이렇게 문을 달아 닫아놓기가 일쑤다. 문화재보호라는 것이 문을 닫아야 가능한 것인지. 물론 화재 등 위험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이겠지만, 하루에 몇 시간만이라도 개방을 할 수가 없는 것인지.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는 나로서는, 이렇게 문이 잠긴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참으로 난감하다. 같은 문화재인데도 불구하고 문을 잠그지 않아도 보존이 잘 되는 곳은 얼마든지 있다. 이렇게 문을 잠근다고 해서 문화재 보존을 잘 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이렇게 잠가버리고 나서 제대로 간수조차 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최선책은 아니라는 것이다.

누각에는 글귀가 적힌 현판이 걸려있다. 그러나 오를 수 없는 누각 위에 있는 글귀를, 아래에서 읽을 수는 없는 일이고보면 답답하기만 하다. 위로 올라 주변 풍광을 볼 수가 있다면, 더 아름다운 모습을 적을 수 있을 텐데. 보존이라는 명분으로 그저 꽁꽁 닫아버린 문이 못내 아쉽기만 하다.


통일신라 때인 신문왕 11년(691년)에 남원에 지어진 용성관. 용성관이 당시에는 어떻게 사용이 되었는가는 확실치 않으나, 조선조에 들어서는 이곳을 객사와 같은 형태로 사용했던 것으로 본다. 이 용성관을 객사로 보는 이유는 조선 태조를 상징하는 패를 모셨다는 점에서이다.

조선시대의 객사는 양편은 숙소로 사용하고, 중앙에는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행하는 장소로 사용하였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용성관도 객사와 같은 형태로 보는 것이다. 용성관의 딴 이름은 백성을 돌보는 곳이란 명칭의 ‘홀민관(惚民館)’이라고도 했다. 용성관은 남원 광한루원과 삼국지에 나오는 관운장을 모신 ‘관왕묘’와 더불어, 남원을 상징하는 3대 건물로 일컬을 만큼 그 규모가 컸다고 한다.

용성초등학교 입구 계단이 용성관의 흔적이다.

정유재란 때 불타버린 용성관

용성관은 조선조 선조 30년인 1597년 일본이 141,500명이라는 엄청난 대군을 몰아, 조선의 하삼도를 공격한 정유재란 때 불에 타버렸다. 당시 일본군은 남해·사천·고성·하동·광양 등을 점령한 후, 구례를 거쳐 전 병력으로 남원을 총공격하였다. 그만큼 남원은 일본에 있어서는 치욕의 장소이기도 했다. 이복남을 위시한 조선군은 죽기로 각오를 하고 일본군과 격젼을 벌였으나, 수의 열세로 인해 남원성이 함락되었으며, 이 때 용성관도 불에 타버린 것으로 보인다.

그 뒤 광해군과 조선조 숙종 때 다시 축조를 하였으나, 6.25 한국전쟁 때 또 다시 소실이 되었다. 용성관의 지표조사 때는 수많은 유물들이 발견이 되었는데, 1995년 용성관지 지표조사 때 출토된 유물들로 귀목문 암막새, 전돌, 철못, 다수의 와편 등 모두 50여점이 발견이 되었다.




용성관이 당시 얼마나 장중한 객사의 형태로 지어졌는지를 알 수가 있는 것은, 현재 남아 있는 석물의 받침부의 길이가 70m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정유재란 때 일본이 5만의 군사를 동원해 남원을 공격한 것도, 알고 보면 당시 남원의 위상이 대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용성초등학교 계단에 흔적이 남아

용성관지에는 1906년 6월 객사인 용성관을 용성공립보통학교로 바꾸어 개교를 하였다. 그러나 6.25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전소기 되었으며, 그 뒤 현대식 건물로 고쳐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용성초등학교 본관 건물을 보면, 층계 두 계단이 다른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양편에는 석물이 보인다. 이것이 바로 용성관이 남긴 석물이다.

계단 양편에 놓인 석물에는 꽃이 조각되어 있다. 이 석조물이 언제 적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다. 그리고 학교 건물 앞 기단부도 옛 장대석을 사용하였다. 건물에서 차도 쪽으로 돌아 나오다가 보면 철책으로 둘러친 곳에 많은 석물들이 보인다. 이 석물이 바로 용성관에 사용되었던 것을 모아 놓은 것이라고 한다.



석물의 크기에 압도당해

남원시 동충둥 용성초등학교 교단으로 되어 있는 석물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04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계단 맞은편 교정에 있는 석물들은 그 모양만 보아도, 옛 용성관의 위용을 가늠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중앙에 있는 석물은 크기가 엄청나다. 사각형인 이 석물은 한편이 2m가 넘을 듯하다. 그런 사각형의 돌에 한쪽으로 치우쳐 둥그런 구멍이 있다. 아마 무엇인가 기둥을 새웠던 자리인 듯하다.



그 외에도 잘 다듬은 석주하며 주춧돌이 있다. 이런 석물들의 모양으로 볼 때, 용성관의 화려함이 상상이 간다. 지금은 석물 몇 점만 남기고 있는 용성관. 복원을 하기 위한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저 석물만 남긴 채 역사의 뒤안길로 숨어들고 말았다. 그래서 슬픈 역사가 아닌지 모르겠다. 역사는 그래서 인간과 같이 희로애락을 반복되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