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를 찾아가기 위한 관광 상품 교육현장

 

팔달구 지동에 269-23에 소재한 ‘되살림 발전소’. 낡고 비워져 있던 집을 주인에게 무상으로 장기 임대를 해, 리모댈링 작업을 한 후 말끔히 단장을 하였다. 이 되살림 발전소는 그야말로 지동 지역의 살림을 되살리겠다는 취지로 마련이 되었다. 현재는 지동 벽화골목 프로젝트를 맡아 총감독을 하고 있는 유순혜 작가가 이곳을 거점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7월 11일(목), 지동주민센터 3층에서는 색다른 강의가 열리고 있었다. 주민 40여명이 열심히 신문을 손으로 오리며 열중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손재주를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라고 한다. ‘특색 있는 마을자립형 관광 상품 개발 · 판매’가 이 사업의 목적이라고 한다. 그 사업을 실행하기 위한 첫 단계가 시작된 것이다.

 

 

“먼저 자신감부터 찾아야 해”

 

“지금 이 자리에서 열심히 작업을 하고 계신 분들은 지동에 거주하시는 분들 중에서 몸이 조금 불편하시거나, 연세로 인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계신 분들이십니다. 이런 분들에게 마을에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드리기 위해, 이 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이죠.”

 

지동주민센터 기노헌 총괄팀장은 이런 분들이 소외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마음에 문을 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것을 치유할 수도 있으니 일석이조라는 것. 처음에는 서먹해 하던 분들이 이제는 함께 점심을 나누면서 이야기를 할 정도로 마음이 열렸다는 것이다.

 

 

“2개월 정도 주 2~3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교육을 마치고 나면 이분들에게 한지공예나 피혁공예 등 전문적인 공예기술을 가르쳐 드릴 것입니다. 강사진도 이미 확보가 되었고요. 그리고 이분들이 만들어 내는 공예품은 되살림 발전소와 지동 제일교회 노을빛 전망대를 찾아오시는 분들에게 판매를 해서 수익금을 이분들에게 돌려드릴 것입니다. 지금은 비록 서툴기는 하지만, 교육을 마치고 나면 이분들 스스로 공예품을 생산해 판매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죠.”

 

기초드로잉부터 공작까지 철저히 준비해야

 

어느 주민센터에서도 생각해 내지 못한 일들을 지동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이곳에 거점을 두고 있는 인적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런 인적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주민들과의 상호교류를 통해, 살기 좋은 지동을 만들겠다는 것.

 

 

“저희가 이런 교육에 눈을 돌린 것은 바로 이분들이 스스로 자아를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분들도 한때는 건강한 몸으로 자신의 일을 하던 분들이기 때문에, 그런 과거의 스스로를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하는 것이죠.”

 

강습을 받는 분들에게 일일이 지도를 하고 있던 유순혜 작가는

“이 사업은 지역공동체 일자리를 만들자는 것이죠. 이분들이 기초부터 꼼꼼히 교육을 마치고 나면, 가죽공예나 합지골격 등을 활용한 공예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능교육을 시킬 것입니다. 그리고 생산된 제품에 창작 작가들의 작품을 결합하여, 수원의 대표적인 관광 상품을 생산해 자립형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죠,”라고 한다.

 

 

2012년 마을르네상스 사업으로 조성한 지동마을 ‘되살림 발전소’를 거점으로, 문화와 예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주민 커뮤니티 활동을 통하여 마을에 활기를 불어 넣겠다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기초드로잉부터 공작(오리기, 접기, 접합, 탈색 등) 등 교육부터 시켜야 한다고.

 

“하루 종일 집안에서 할 일이 없으니 짜증만 부리고는 했는데, 이렇게 나와서 무엇인가 골똘히 만들다가 보니 하루가 어떻게 가는지 모르겠다. 교육을 잘 마치고 내 손으로 훌륭한 관광 상품을 개발 할 수 있도록 하겠다.”

 

불편한 몸인데도 불구하고 밝게 웃을 수 있다는 것은, 이미 그 마음이 열려있다는 뜻이다. 이분들이 남은 생을 그렇게 되살려 낼 수 있기를 기원한다. ‘되살림 발전소’가 마을의 옛 영화를 되살리는 것이 아니라, 지쳐가는 영혼까지도 되살려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외국에는 자신들의 문화콘텐츠를 이용해 많은 이득을 창출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무한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중국의 경우 자신들의 역사적인 문화재 등을 갖고, 그곳에서 이야기꺼리를 도출해 연극이나 영화로 제작,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한다.

24반 무예 시범. 화성 행궁 앞. 수원화성운영재단 자료


우리나라는 역사가 오래된 나라이다. 세계 어느 곳에 견주어도 자랑할 만한 유구한 문화와 문화재를 갖고 있다. 그러한 문화재를 이용한 문화콘텐츠의 활용은, 우리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어느 나라나 자신들의 문화를 갖고 있다. 아주 작은 책 한 권으로도 세계적인 명소로 발 돋음 한 곳도 있다.

화성과 화성문화재는 대단한 자원

수원 화성은 세계문화유산이다. 화성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축성한 성이라고 한다. 그 성을 보러 수원을 찾는 사람들도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화성의 유명세만큼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늘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만든다. 화성을 찾아오는 외국인들이 화성일부를 돌아보고, 행궁에 들린다.

행궁에서는 주말이면 신풍루 앞에서 각종 공연이 펼쳐진다. 또한 3월부터는 매일 무예24기를 볼 수 있으며, 장용영 수위의식 등도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제는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정조대왕의 능행차 연시도 한 몫을 거들고 있다.

그러나 이 많은 행사들이 과연 문화컨텐츠 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확언이 서질 않는다. 우리나라에 문화컨텐츠산업이 새로이 부각하기 시작한 것은 1999년부터이다. 문화산업은 2003년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연평균 21.1%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사진은 단편소설 '드라큐라'의 저자 <브램 스토커-다음 검색에서 인용한 사진)

이러한 성장률은 2001년~2002년 상반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6.1%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문화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는 각 지자체마다 자신들의 문화를 이용한 문화산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각종 문화콘텐츠는 지역 경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안동하회마을에서 열리는 탈 축제, 진주 연등축제, 3일간 열리는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와 의신면 모도일원을 연결하는 뽕할머니 바닷길 축제, 그리고 강릉의 단오제 등이다.

이 축제들은 이제 문화콘텐츠로 자리를 확실히 잡고 있으면서, 지역 수입원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 축제들을 보면 모든 것이 연계가 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성과 화성문화재의 볼거리는 연계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점을 감안해 더 질 좋은 상품을 창출해 내지 않는다면, 세계 최고의 문화유산을 갖고 있는 화성의 문화적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흡혈귀 드라큐라는 소설 속에 나오는 이름일 뿐

‘흡혈귀 드라큐라’는 소설가 브램 스토커의 단편소설의 책 이름일 뿐이다. 하지만 그 흡혈귀 드라큐라는 수많은 소재로 발전하면서 TV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가 아니라, 좀 더 매력적이고 섹시한 모습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좌측 사진은 토드 브라우닝 감독의 드라큐라 포스터 - 다음 검색 사진 인용)

중국 항주의 ‘송성가무쇼’는 송나라 때의 전설과 역사를 표현한 공연으로, 이제는 세계 3대 공연 중 하나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 쇼의 영어 제목은 ‘The Romance of the Song Dynasty’이다. 약 천 년 전 송조의 고도 항쪼우를 중심으로 한 신화와 전설, 자연 그리고 애뜻한 사랑 이야기와 치열했던 전쟁 등을 4개의 단막극으로 연출한 작품이다. <宋城千古情>이란 이 가무쇼는 그 규모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이 관객을 압도한다. 450명의 출연진이 한번에 3,000명이 관람할 수 있는 대형극장에서, 일 년 내 공연하는데도 연일 좌석이 만석이라고 한다.

중국 광쩌우의 극 '송성천고정'의 포스터 - 홈페이지 사진 인용


이런 점을 볼 때 화성과 행궁을 모티브로 삼아 이야기 줄거리를 엮어 상품을 만든다고 하면,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제는 판에 박은 공연보다는 좀 더 질 좋은 많은 문화콘텐츠를 개발해, 지역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주) 이 글은 '수원인터넷뉴스'에 실린 칼럼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