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어이가 없다. 어제 저녁 절 사무일을 보고 있는 사무장이 다급하게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 무슨 일인가 해서 나가보았더니, 누군가 법당 안에 놓아 둔 저금통을 털어갔다는 것이다. 손에는 부서진 저금통 3개와 검은 비닐봉투 안에 든 10원짜리가 있다. 누군가 법당 안에서 저금통을 들고 나가, 절 근처에서 돈을 빼가고 버린 것이다.

선원사는 ‘스님짜장’을 하는 곳이다. 일 년이면 거의 3만 그릇에 가까운 짜장봉사를 한다. 그렇기에 그 재원의 일부라도 마련하고자 생각한 것이, 바로 작은 저금통이다. 하나를 꽉 채워보아야 2만 원정도가 들어간다. 그래도 저금통 하나를 꽉 채워주면, 80명 정도에게 짜장 공양을 할 수가 있다.

스님짜장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저금통. 많은 분들이 이 저금통을 채워 함께 동참을 하신다.

바늘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데

어제는 절집 사람들이 모두 김제 금산사에 ‘모악산금산사개산대제’에 참석을 하느라 절이 비어있는 시간이 있었다. 아마 그 시간에 누군가 돈을 탄 것 같은데,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번에도 누군가 손을 탄 적이 있었다.




골목 길가에 버려진 저금통. 찢고 태워서 안에 있는 돈을 다 꺼내고 10원짜리만 버리고 갔다.

동전통을 들고 가 안에 있는 돈을 다 꺼내고, 10원짜리만 근처에 버려 놓았다는 것이다. 근처에 사시는 분이 골목길가에 버려진 저금통을 보고 연락을 해 주셨다는 것(어제 파르르님이 요즈음 아이들은 10원짜리를 돈으로 알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이 도적님 이런 것을 보면 아이임에 틀림이 없다는 생각을). 그런데 이 도적님이 하나 모르는 것이 있다. 바로 선원사에는 CCTV가 7대나 돌아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선원사에는 보물인 철조여래좌상이 계시다. 절마다 의무적으로 문화재가 있는 곳에는 CCTV를 설치하게 되어있다. 선원사 경내에 설치된 이 카메라는 20일 동안 녹화가 가능하다. 지난번에도 이 카메라가 문제를 해결한 적이 있다. 이 카메라를 피해 절 안으로 들어올 수는 없다. 그저 보고도 못 본체 하는 것일 뿐.


선원사 경내에 설치된 CCTV화면. 7대나 되어서 경내로 들어오면 모두 다 찍히게 된다. 확대도 되기 때문에 누군인지도 알 수 있다. 20일 분의 녹화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번에는 양상이 다르다. 하나가 셋이 되었다는 것은, 손이 타는 일이 그만큼 늘었다는 것이다. ‘바늘도둑이 소도둑 된다.’는데. 그냥 넘어가면 딴 곳에 가서 더 나쁜 일을 저지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2일 분만 돌리면 카메라에 누가 이런 짓을 했는지 다 알아낼 수가 있기 때문에 잡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꼭 그렇게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절집 안 분들도 의견이 갈린다. 당장 잡아서 벌을 받게 해야 한다는 분들과, 이번까지는 용서를 해 주자는 분들이다. 아마 이렇게 사람이 없을 때를 노리는 것을 보면, 근처에 있는 사람의 짓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공고를 하기로 생각을 했다.

“저금통 들고 가신 도선생. 48시간의 여유를 주겠습니다. CCTV로 바로 누군지도 알 수 있습니다. 제 발로 걸어와 잘못을 빌면 용서를 하겠습니다. 48시간이 지나면 바로 화면 캡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잘 아시겠죠?”

천년 신라고찰이라는 '북지장사'. 소나무 숲길 1.5km를 걸어 만나게 되는 이곳은, 대구 올레길 제1코스에 해당한다. 터벅거리고 걷기 좋은 이 길을 걷노라면 심신의 피로가 가시는 듯해서 좋다. 절 안에 들어가면 참으로 즐거움이 더해진다. 우선은 문화재를 만나는 것도 그렇지만, 경내 한 복판에 허름한 불 떼는 집이 있기 때문이다.

바삐 절 안을 이리저리 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있는데, 삼층석탑 옆에 한 꼬마공주님이 눈에 띤다. 이런 선녀가 너무 빨리 하강을 하셨나보다. 하긴 이곳은 때묻은 속세가 아니니, 이곳에 하강하셨다고 나쁠 것은 없지만. 그래도 이 여린 공주님께서 제발 세상으로 나가시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꼬마공주의 표정에서 극락정토를 만나다

극락이 따로 있을까? 혼 경내를 혼자 돌아다니면서 놀고 있는 꼬마 공주님. 방년 나이 3세가 된 예진이라는 아이다. 그 표정이 얼마나 해맑은지. 혼자 보기가 아쉽다.










(주) 예진공주님을 보셨거든 한 말씀씩 필히 달고 가셔^^

우리나라의 석탑 중에서 가장 특별한 석탑을 꼽으라고 한다면, 당연히 지리산 대원사에 소재한 보물 제1112호인 ‘대원사 다층석탑’일 것이다. 경남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에 소재한 지리산 대원사는, 손꼽히는 참선도량 중 하나로서 지리산의 절경과 잘 어우러진 사찰이다. 경내 사리전 앞에 서 있는 이 다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8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으로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일부만 남아있다.

이 탑이 왜 특별한 것인가는 한 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기단부 모서리 기둥 모양을 본 떠 만든 문인상이 네 귀퉁이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웃기단부 사면에는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으며, 탑은 붉은 기운이 감돌고 있다. 석재나 형태 모두가 일반적인 석탑과는 다르다.


어렵게 들어가 본 다층석탑

대원사 다층석탑이 서 있는 곳에는 일반인들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곳이다. 그 동안 두어 번 대원사를 찾았지만, 밖에서 탑의 윗부분 밖에 볼 수가 없었다. 이번에는 큰 맘 먹고 찾아갔던 차라 종무실에 허락을 받고나서야, 잠시 사진만 조용히 찍고 나오겠다는 허락을 받고 안으로 들어갈 수가 있었다.

이 탑은 646년 신라의 자장율사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높이 6.6m의 탑이다. 석탑 앞에 있는 배례석에는 조선조 정조 8년인 1784년에, 다시 세웠다고 새겨져 있다. 그 후 1989년 해체복원 때에 58과의 부처님 사리와, 사리를 넣는 사리장엄구편이 발견이 되었다.




상상을 초월하는 다층석탑

그저 밖에서 바라다볼 때는 붉은 색이 감도는 탑으로만 여겼다. 그러나 안으로 들어가 보니, 전체적인 모습에서 다른 석탑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한 마디로 상상을 초월한 모습이다. 2단의 기단부에 8층의 탑신을 올렸는데, 기단 맨 위 갑석을 일층으로 삼아 전체를 9층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석탑의 경우 짝수로 몸돌을 올리지를 않기 때문이다. 상륜부에는 탑의 높이와 비례가 되는 찰주가 솟아있다. 그 밑으로는 보주와 복발이 남아있다. 전체적인 상륜부는 보존되지 못했다고 해도, 남은 것만으로도 탑의 모습을 한결 신비롭게 만든다.



2단의 주름이 있는 지붕돌은 약간 투박한 듯하며, 각 지붕돌의 처마는 두껍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 들려있다. 맨 위 8층 지붕돌에는 금방이라도 맑은 소리를 내며 경내를 잠 깨울 풍탁을 달아놓았다. 현재 달려있는 풍탁은 아마도 후에 달은 것으로 보인다.

기단석 사방 모서리를 받친 문인석, 그 이전에는 무엇이?

임진왜란 때에 탑이 파괴가 되자, 정조 8년인 1784년에 다시 세웠다는 대원사 대층석탑. 8층이나 되는 탑은 높지만 전체적으로 체감비율이 뛰어나다. 조각은 웃기단부 사면에 새겨 놓은 사천왕상뿐이다. 이 탑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는 탑에서 서광이 비치고, 향기가 경내에 가득했다고 한다. 또한 마음이 맑은 사람은 근처 연못에 비친 탑의 그림자로 탑 안의 사리를 볼 수 있었다고도 전한다.



이 탑의 기단부 모서리에 세운 문인상은 왜 세운 것일까? 이 문인상이 조선 정조 때에 탑을 새로 고쳐 세울 때,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대신하여 세웠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 다층석탑의 사방 모서리에는 무엇이 있었던 것일까? 웃기단부 돌이 일층 몸돌보다 작은 것을 보면, 처음부터 사방에 무엇인가가 몸돌을 받치고 있었다는 뜻이다.

문인상을 사방에 세운 이유도, 그리고 그 이전에 있었던 모서리의 모습도 다 궁금하다. 외국인들까지도 이 탑의 아름다움에 반해, 출입금지 구역인데도 들어와 열심히 촬영을 한다. 우리나라의 많은 석탑 중에서도 독특한 형태를 갖고 있는 대원사 다층석탑. 처음으로 전체를 다 볼 수 있었던 다층석탑은, 오랜 시간 눈앞에 아른거릴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