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거든 서산 상왕산 개심사로 가라왜 이런 말을 할까? 그것은 개심사의 가을은 일대 장관이 펼쳐지기 때문이다.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사찰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다. 절은 계절별로 느낌이 다르다. 그래서 이 계절에 찾아갈 만한 곳을 여러 곳 있다. 모두가 가을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서산 개심사를 비롯하여 경상도의 영주 부석사, 강원도의 고성 건봉사, 전라도 부안 내소사, 경기 한국민속촌 경내 금둔사 등이 가을에 더 아름다운 곳이다. 하긴 사람마다 느낌이 다 다르니 이렇게 아름답다고 표현하는 것은 주관적일 생각일 수도 있다. 하지만 가을이면 꼭 한 번씩 찾아가는 서산 개심사는 꼭 계절을 느끼기 위해 가는 것은 아니란 점이다.

 

 

스님, 너무 곡차를 많이 드신 것은 아니셨는지?”

 

개심사는 절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진덕여왕 5년과 백제 의자왕 14년에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다. 하지만 진덕여왕 5년은 651년이고, 의자왕 14년은 654년으로 다른 해에 해당한다. 아마도 지역으로 보아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 14년인 654년에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개심사의 대웅전 해체 수리 시 발견된 기록에 의하면, 조선조 성종 15년인 1484년에 대웅전을 고쳐지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보물 제143호로 지정되어 있는 개심사 대웅전은 고쳐 지을 당시의 모습을 거의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웅전을 바라보고 좌측으로는 요사로 사용하고 있던 심검당이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심검당을 만나면, 그야말로 파안대소가 터져 나온다. 심검당 좌측의 출입구 문을 보면 양편 기둥과 위에 놓은 들보가 모두 자연이다. 구부러진 나무를 치목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사용했다.

 

이 건물을 지으면서 스님들이 왜 치목을 하지 않은 것일까? 그날 심하게 곡차라도 한 잔 하시고, 귀찮아 그냥 나무를 올린 것일까? 아니면 자연이 좋아 자연을 그냥 목재로 사용하신 것일까? 그런데 개심사에는 이런 기둥이 심검당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안양루 우측 일각문을 통해 들어서면 만나게 되는 무량수각의 뒤편에도 이런 기둥이 보인다.

 

 

가을에 개심사를 찾아간 까닭은?

 

9일 찾아간 상왕산 개심사. 이미 가을은 개심사에 짙게 드리워져 있다. 구부러지고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한 기둥들도 가을과 더불어 개심사를 또 다른 자연으로 사람들을 불러들인다. 안양루 앞에 조성한 종각기둥도 예외는 아니다. 이 절은 그저 모든 것이 자연이다. 그래서 난 가을이면 개심사를 찾아간다.

 

명부전을 지나면 산신각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낙엽이 떨어져 수북이 쌓인 산길 또한 자연이다. 누구하나 이 산길에 떨어진 낙엽을 치우려고 하지 않는다. 스님들이 게으르기 때문이 아니다. 자연 그대로를 사람들이 마음껏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개심사에 가면 이 가을에 자연을 만난다.

 

 

사람들의 손길을 거쳐 아름답게 만들어진 자연이 아니라, 그저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자연의 극치란 생각이 든다. 해우소 옆에 커다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아직은 잎을 많이 달고 있지만, 날이 지나면 그 노랑 은행잎들이 모두 떨어져 해우소 지붕을 물들일 것이다.

 

가을이 되면 찾아가는 상왕산 개심사. 이곳은 모든 것이 자연이다. 나 스스로 그 안에 들어가 자연이 되고 싶기 때문에 난 개심사를 찾아간다. 내년이 와도 난 또 이 계절에 개심사를 찾아 스스로 자연이 되기를 원한다.

 

가을은 쓸쓸하다고 한다. 곧 바람 불고 추운 겨울이 오기 때문일까? 사람들은 가을이 되면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 한다. 가을을 만나기 위해서이다. 가을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뭉개지고 나서야

비로소 길이 된다

낮게낮게 겹쳐져

절룩이며 이은 길

바람의

느낌표 밟은

경북 영덕 그 어디쯤

 

언뜻 언뜻 내비치는

바다를 만지다가

스스로 어둠 택해

작은 빛이 되는 길

덧칠한

묵은 상처도

길 위에서 길이 된다.

 

우은숙 시인의 ‘7번국도라는 시이다. 7번국도, 이 가을에 달려가고 싶은 곳이다. 동해의 푸른 물살이 밀려드는 곳. 참 어지간히 그 길을 따라 걸었다. 특히 가을에 걷는 7번국도는 남다르다. 무엇인가 표현을 할 수 없는 그리움 같은 것이 그 길에 있었다. 천학정, 청간정, 영랑정, 의상대, 하조대, 경포대, 약천정, 만경대, 임해정, 죽서루, 해운정, 월송정. 그 많은 정자를 찾아 이 가을에 다시 7번국도를 걷고 싶다.

 

 

난 이곳을 떠날 수 없다

 

눈을 감아도 눈을 떠도 아련하게 밀려오는 곳. 7번국도의 정자들은 그렇게 나를 오라 손짓한다. 하지만 벌써 몇 해째 그 길을 걷지 못했다. 가을은 모든 사람들을 시인으로 만든다고 했던가? 그런 아름다운 길을 난 내 옆에서 찾는다. 하지만 이 길은 7번국도를 대신하는 길이 아니다. 이 가을 스스로 아름다워지는 길이다.

 

왜 이 길을 사람들은 아름답다고 표현을 하는 것일까? 화성의 화서문에서 서장대를 향해 밖으로 오르는 길. 그곳에 억새밭이 있었다.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좋다. 은색의 억새들이 가을을 노래한다. 사람들은 왜 이곳을 그냥 지나치는 것일까? 그 억새밭 사이로 몇 개의 길이 나있다. 사진께나 찍는다고 하는 사람들이 그 안으로 걸었기 때문이다.

 

 

울컥 울화가 치민다. 자신의 작품을 하나 만들기 위해, 아름다운 억새밭에 길을 만들어 놓다니, 이 억새밭은 작가들을 위한 밭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한 곳인데 말이다. 아이들이 그 억새를 배경을 사진을 찍는다. 차라리 그 아이들이 아름답다. 어려서부터 자연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아이들. 후에 어른이 되어서도 이런 몰지각한 행동은 하지 않을 것이다.

 

이 가을, 그대로 보내야 하나?

 

아름답다. 차라리 시 몇 줄 이라도 쓸 줄 안다면 이 가을을 그냥 보내지는 안았을 것을. 이 가을을 그냥 보낸다는 것이 왠지 가슴이 시리다.

그러니까, 시 공부를 좀 하셨어야죠. 괜히 미음만 아파하면 저 억새들이 함께 아플 거예요. 내년에는 이곳을 찾아와 시 한편 짓고 가세요.”

 

 

파워블러거 모임에 참석한 한 지인이 하는 말이다. 나 때문에 억새가 마음아파 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니 난 이 아름다운 가을을 글 한 줄 표현을 못하고 있다. 그래서 억새들이 마음 아픈 것일까? 그저 사진 한 장 담아내는 것으로 이 가을을 보내야만 하는 것일까? 차라리 손을 들어 브이(V)자를 만드는 저 아린아이들이 부럽다. 저 아이들이야말로 이 가을을 제대로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만추(晩秋)는 사람들을 시인으로 만든다고 했던가? 화성의 포루와 치성, 그 성벽과 아우러진 가을이 내 발길을 붙잡고 놓아주질 않는다.

 

가을이란다. 가을이 되면 사람들은 단풍이 아름다운 곳을 찾아 길을 나선다. 우리나라에는 단품의 명소가 많다. 설악의 붉은 단풍, 내장산의 아름다운 가을, 구룡령의 은은한 멋을 풍기는 가을, 그리고 부석사 입구의 은행나무 길 등, 곳곳에 단풍이 사람들의 발길을 끌어들이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아직 모른다.

 

수원 화성의 단풍을 보았는가? 이번 주말이 절경이라고 하는 화성의 단풍은 요란하지 않다. 그리고 먼 길을 힘들여 가지 않아도 눈이 즐겁고, 입이 즐거운 곳이다. 조선조 제22대 임금인 정조는 화성을 축성할 것을 명했다. 강한 국력을 상징하는 화성은 장용외영의 무예24기와 함께 최고의 걸작으로 꼽힌다.

 

 

화성 한 바퀴, 곳곳에서 즐기는 즐거움이 달라

 

화성은 평산성이다. 평산성이란 산과 평지를 연결해 쌓은 성을 말한다. 높지 않은 수원의 팔달산과 그 아래 너른 평지를 연결해 성을 쌓았다. 상 안으로는 광교산에서 발원하는 수원천이 흐르고 있어, 성 안 백성들이 가뭄을 걱정하지 않아도 좋게 만들었다. 거기다가 방화수류정과 용연을 마련해, 성이라기보다는 아름다운 축조물을 연상케 하는 곳이다.

 

그 화성에 가을이 깊었다. 멀리서 바라보는 팔달산은 온통 물감을 뿌린 듯하다. 울긋불긋한 단풍만 있는 것이 아니다. 노란 은행나무도 제 빛을 자랑한다. 바람이 불때마다 흔들리는 억새 또한 화성의 성벽과 더불어 묘한 감흥을 이끌어낸다. 무엇하러 고생하며 먼 길을 나설 것인가? 그저 눈앞에 펼쳐진 화성만으로도 가을은 이미 가슴속에 들어와 있는 것을.

 

 

천천히 성벽을 따라 걷는다. 까치 한 마리가 시끄럽게 울어댄다. 그 소리도 정겨운 곳이 소나무가 우거진 길이다. 소나무 가지들은 성벽을 넘나든다. 그 안에 무슨 볼일이라도 있는 것일까? 심호흡을 한 번 해본다. 눈에 보이는 색색들이 사람의 발길을 재촉한다. 어쩌면 느슨하게 마음을 먹었다가 절경을 놓칠 수도 있기 때문인가 보다.

 

펼쳐진 억새밭으로 연인들이 숨어들어

 

수원에는 단풍이 아름다운 곳을 가을철에 걷기 좋은 곳으로 지정을 했다. 팔달산 회주도로, 연무대 성 밖 길 등이다. 그저 걷기만 해도 좋은 걸이다. 소나무 향에 취해 서장대 외곽을 지나 화서문으로 향한다. 그늘에 잠시 앉아 숨을 고르는 어르신은, 땀을 흘리며 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나에게 넌지시 한 마디 건넨다.

 

 

어딜 그리 바삐 가오. 가을은 그저 천천히 음미하는 것이라는데. 아까운 이 경치를 그렇게 걷다보면 어떻게 감상을 하려고

 

걸음을 늦춘다. 어르신의 말씀이 맞는 듯해서이다. 가파른 비탈길을 내려가니 화성을 돌아보는 화성열차가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억새밭이 펼쳐진다. 그 안으로 젊은 연인들이 숨어든다. 사진을 찍는다고 들어간 억새밭에는 길이 나 있다. 도대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억새밭으로 숨어들은 것일까?

 

 

천년 그리움이

달빛으로

피어오른다

 

화홍문 흐르는

수원천

푸른 물소리

가슴을 적시면

 

세월도

쉬어가는

방화수류정

 

그리운 사람아,

용지 호심에 떠오른 팔각정이

오늘 더욱 유정하다

 

 

경기시인협회 이사장인 임병호 시인이 노래한 방화수류정이다. 한 시간 넘게 땀을 흘리며 걸어 온 화성의 가을을 잠시 쉬어본다. 봄철이면 용암에 가득 핀 철쭉에 마음을 뺐기고, 한 여름철이면 시원한 바람에 마음을 빼앗기는 곳이다. 이 가을에는 용연 주변에 잎을 떠군 나무들을 바라보면서 가을이 깊었음을 느낀다.

 

정조대왕도 이런 풍광 때문에 이곳에 아름다운 방화수류정을 지은 것은 아니었을까? 유모차에 아이를 태운 어머니 한 사람, 아이를 달랠 생각도 하지 않고 먼 산만 바라보고 있다. 그곳으로 달려가고 싶은 것일까? 그곳에 가을이 깊게 내려앉은 화성이 자리하고 있다.

 

가을이 되면 수원 여기저기 참 아름다운 길이 많이 생겨난다. 어디는 억새와 화성의 성벽이 어우러져 가을의 정취를 물씬 풍기게 하는 곳도 있고, 어느 곳은 단풍이 물든 것이 손이라도 뻗치면 손에 붉은 물이 들것만 같은 길도 있다. 평소에 무심코 지나던 길이 이렇게 변한 모습을 보면서, 참 무심하게 세상을 살았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그저 볼 일이 있어 찾아갔던 곳에서 평소에는 느끼지 못했던 깊은 가을을 느꼈다면, 그저 입을 벌리고 감탄을 할 수밖에 없다. 5일 오전 찾아갔던 수원월드컵 경기장. 그냥 경기장 주변에 있는 조각이나 다시 한 번 돌아볼까 해서 찾아갔던 곳에서, 아름다운 가을을 만났다. 눈이 휘둥그레질 밖에.

 

 

가을이 내려앉은 길목

 

무엇이라고 표현을 해야 할까? 이럴 때는 그저 아름답다는 말밖에는 할 수 없음을 한탄하는 수밖에. 붉은 물감을 뿌려놓은 듯한 길에서 사람들이 연신 포즈를 취한다. 그 모습조차 가을을 훼방하는 것만 같아 조금은 언짢기도 하다. 떨어진 낙엽을 연신 바람을 내어 한 곳으로 모으고 있는 모습에서도 아쉽다라는 말 밖에는 나오지 않는다.

 

조금 더 놓아두었더라면 그 낙엽을 밟으면서 더 깊은 가을의 소리에 젖어들 수 있었을 텐데. 자신이 맡은 일을 다 하는 사람들을 보고 무엇이라고는 할 수 없는 일. 그저 낙엽을 아직 치우지 않은 곳으로 찾아가 가득 쌓인 낙엽을 밟아 본다. ‘바삭하고 소리를 내며 부서지는 가을이 발밑에 있다.

 

언젠가 기억이 가물거린다. 낙엽이 쌓인 고즈넉한 절간 마당에 수북하게 쌓인 낙엽을 치우지 않는 것을 보았다. ‘왜 낙엽을 쓸어내지 않는가?’ 라고 물었더니, ‘그것이 가을인데 사람들이 가을을 느끼기도 전에 쓸어버린다면 어떻게 하겠는가?’라는 대답이다. 작은 절간에 스님이 참 마음 한 번 푸짐하단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이번 주말이 지나면 단풍이 다 진다는데

 

수원월드컵경기장 조각이 즐비하게 있는 곳에서, 천천히 북쪽 출입구가 있는 방향으로 길을 걷는다. 햇볕을 받아 반짝이는 단풍들이 눈을 부시게 만든다. 땅에 떨어진 많은 낙엽들이 가을이 깊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번 주말이 지나면 단풍이 다 질 것 같아요. 그래도 주말까지는 단풍이 남아있어서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을 듯합니다. 가을은 역시 단풍철이죠. 바빠서 멀리가지 못하시는 분들은 월드컵경기장으로 오시면 아름다운 단풍 길을 걸어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단풍을 쓸어 커다란 비닐봉투에 담으면서 하는 말이다. 꾹꾹 눌러 담아내는 낙엽들이 가득하다. 예전 같으면 다 추위를 녹이는데 사용했겠지만, 요즈음은 그렇게 담아간 것을 퇴비를 만드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봄이면 아름답게 꽃을 피워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고, 가을이면 아름다운 단풍으로 눈을 즐겁게 한 나무들. 이제 그 명을 다했음에 또 다시 퇴비로 거듭난다는 말에 가슴 한 편이 뭉클해진다.

 

단풍 길이 시작되는 곳에 옆으로 누워있는 안면상이 단풍구경을 하느라 그랬는지, 아니면 붉은 단풍이 눈이 부셔서 그런 것인지 눈조차 크게 뜨지 못하고 있다. 그 뒤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에는 까치 한 마리 마치 제 집이라도 되는 양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 비킬 줄을 모른다.

 

10월이 되면 산이나 들이 노랗게 꽃을 피우는 작은 국화가 있다. 흔히 감국이라고 하는 이 국화꽃은 다년생으로 꽃의 지름은 2.5cm 정도이다. 이 감국은 꽃의 향기가 진해 차를 끓여 마시기도 한다. 가을에 이 감국으로 차를 끓여 마시면 감기예방에 좋다고 한다. 이 감국의 채취 시기는 지금이 제철이다.

 

가을에 채취하는 감국으로 차를 끓여 마시면 머리가 맑아지고, 눈병에 좋다고 한다. 특히 눈물이 많이 흐르는 사람들은 이 감국으로 차를 끓여서 마시면 눈물이 멎는다고 한다. 현기증을 잘 느끼는 사람도 이 감국차를 자주 마시면 좋다고 한다. 가을이 되면 날이 쌀쌀할 때, 이 감국차 한 잔이면 족하다는 것이 차를 마시는 사람들의 말이다.

 

 

비 오는 날 따듯한 차 한 잔의 여유

 

가을비는 차다. 이틀 동안 마치 장맛비처럼 내리는 비로 인해 모든 사람들이 마음까지 젖은 듯하다. 바람까지 부는 날은 괜히 따듯한 차 한 잔이 그리울 수 있다. 그런데 태장동 국화축제를 열고 있는 길 한편에 따듯한 국화차를 대접한다는 문구가 보인다. 비가 오는 날이라서 인가 유난히 그 곳 부스에만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다.

 

명선다례원(원장 김종숙)’이라는 곳에서 나와 봉사를 하고 있다는 이분들은 국화꽃 축제에 어울리게 감국 차를 모인 사람들에게 대접하고 있는 중이다. 명선다례원은 회원이 15명 정도라고 하며, 이제 다례를 시작한지 1년 정도가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지역의 축제 때 많은 사람들에게 차를 대접하고 있다고.

 

 

가을이 되면서 여기저기 많은 행사가 열리고, 그런 행사장에는 반드시 차를 대접하는 다례원 등의 회원이 보인다. 이 곳 태장동에서 봉사를 하는 명선다례원 회원들은 1주일에 한 번 토요일에 만나서 차에 대한 공부를 한다고.

 

불공은 남을 위한 것, 차는 자신을 위한 것.

 

저희들은 수지선원에서 매주 금요일에도 한 번씩 만나서 차를 끓이고는 해요. 우리가 흔히 불가에서 말하길 불공을 드리는 것은 남을 위한 것이고, 차를 끓이는 것은 자신을 위한 것이라고 하죠. 차를 이렇게 끓이다가 보면 마음이 정화가 되고 안정을 되찾을 수가 있으니까요. 이렇게 남에게 봉사를 할 수도 있고요.”

 

보통 이렇게 봉사를 하러 나오면 3~5명이 함께 나온다고 한다. 비가 오는 날이라 따듯한 차 한 잔이 그리울 때 노란 감국 차 한 잔이 절실한 터에 제격이란 생각이다. 감국은 비교적 채취하기가 수월하다. 들에 나가면 자주 눈에 띠기 때문이다. 그런 감국 꽃을 송이를 따서 그늘에 잘 말려 사용할 수 있다.

 

차에 대한 이야기는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라는 말에서 찾을 수가 있다. 삼국시대에 승려들이 차를 많이 마시기 때문에 늘 자주 일어나는 일을 비유한 말이다. 우리나라 차의 기록은 신라 흥덕왕 때 당의 문종에게서 받은 차나무의 씨앗을 지리산에 심었다고 전한다. 이러한 차 한 잔으로 가을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어찌 반갑지 않으리오. 연세가 드신 주민 한 분은 따듯한 차 한 잔이 고맙다고 하면서

 

 

오늘 같은 날 이렇게 따듯한 차 한 잔이 정말 고맙습니다. 따듯한 것이 먹고 싶었는데 이렇게 비가 오는 날에 향이 짙은 차 한 잔을 마실 수 있어서요. 이렇게 다도를 하시는 분들이 행사장마다 함께 해 주시니 정말 좋습니다.”라고 한다. 이렇게 따듯한 감국 차 한 잔을 마시면 옛글의 문구가 생각이 난다.

 

국화미감제습풍 두현안적수누공(菊花味甘除熱風 頭眩眼赤收淚功)’

국화는 맛이 단데 열사와 풍사를 없앤다.

피진 눈과 어지럼증을 없애며

눈물을 걷는 효력이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