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임실군 오수면에는 고려 말인 1352경에 해경대사와 월산대사가 창건하였다 하여,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해월암이라 부르는 암자가 있다. 그 암자를 오르는 길은 걷기에는 조금 가파른 산길이다. 그 산길을 오르다가 보면 우측으로 내를 내려다보고 있는 정자가 있다.

 

신포정. 앞으로는 오수면을 가르는 내가 흐르고 있고, 여름이면 녹음이 우거져 많은 피서객들이 찾아드는 곳이다. 신포정에서 내려다보이는 개울에는 아직은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잡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아마도 아직은 이 내가 그래도 인간들로 인해 오염이 심하게 되지 않은 듯하다.

 

 

 

색다른 정자 신포정

 

개울가 벼랑위에 서 있는 신포정은 지금까지 보아왔던 정자와는 다르다. 정자의 출목에 돌출되어 있는 봉황의 조각이 세 곳으로 나뉘어져 있다. 일반 정자에서는 보기가 힘든 형태이다. 정자 안으로 들어가니 대들보 밑으로 청룡과 황룡이 머리를 내밀고 있다. 천정반자도 돌출되어 있어 특이하다. 그런데 황룡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청룡은 물고기를 물고 있다.

 

신포정은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지 않아, 정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어 아쉽다. 다만 정자의 여기저기를 살펴보니, 부재나 석물 등을 살펴볼 때 100여년 정도는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포정이라는 현판은 금산사의 현판을 쓴 사람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돌출된 천정반자를 보니 네 귀에 자라가 달려있다.

 

 

 

용과 자라가 주인인 신포정

 

물고기를 물고 있는 청룡, 그리고 반자에 달려있는 자라. 이것은 아마 이 앞을 흐르는 내가 예전에는 배가 드나들지는 않았을까? 누군가 이곳에 정자를 짓고, 포구를 드나드는 배들과, 섬진강 줄기를 따라 오르내리는 수많은 뱃사람들의 사연을 즐겨 들었을 것이다. 지금은 외롭게 서 있는 정자 신포정.

 

여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피서를 한다는데, 나그네들은 이 신포정에 얽힌 이야기 한 토막 알고는 있을까? 정자의 형태나 여러 가지 조각기법, 그리고 앞으로 흐르는 내를 보아 이 신포정은 또 다른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이야기조차 해 줄 수 있는 이웃을 만날 수 없음이 안타깝다.

 

 

 

주변에 물어보아도 신포정에 대해서 아는 이들은 없다. 그저 오래전부터 그곳에 서 있다는 것 외에는. 정자 밑을 흐르는 내를 보니, 예전에는 꽤 큰 물줄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은 외롭게 길가에 서 있는 신포정은 찾는 이들 조차 없이, 무심한 바람만이 골을 휘감아 돈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정말로 구석구석을 누비게 된다. 그러다가 가끔은 수지를 맞기도 한다. 수지를 맞았다니까, 무슨 재물을 얻은 것으로 아는 분도 있겠지만 그건 아니다. 사람 사는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즈음이야 세상 사람들 생각에 아름답게 사는 모습이라고 하면, 멋진 집에 좋은 환경. 그리고 멋진 차에 아름다운 사람들이 살아가는 드라마틱한 모습들을 연상하겠지만, 내가 사는 아름답게 사는 사람이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말한다. 한 마디로 지난 세월을 연상케 하는 그런 모습 말이다.

산청 지리산 대원사 경내에 세워둔 석등. 자연스언 바위 위에 얹은 간주석. 그리고 투구처럼 생긴 돌과 그 안에 들어있는 등잔이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다. 

자연스러움은 어디에나 있다

‘자연스럽다’ 과연 이 말은 얼마나 자연스러운 것인가? 이 말을 다음 국어사전에서 찾아보았다.

형용사 : 자연(自然)스럽다.

1. 억지로 꾸미지 아니하여 어색함이 없다.
2. 무리가 없고 당연하다.
3. 힘들이거나 애쓰지 아니하고 저절로 되다

이런 정도의 설명이다. 우리말이 상당히 표현력이 좋은 것에 비해서, 설명은 참 간단하게 표현을 하고 있다. 하기에 자연스러운 것을 복잡하게 설명한다는 것 자체가 자연스럽지 못할 수도 있다.

너무도 많이 변해버린 세상. 물론 많은 것이 좋아졌다고들 한다. 그러나 그 좋아진 것이 살기에 편해졌다는 것이지. 정말로 자연적인 사람들의 사는 모습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8월 13일 촬영을 위한 답사를 하면서, 산청에서 만난 그리운 모습. 그것이야 말로 정말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가 있는 그런 모습들이었다.


점점 잊혀가고 있는 그리운 모습들

사람들은 옛 기억을 가끔 해내고는 한다. 그것이 지금에 와서 별 의미가 없겠지만, 그래도 그런 지난 세월을 그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우연히 만난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는 여인. 어릴 적 참 많이도 보았던 모습이다. 서울에서 나고 자랐지만, 어릴 적에 동내 앞으로 큰 개울이 흘렀다. 당시는 물이 맑아 개울에서 피라미도 잡고, 물장구도 치고 놀았다. 그런 물이었으니 어머니들이 나와 빨래를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답사를 하다가 문화재를 찾아 들어간 마을. 그곳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참으로 아련한 추억이다. 물론 시골에 사는 분들이야 지금도 늘 볼 수 있는 광경이지만, 도심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에게는 참으로 아련한 기억 속에 남은 정경일 수밖에 없다.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는 모습과, 집앞에서 콩대를 정리하는 할머니. 그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움이었다.

자연은 그 모습만으로도 아름답다

그 모습이 그렇게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자연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모습. 그것이 바로 자연이었다. 조금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할머니 한 분이 집 앞에서 콩을 뽑아 정리를 하고 계신다. 누가 보거나 말거나, 그저 열심히 콩대를 가지런히 추스르고 계시다. 그 모습 또한 자연이다. 살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 아주 오랫동안 우리가 해온 행위인데도 불구하고, 잊혀 가고 있는 모습들. 그것이 바로 자연이었다.

또 한 마을을 들어가니 바위 위에 정자를 얹고, 그 정자에 앉아 붉은 고추를 자르고 있는 어머니도 보인다. 아주 까마득히 오랜 지난 시간에, 어머니의 모습이 거기 있었다. 가던 길을 멈추고 카메라를 꺼내든다. 그 모습을 농치기 싫어서이다. 그 안에 어머니가 있었다. 그리고 그 모습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있었다.

정자에 앉아 붉은 고추를 자르고 있는 모습. 바로 어머니의 모습이 거기 있었다.

간만이 자연스러움은 아니다. 그러나 자연스러움은 편해야 한다. 오랜 시간 몸에 배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정감이 가야한다. 그런 모습들을 만날 수 있는 답사. 그것이 바로 길을 나서게 하는 것이다. 그 길에서 나도 자연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