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의 굴뚝은 나름대로의 독립된 조형미를 자랑하고 있다. 그런 궁의 굴뚝에 비해 사대부가의 굴뚝들은 어떤 모습일까? 한 가지 우려가 되는 것은 사대부가들이 선호하는 와가(瓦家=기와집)’의 담장을 보면 밖에서 안이 들여다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다. 아주 드물게는 그 담장 밖으로 삐죽 머리를 내민 굴뚝을 볼 수도 있다.

 

사대부가의 굴뚝은 어떤 모습일까? 사람들은 사대부가의 굴뚝은 당연히 높을 것이라고 생각을 할 것이다. 그러나 생각 밖으로 사대부가의 집 굴뚝은 작고 낮다. 물론 이렇게 일률적인 굴뚝의 형태가 처음부터 그렇게 낮고 볼품이 없었는지 정확지가 않다. 문화재로 지정된 집들을 보수를 하면서, 닮은꼴로 바뀌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남산골의 굴뚝들은 궁궐 굴뚝의 닮은 꼴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에는 여러 채의 한옥들이 있다. 물론 처음부터 그곳에 지어진 것은 아니다. 옮겨놓은 이 고택들의 집안을 둘러보면 지방에 있는 와가의 굴뚝과는 다르다. 한 마디로 남산골이나 북촌 등의 한옥들을 보면 궁궐 굴뚝과 같은 형태로 조성되었다.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의 굴뚝은 전돌을 사용했다.

 

해풍부원군 윤택영 댁 재실의 굴뚝도 전돌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당시 궁궐 인근에 있는 왕족이나 인척 등의 집 굴뚝들은 궁궐의 굴뚝과 흡사한 형태로 조성을 한 것으로 보아, 한양에 사는 장인들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기 때문은 아닌가 생각한다. 다만 그 형태도 비슷하지만, 궁궐의 굴뚝보다는 그 형태가 조금은 작기 때문이다.

 

지방에 있는 사대부가들의 집의 굴뚝은 어떤 형태일까? 근대에 들어서 지은 집들을 보면 굴뚝이 모두 지붕의 처마를 넘기고 있다. 그러나 조선조 중기에 지은 집들을 보면, 굴뚝이 절대로 용마루를 넘지 않는다. 그 굴뚝에는 어떠한 사고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지방에 산재한 많은 와가들의 굴뚝에는 나름대로 철학이 있다는 것이다.

 

 

논산의 한 고택에 들렸을 때 집을 관리하는 분으로부터 장시간 집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 분의 이야기를 빌리자면, 예전 사대부가의 사람들은 굴뚝을 왜 낮게 한 것일까? 그렇게 낮게 한 이유는 자연적인 것과, 인도적인 것이 있다는 것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96호인 아산의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와, 중요민속문화재 제186호인 함양 일두 정여창 가옥의 굴뚝은 지방의 와가 중에서는 높은 굴뚝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굴뚝 역시 용마루의 높이를 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외에 와가들의 굴뚝을 보면 모두 땅에서 1m 20cm ~ 1m 50cm 정도이다. 왜 이렇게 낮은 굴뚝을 조성한 것일까?

 

 

자연치유와 함께 겸손을 배운다고

 

양반가에서는 대개 참나무 장작을 사용했다고 한다. 소나무를 땔 때 나오는 연기에는 무슨 성분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옛날 분들은 그 연기를 몸에 쏘이면 피부병 등을 앓지 않는다는 것이다. 옛 주부들이 불을 때기 때문에 잔병치레를 하지 않는다고 했다는데, 양반이 되어서 아궁이 앞에 앉아 불을 땔 수는 없을 터. 그 연기를 쏘여 건강을 지켜냈다는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설마 그럴리가 하고 반문을 하겠지만, 어르신이 들려주신 이야기이니 믿고 넘어갈 수밖에. 또 한 가지 이유는 굴뚝을 낮게 만들어 그 연기가 집안에 골고루 퍼지게 하는 것은, 방액(防厄)의 효과도 있다는 것이다. 연기에 놀란 잡귀들이 멀리 달아난다는 것.

 

 

그리고 그렇게 낮은 굴뚝을 만들어 자신에게 항상 겸손을 깨우치라는 뜻도 있다는 것이다. 건강을 위한 것이란 것은 수긍이 간다. 하지만 굴뚝을 낮게 만들었다고 해서, 그것이 겸손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는 이해가 가질 않는다. 한 고택을 들렸을 때, 문을 낮게 만드는 것은 바람이 들어오는 것은 막고, 온기가 빠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는 말을 들었다. 더불어 항상 낮은 자세로 사람을 섬기라는 이유도 있다고 했다.

 

사대부가의 굴뚝에서 배울 수 있는 이유가 그렇다면, 가진자들의 굴뚝을 다 낮게 조성을 해주는 것이 어떨지. 여주 명성황후 생가의 굴뚝은 아예 연도에 구멍을 낸 자라굴뚝이다. 그래서 황후가 되었을까? 또한 거창 임종호 가옥의 굴뚝은 안채 앞에 모아놓았다. 갖가지 형태로 꾸며진 굴뚝. 양반가의 굴뚝도 나름대로의 멋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다. 집의 한 귀퉁이를 장식하는 굴뚝에도 철학이 있다는 것이 참으로 놀랍기만 하다.


강릉시 운정동에 가면 초당두부집들이 줄지어 있다. 그 곳에는 보물 제183호로 지정되어 있는 정자인 ‘해운정’이 자리 잡고 있어, 정자의 풍취를 느끼게 해준다. 그 해운정과 낮은 담을 사이로 두고 집이 한 채 자리하고 있다. 바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9호인 강릉 심상진 가옥이다. 이 집은 17세기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초당은 조선 광해군 때 강릉지역에 삼척부사로 역임한 허엽(1517~1580)의 호이다. 허엽은 허난설헌과 허균의 부친이다. 초당 허엽은 집 옆의 맛 좋은 샘물로 콩을 가공하고, 경포호의 깨끗한 바닷물로 간을 맞추어 두부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렇게 만든 두부의 맛이 좋기로 소문이 나자, 사람들은 앞을 다투어 두부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때부터 허엽은 두부에 자신의 호인 ‘초당(草堂)’을 붙이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보물 해운정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둔 가옥

초당 허엽이 초당두부를 처음 만든 것은 500년 전의 일이다.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뒤 운정동에 있는 심상진 가옥의 주인도 초당두부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1월 30일 강릉지역을 답사하다가 오랜만에 해운정에 들렸다. 강릉을 갈 때마다 해운정에 들리는 이유는, 정자로서의 남다른 품위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해운정을 돌아보다가 시간을 보니 점심을 먹을 시간이 한참이나 지났다. 답사를 하다가보면 언제나 때를 놓치기 일쑤다. 그래도 이렇게 바로 옆에 끼니를 때울 수 있는 집이 있다는 것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초당두부야 언제나 입맛을 즐겁게 한다. 더욱 해운정 바로 옆 심상진 가옥에서 하는 초당두부는 딴 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깔끔한 맛이 일품이다.

그러니 어찌 이곳을 마다하고 길을 나설 것인가? 먹을 것을 앞에 두고 답사를 한다는 것은 여간 고역이 아니다. 더구나 밥 때를 앞에 두었다면 더할 것이다. 그래도 이왕 이것을 왔으니, 심상진 가옥부터 찬찬히 둘러보기로 마음을 먹는다.



담장이 없는 ㅁ 자 형태의 집

심상진 가옥은 담장이 없다. 아마도 이런 풍광에 집을 짓는다면, 굳이 담장을 둘러야 할 필요가 없을 것도 같다. 담장이 없는 ㅁ 자 형태의 집이면서도, 나름 고택의 정취를 잘 간직한 집이다. 집 앞에는 ‘400년 전통’ 운운하는 현수막이 높다랗게 걸려있다. 심상진 가옥 바로 옆에 초당두부집은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아직도 살고 있어,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심상진 가옥. 앞으로는 세 칸의 사랑채가 장대석 축대 위에 자리한다. 이 사랑채는 바로 옆에 있는 해운정과 더불어 정자와 같은 느낌을 받게 만든다. 세 칸의 사랑은 바라보면서 좌측 두 칸은 방으로 드리고, 우측 한 칸은 대청으로 드렸다. 강릉 지방의 대청은 일반적으로 문을 달았는데, 그것은 아마 해풍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퇴청 마루를 놓고, 뒤편으로는 수직으로 두 칸의 온돌방을 드렸다. 사랑채는 ㄴ 자형의 평면 팔작집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앞으로 보이는 풍광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을 한 사랑채. 특별한 꾸밈은 없지만, 나름 넓게 펼쳐진 경포호를 감상하기에는 적격이라는 생각이 든다.




전통 건축미를 볼 수 있는 집

사랑채와 연결이 되어 있는 중문은 굴곡이 있는 문턱을 달아내었다. 넓지 않은 집이면서도 멋을 부릴 만큼 부린 집이다. 중문을 들어서면 우측으로 사랑의 아궁이가 있고, 바람벽을 판자로 달아내었다. 그러나 그 바람벽조차 꽁꽁 싸매지 않았다. 심상진 가옥의 여유는 이런 것에서 발견할 수가 있다.

안채는 정면 다섯 칸, 측면 두 칸이다. 바로 옆 해운정이 중종 25년인 1530년에 강원도 관찰사인 심언광이 지었다는 것을 볼 때, 이 집은 심언광의 후손이 뒤늦게 지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에 옆 해운정의 풍취를 넘어서지 않도록 지었다는 느낌이다. 아마도 담을 두지 않은 것도, 해운정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란 생각이다.



안채를 바라보면서 좌측으로 부엌과 두 칸의 방을 두고, 그 옆에는 대청을 두었다. 대청 옆에는 한 칸의 방을 마련했는데, 이 방은 툇마루에 난간을 둘렀다. 아마도 이 방을 안사랑으로 이용한 것이란 생각이다. 사랑채에서 꺾어진 방 사이에는 일각문을 두어, 바깥출입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주변 경관을 해하지 않는 겸손함이 배어 있어

안채에서 달아 낸 곳간채는 중문과 연결이 되어, 전체적으로는 막힌 ㅁ 자의 집이다. 안채와 달아낸 곳간채 사이에는 일각문을 내어, 집안에는 중문을 포함해 모두 3개의 문이 있다. 집안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동선을 최대한 편리하도록 꾸민 집이다. 안채의 앞으로는 넓지 않은 툇마루를 연결한 것도, 동선의 구성을 가장 편리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상진 가옥은 안채를 먼저 짓고 난 후 사랑채를 지었다고 한다. 옆에 두부집을 운영하면서 이 집에서 사람들이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집안에는 온기가 배어 있다. 집을 한 바퀴 돌아본 후 맛보는 초당순두부. 그 담백한 맛은 기분 좋게 집을 둘러보았기 때문이란 생각이다. 답사를 하면서 가장 좋을 때는 소중한 문화유산을 둘러 본 후, 입맛에 맞는 음식을 먹을 때가 아닐 런지. 그래서 난 아직도 속물이란 표현을 마다하지 않는다.


요월대(邀月臺), 달을 맞이한다는 누각이란 뜻이다. 전주 한벽당 옆에 조그맣게 자리한 이 정자는 흡사 한벽당의 부속건물처럼 나란히 서 있다. 이 요월대를 보면 문득 세상사가 생각이 난다. 잘난 사람 곁에서 늘 숨죽이고 살아가는 사람들 말이다. 하지만 이렇고 작고 보잘것없는 요월대가 있기에, 한벽당이 더 돋보이는 것이다.

한낮의 기온이 32도를 훌쩍 넘겼다. 가만히 있어도 숨이 턱턱 막히고 땀이 흐르는데, 요월대의 여름 경치를 보기 위해 길을 나섰다. 한옥마을 이목대 길을 한 바퀴 돌아 전주천으로 접어들어 찾아간 한벽당. 한벽당에는 사람들이 무더위를 피해 자리를 잡고 앉아있다. 바닥을 윤이 나게 닦아 반들거린다.


겸손을 일러주는 요월대

그 옆에 요월대는 흙발로 돌아다녔는지, 흙이 마루바닥에 그득하다. 한벽당을 치울 때 같이 좀 치워주었으면 더욱 좋았을 것을. 이 요월대를 돌아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남들보다 잘난 사람들이 거드름을 피워서는 안될 것이란 생각 말이다. 초라하고 볼품없는 요월대가 있어, 한벽당이 더욱 돋보일 수 있었다. 그렇듯 사람들도 못난 사람이 있어야 상대적으로 잘난 것을 알 수가 있다.

어찌 보면 세상살이가 그렇다. 무수한 사람들 가운데 조금 뒤처지고 부족한 듯해도, 그 사람들을 나무라면 안 된다는 것이다. 그 사람들로 인해 잘난 사람을 구별할 수가 있으니 말이다. 세상 사람이 잘날 수는 없지 않은가?




전라북도 유형문호재 제15호인 한벽당(맨 위)과 사방 한 칸으로 지어진 요월대.
굴다리쪽에서 본 요월대와 한벽당 쪽으로 드나들 수 있는 요월대.
 

이런 점을 보면 난 항시 한벽당보다 그 옆에 요월대가 더 소중한다는 생각을 한다.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한벽당과는 달리, 요월대는 맞배지붕으로 지어졌다.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정말 작은 정자이다. 그러나 누구랴 알았으랴, 왜 한벽당이 있는데, 굳이 그 옆에 작은 정자를 짓고 달을 맞이했겠는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라고 깨우치는 요월대

밖으로 나가 다리를 건너 요월대를 바라다본다. 전주천 맑은 물에 그림자를 내리 놓는 한벽당과는 달리, 요월대는 나뭇가지 속에 가려 보이자가 않는다. 요월대에서 맞이하는 달은 어떠할까? 저 멀리 동고산성의 동고사가 보인다. 그 밑으로 흐르는 전주천은 한벽당 앞을 지난다. 한벽당은 조선조 태정 4년인 1404년에 최담이 지은 정자로, 그 역사가 600년이나 되었다.




반향으로 본 요월대(맨 위), 한벽당과 달리 흙먼지가 가득한 요월대,
현판과 요월대에서 바라본 한벽당(맨 아래)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한벽당에 올라 시를 읊었다. 하지만 그 옆에 그저 있는 듯 마는 듯, 숨죽이고 있는 요월대에는 누가 다녀갔을까? 그러나 그 작은 정자에서 맞이하는 달오름이 얼마나 아름다웠으면, 따로 요월대란 이름을 붙인 것일까? 멀리서 보아도 숨어잇는 요월대. 한벽당을 올라야 들어갈 수 있는 요월대. 요월대는 우리에게 고개를 들지 말 것을 알려주고 있다.


요월대 앞 바위에 음각한 글씨와 다리 건너편에서 본 요월대. 한벽당과 달리 밖에서는 잘 보이지가 않는다.

스스로 감춰버린 정자 요월대. 자신을 내세우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이, 한벽당 보다 이곳에서 달맞이를 더 즐겼을 것이다. 그럼에도 보여주지 않는 구중궁궐의 규수와 같은 자태로 숨어있다. 그래서 오늘 요월대가 더 소중해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