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안타깝다. 사실 지난 12일 정재만교수의 죽음을 듣고 며칠 간 마음이 불안한 상태였다. 정교수를 처음으로 만난 것은 1979년이었으니, 그 때만 해도 젊은 혈기가 넘칠 때였다. 당시 국립무용단이 제23회 정기공연으로 춘원 이광수 원작의 꿈을 김지일 극본, 송범 안무로 ··이라는 제목으로 무대에 올렸는데, 그때 정재만 교수를 처음 만났다.

 

당시는 무용음악을 작곡하는 사람이 몇 명 되지 않아 그 작품의 작곡을 맡은 것이 인연이 되어 정교수를 만나게 된 것이다. 당시 더블게스트로 주인공을 정했는데 남자 주인공은 국수호 교수와 정재만 교수였고, 여자주인공은 박순자씨와 단송 홍금산 선생이었다. 그 이후 정교수와는 만날 기회가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러다가 양평에서 벽사 춤 아카데미 강습을 한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갔다. 당시는 신문을 맡아 운영했기 때문에 당연히 취재를 간 것이다. 벽사는 고 한성준 선생의 호이자, 선생의 춤을 물려받은 따님인 한영숙 선생의 호이기도 하다. 그리고 정재만 교수도 벽사라는 호를 사용했으니 3대 벽사가 되는 셈이다.

 

 

오롯이 스승의 춤을 온전히 후대에 전승을 시키겠다는 일념으로 살아온 정재만 교수. 나이가 동년배인 바람에(66) 친구려니 하고 생각하지만, 늘 사는 곳이 달랐다. 정재만 교수는 오직 후대를 키우겠다고 학교와 연구소 등을 다니면서 생활을 했고, 나는 역마살이 끼어서 팔도를 내 집처럼 휘돌아 다녔으니 만날 일도 별로 없었던 것만 같다.

 

그래도 이야기가 나오면 늘 솔깃해서 듣고는 했던 것이 바로 그의 춤 세계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인 한영숙류 승무 보유자이기도 한 정재만 교수. 지난 12일 익산에서 제자 강습회를 마치고 부산으로 이동하던 중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연락을 받고나서 한참이나 멍멍한 시간을 보냈다.

 

화성 정남면 출신 춤꾼 정재만

 

불귀의 객이 된 정재만 교수는 1948년 경기도 화성군 정남면에서 태어났다. 정교수는 우연한 기회에 송범무용연구소에 들어가 한국 춤과 인연을 맺었다. 이곳에서 어린 정교수를 발견한 한영숙 선생은 그를 제자로 데려가 승무를 가르쳤다. 이후 그는 세종대와 숙명여대에서 30년이 넘게 후학을 양성하다, 지난해 정년퇴임했으며 명예교수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춤도 웰빙이 필요합니다.” 이미 10여 년 전에 정재만 교수는 우리 춤도 달라지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 2004년 양평군에 소재한 한화리조트 무궁화 홀에서 100여명의 전수생들에게 ()벽사춤 아카데미 2004 하계수련회를 열고 있는 정재만 교수를 만났을 때 한 말이다.

 

그리고는 또 10년이 지났다. 그리고 보니 정교수와는 한번 만나고 나면 10년 이상을 만날 일이 없었다. 가끔 통화정도만 하는 사이였으니 말이다. 이제 10년이 지나도 다시 볼 일이 없게 생겼다. 그것이 마음이 아프다. 가장 아픔인 것은 아직도 할 일이 많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많은 일을 혼자 감당해 내야 할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제 고인이 된 춤꾼 정재만교수. 그곳에서라도 늘 아름다운 춤을 출 수 있기를 바란다. 이제 이 세상에 오만가지 상념일랑 훌훌 털어버리고 마음 편하게 떠나시기를 바란다.

-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