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를 찾아다니다가 보면, 참 있어야 할 곳에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어찌 우리 선대들은 그렇게 자연을 잘 아셨단 말인가?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너무나도 자연에 대해 무지하다는 생각이다.  

 

전북 무주에서 19번 국도를 타고 장수방향으로 가다가 만난 정자. 장수 IC 진입로 1km 전방쯤에 정자가 서 있다. 얼핏 그냥 지나치다가 발견을 했기에, 다시 차를 돌려야만 했다. 도로변에 있는 작은 언덕에 올라앉은 정자. 계단을 오르니 밑에서는 느끼지 못한 바람이 불어댄다. 정자 이름이 풍욕정이다. 바람으로 목욕을 하는 정자라는 뜻이다.

 


  
호남의 마지막 선비라고 칭하는 서예가 강암 송성용 선생의 글씨다.

 

장수군 계남면 호덕리. 장계면과 계남면을 잇는 곳이다. 이 정자는 장계와 계남면의 유지 15명이 친목을 도모하고, 시와 학문을 강론하기 위해 1962년 건립했다고 한다. 지어진지는 얼마 되지 않았으나 정자 안에는 10여 개가 훨씬 넘는 게판이 걸려있다. 풍욕정이란 현판의 글씨는 강암 송성용 선생이 썼다고 한다.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1913~1999)선생은 20세기 호남을 대표하는 서예가이다. 겉과 속이 모두 선비라는 말이 누구보다도 잘 어울리는 대쪽이라는 표현이, 강암 선생을 평하는 가장 좋은 말이라고 한다. 그러한 분이 풍욕정의 현판을 썼다고 하니, 선생도 이 풍욕정에 대한 마음이 남다른 것이었나 보다.

 

  
정자 안에 걸린 게판. 15개 정도의 게판이 걸려있었다.

정자 안을 가득 메운 게판들. 아마 게원들이 쓴 글인듯 했다

 

계남면에는 예전부터 반상을 가리는 유교사상을 가진 어른들이 많았다고 한다. 그런 분위기가 이 정자를 짓게 했을 것이다. 친목도모와 학문을 강론하기 위한 정자로 지었다는 것만 보아도, 그러한 마음을 읽을 수가 있다. 정자에 오르면 밑으로 흐르는 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인다. 장안산과 싸리재에서 발원한 유천이 계남들의 복판을 가로 지른다. 멀리 뻗은 도로가 시원한 바람을 일구어 오는 길목으로 자리를 잡았나보다.

 

금계포란형의 명당이라고 일컫는 계남면의 도로변에 우뚝 솟은 둔덕에 올라앉은 풍욕정이, 그러한 명당의 정점인지도 모르겠다. 정자 앞에는 15명의 계원명단이 적힌 비가 서 있다. 그리고 정자 안을 가득 채운 게판들이 걸려있어, 풍욕정이 오래 된 정자인양 보인다.

 

정자가 제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찾아야 한다. 그리고 바람이 이는 정자에 올라, 그 정자를 사랑해야만 한다. 수도 없이 퇴락해져 가는 정자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팠다. 그런 시기에 만난 풍욕정은 정자에 대한 희망이었다. 예전에는 양반들의 상징으로 정자가 보였다. 하지만 단지 양반들만이 정자를 지었을까? 논두렁에 떡하니 앉아있는 모정은 바로 민초들의 정자였다. 산간벽지에 작은 통나무로 지은 정자는 산사람들의 정자였다. 여러 형태로 만들어지고 퇴락했지만, 우리 민족의 정자는 계층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표현이 되어왔다. 다만 양반가의 정자들이 그 기능을 다하고, 보존이 잘 되었다는 것뿐이다.  

 


  
해가 설핏 서산에 걸렸을 때 찾은 정자. 마치 한 폭의 수묵화 같았다

 

바람이 부는 날, 바람결에 찾아 오른 풍욕정. 그저 어디 하나 막힘이 없이 사방이 탁 트인 곳에 자리를 하고 있다. 나뭇잎이 다 떨어진 키 큰 나무 한 그루가 곁에 지키고 있었지만, 찬바람이 있어 좋은 정자였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