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이 절에는 어마나 많은 사부대중이 살았던 것일까? 공양간에서 밥을 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전하는 개태사 철확을 보면서, 어림짐작을 하려고 해보지만 이해가 가질 않는다. 논산시에 소재한 개태사는 고려 태조인 왕건이 세운 사찰로, 철확은 이곳 주방에서 사용했다고 전하는 철로 만든 대형 솥이다.

 

이 철확은 벙거지 모자를 뒤집어 놓은 모양으로, 지름이 약 2m에 둘레길이 6.28m, 높이 97이다. 조선시대에 절이 없어지면서 벌판에 방치된 채 있던 것을, 가뭄 때 솥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비가 온다고 하여 여러 곳으로 옮겼다가, 일제강점기 때 서울에서 열린 박람회에 출품된 후 새로 건립한 지금의 개태사에서 보존하고 있다.

 

 

우주정에 얽힌 뜻은?

 

그러고 보니 개태사를 다녀온 지가 꽤 오래되었다. 가끔은 답사를 하고도 바로 글을 올리지 못하면, 이렇게 늦어질 수가 있다. 개태사에는 몇 기의 문화재가 전하고 있어, 그것들을 소개하다가 보니 철확의 소개가 늦어져 버렸다. 사실은 개태사를 찾아간 것도 철확 때문이었지만, 주객이 전도가 된 셈이다.

 

어쨌거나 문화재를 소개한다는 것은 순번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래도 조금은 자위를 해본다. 개태사 철확은 경내 한편에 우주정이라는 전각을 세우고, 그 안에 보관을 하고 있다. 전각 안을 꽉 채우고 있는 철확을 보면서, 이 전각의 이름이 우주정이라는 것이 이해가 간다.

 

 

우주를 담을 만한 우물이라는 뜻인지? 그렇게 큰 철확을 보관하고 있다는 뜻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 철확의 크기로 따진다면, 어찌 그 안에 우주인들 담을 수 없을 손가? 아마도 이 큰 철확에 우주를 담을 수 있는 수많은 사부대중들의 마음이 함께 했는가도 모르겠다.

 

초심을 지키는 것은, 문화재 답사의 즐거움

 

문화재를 만난다는 것은 늘 즐겁다. 그것은 나도 모르던 것을 하나씩 배워나간다는 생각 때문이다. 다 아는 것을 돌아보는 것과, 모르는 것을 하나씩 깨우치면서 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다르다. 그래서인가 참 답사를 다니면서 못된 버릇 하나가 생겼다. 몇 번씩 찾아간 문화재도 안내판부터 찬찬히 읽어 내려가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아무 것도 모르는 양, 초심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함이다.

 

 

사실 초심을 잃지 않는다는 것은 답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누가 하라고 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것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불이익을 당하는 것도 아니다. 하기에 초심을 잃어버린다면 시간 뺐기고, 물질 남아나지 않는 답사를 벌써 그만 두었을 것이다. 늘 새로운 것을 만나고, 늘 그것을 마음속에 담아두면서 길을 걸어야 제대로 답사를 할 수아 있다.

 

개태사 철확을 만났을 때도 그랬다. 개태사는 아마도 5회 이상은 찾아갔을 것이다. 아주 오래전에 대전에서 방송 일을 할 때부터 들리던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철확을 보는 순간 참으로 반가웠던 것은, 그 오랜 시간동안 여기저기 끌고 다녔음에도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깨어지고 많이 떨어져나가 온전한 모습을 아니라고 하지만, 그나마 남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솥 안에 동전 한 닢을 던져보다. 둔탁한 금속소리가 난다. 벌써 누군가 그곳에 동전과 지전을 던져 넣었다. 그 사람들은 무슨 소원을 빌었을까? 나는 그저 마음속으로 천년만영 잘 견디고 있기를 빌어보았다. 다음에 또 이곳을 찾아왔을 때도, 지금 그모습 그대로 볼 수 있기를.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