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지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소다. 소는 우리 농사에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동반자다. 그래서 시골에서는 이 소 한 마리가 열 사람의 몫을 감당해 낸다고 한다. 봄에 모심기를 하기 위해서나 밭을 갈 때는 소에 쟁기를 달아 밭을 갈거나 논을 갈아야 한다. 이렇게 농사일을 할 때는 그냥 소를 모는 것이 아니다. 소와 상응하는 소리를 하면서 밭갈이를 한다.

 

어여~ 으라라차농사꾼이 논을 가는 소를 몰면서 하는 소리다. 이 소리를 할 때는 흡사 소와 이야기를 나누는 듯하다. 소를 짐승이라는 차원이 아니라, 같은 동질의 동반자라는 개념 때문이다. 그래서 친구와 이야기 하듯 소몰이 소리를 하는 것이다. 양평군 양동면에 사시던 최원산옹이 소모는 소리를 불러주시면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소는 짐승이 아녀. 소는 우리와 똑 같은 일꾼이여. 그래서 소리를 하면서도 이야기를 해야만 해. 왜냐하면 소는 사람들의 말귀를 다 알아듣거든."

 

 

하기야 그렇다. 지금처럼 기계화가 되지 않은 영농방법으로 농사를 지을 때는, 당연히 소에게 큰 의존을 해야만 한다. 그러다가 보니 소가 그저 가축이 아니라, 집안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가족이라는 것에 대해 공감이 간다.

 

"사람들은 그저 소가 고기를 먹는 가축으로 생각하는데, 그건 정말 죄 받을 사람들 생각여. 소는 우리에게 고기를 주는 것이 아녀. 생각을 해봐. 소처럼 우리에게 많은 것을 주는 가축이 또 있는지. 평생을 논 갈고 밭 갈면서 정말 뼈가 노긋하도록 일을 해주고, 그 다음에 힘이 부족하면 인간을 위해 또 희생을 하는 거야. 이런 소와 같은 사람이 나랏일을 한다면, 우리나라가 참 좋은 나라 되지"

 

그때는 어르신의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살아가면서 보니, 어르신의 그 말씀이 정말 공감이 간다. 나랏일을 하는 사람이 소와같이 우직하게 해야 한다는 말씀 말이다. 그렇게만 한다면야 얼마나 좋을까?

 

 

쌍겨리는 두 마리의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농사법이다. 두 마리를 한데 묶어 일을 하면 그만큼 능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쌍겨리는 예부터 전해진 농사법이다. 단원 김홍도의 그림속에도 쌍겨리가 나온다. 대개 외겨리는 작은 천수답이나 좁은 논에서 사용하지만, 쌍겨리는 정리가 잘된 큰 논이나 밭에서 사용한다. 소가 논밭의 끄트머리까지 가면 "우여차~ 우르르르~" 하고 소리를 내면 뒤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그만큼 소를 부리는 농사꾼과 소가 마음이 상통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요즈음 세태를 보면 국민을 위하라고 표를 주어 뽑아놓은 사람들이 국민의 말을 듣지 않는다. 국민들마저 패가 갈라져 난리들을 피운다. 누군가 이게 나라냐?”고 물었단다. 그들이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을까? “이게 국회냐?” 혹은 패거리를 나눈 이게 국민이냐고 누군가 질문을 했다면 그들은 무엇이라 대답할까?

 

주인이 소를 모는 소리를 들으면서 요즘 세태가 생각난다. 쌍겨리 소는 두 마리 중 한 마리만 삐걱해도 제대로 밭을 갈 수가 없다. 두 마리의 소가 함께 보조를 맞추어야만 제대로 일을 할 수가 있다. 소를 모는 사람이 주인이다. 나라의 주인은 누구인가? 바로 국민이다. 그렇다면 두 마리의 소는 누구일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피식 웃고 만다. 이 시대에 여야라는 패를 갈라 기름과 물이 되어버린 한심한 작태들을 보면 이들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사람이 살면서 항상 좋을 수는 없다. 하지만 밭을 갈 때는 쌍겨리와 같이 두 마리의 소가 서로 호흡을 맞추어야만 한다. 그리고 소를 모는 사람과 같이 서로 마음이 상통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라는 것이다. 국민을 위한 나라의 운영도 동일하다. 함께 가야할 두 마리의 소가 제각각 움직인다면 나라라는 농사는 망치게 된다. 하기에 혼자 고집을 피우고 제멋대로 가는 빗뚫어진 소는 되지 말아야 한다. 이 시대에 정말이지 우리에게는 쌍겨리가 필요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