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이론가이면서 판소리를 집대성한 동리 신재효(1812∼1884). 오위장을 지낸 신재효는 순조 12년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질로 독공으로 소리명인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한다. 오위장을 지낸 뒤에 향리로 돌아온 신재효는 마흔 네 살부터 소리꾼마다 제각각 부르고 있는 판소리를 정리하고 후계자를 키우는데 몰두하였다. 춘향가, 박타령, 토끼타령, 가루지기타령, 적벽가, 심청가의 여섯 마당을 오늘날 명창들이 부르는 바와 같이 정리하여 완성시켰다.

현재 중요민속자료 제3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집은, 신재효가 고종 21년까지 살던 집이라고 전한다. 사랑채만 남아있는 이 집은 철종 1년인 1850년에 지은 것으로 짐작하며, 광무 3년인 1899년에 그의 아들이 고쳐지었다고 한다. 신재효의 집은 모양성 밖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요 민속자료 지정 전까지 고창 경찰서의 부속 건물로 쓰였다.


원래의 집은 주변의 물을 끌어들여 마루 밑을 통해 연못으로 들어가게 한 운치가 있는 집이었으나, 지금 건물은 많이 개조되고 변형된 것을 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6칸 집 곳곳에 남아있는 운치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에 一 자형 평면 초가로 지어진 이 집은 현재는 부엌 쪽에 초가 일각문을 두고 있다. 앞쪽에는 판소리박물관이 자리하고 있어, 담장 일부를 터놓았다. 왼쪽으로 부터 한 칸 부엌과 두 칸의 방, 그리고 대청 한 칸과 통 두 칸의 방으로 이루어졌다. 현재 통 두 칸의 방에는 판소리를 하는 모습을 한 사람모양을 만들어 관람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집을 한 바퀴 돌아본다. 일각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조금 비켜 선 돌로 쌓은 우물이 보인다. 부엌은 까치구멍을 넓게 놓아 시원하게 보인다. 부엌과 방 사이에는 쌍여닫이 출입문을 만들었으며, 대청 양쪽 방으로 연결하는 문을 달지 않았다. 대청은 마루방으로 놓았으나, 밖에서 보면 대청이란 것을 쉽게 알 수가 없다. 전체적으로 집은 단출하면서도 소박하다.

부엌을 뺀 다섯 칸의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놓아 동선을 도왔다. 여기저기 많은 부수적인 장치를 하지 않은 것도 이 집의 특징이다. 뒤쪽에는 옹기 두 개를 올려놓은 낮은 굴뚝이 눈길을 끈다. 현재의 연못은 집 앞에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차게 되어있다. 하지만 삭막하게 마른 연못은 왠지 을씨년스러워 보인다. 물이라도 좀 채워 두었으면 좋았을 것을.




광대가의 산실 신재효 생가

거려천지 우리 행락 광대 행세 좋을시고
그러하나 광대 행세 어렵고 또 어렵다

광대라 하는 것이 제일은 인물치레요

둘째는 사설치레 그다음 득음이요
그다음 너름새라

너름새라 하는 것이 구성지고 맵시 있고

경각에 천태만상 위선위귀 천변만화

좌중의 풍류호걸 구경하는 노소남녀

울게 하고 웃게 하는 이 귀성 이 맵시가 어찌 아니 어려우며


득음이라 하는 것은 오음을 분별하고

육률을 변화하야 오장에서 나는 소리

농락하여 자아낼 제 그도 또한 어렵구나(하략) / 판소리 단가 광대가 중





조선 고종 때 동리 신재효는 이집에서 광대가를 지었다. 광대가는 단가로 광대의 이론을 사설로 쓴 것인데, 광대노릇을 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또 광대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인물치례, 사설, 목소리, 너름새를 그 조건으로 들고 있다. 오래 전에 ‘중고제’라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이 집을 처음 찾은 후 벌써 몇 번째인지. 몇 번 보수를 한 것을 빼고는 처음 본 모습과 다를 바가 없다. 다만 관람객들을 돕기 위해 판소리를 하고 있는 인형들을 전시했다는 것을 빼고는.



일생을 판소리를 정리하기 위해서 노력을 한 동리 신재효. 고창에 많은 명창이 배출이 된 것도 신재효 선생의 그 깊은 뜻이 있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집안을 돌아보면서 아무런 의미도 모르고 기웃거리는 사람들에게, 안내판이라도 좀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집을 돌아 나오는데 뒤편에서 판소리 한 대목이 들리는 듯하다. 광대가 한판이라도 좀 들을 수 있도록 시설이 되었으면 좋았을 것을.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