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서 논산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우측 부적면 덕평리 방향으로 가는 691번 도로가 연결이 된다. 이곳으로 들어가다가 보면 덕평리 석조여래입상이라는 안내판이 나오고 마을 안을 지나면 산 밑에 넓은 사지가 있다. 그 입구에 덕평리 마애여래입상 한 기가 서 있다. 소재지는 논산시 부적면 덕평리 산 4번지로 되어있으나, 서 있는 곳은 평지와 다름이 없다.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으로 추정되는 이 여래상은 운제사(雲際寺)’의 옛 절터에 있던 석불입상이다. 이 불상을 사람들은 관촉사 은진미륵의 작은어머니라고 부른다. 아마도 이 석조여래입상의 상이 인자한 모습으로, 은진미륵불과 마주한 형태로 서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는 듯하다.

 

 

복스럽고 자애로운 얼굴

 

오후에 찾아간 덕평리 마애여래입상. 몇 년 전인가 이곳에 들려 보았을 때는, 그저 바쁜 걸음에 제대로 볼 수가 없었다. 이번 답사 때는 주변부터 찬찬히 훑으면서 자세히 석조여래불을 들여다본다. 많이 훼손이 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풍만한 상이다. 고려 석불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이 석불입상은 불신의 높이가 1.95m나 된다.

 

불상의 머리 부분은 많이 훼손이 되었다. 얼굴은 눈과 코, , 턱 부분이 훼손되어 정확한 표정을 읽을 수가 없다. 그러나 얼굴의 상이 두툼하고 둥그런 형태에서 후덕한 인상을 풍긴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였으며, 볼 부분이 떨어져 나가 귀의 모습을 자세하게 알 수가 없다. 머리위에는 큼직한 육계가 솟아있고, 전체적으로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한 것이 복스럽고 인자한 모습이다.

 

 

 

떨어져 나간 팔이 보기 흉해

 

가슴부분을 들어낸 통견으로 조성이 된 법의는 두텁고 무겁게 느껴진다. 옷 주름은 양 어깨에 걸쳐 가슴 아래서부터 U자 형으로 흘러내린다. 다리 윗부분에서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 양 발에 큰 타원을 만들고, 옆으로는 주름치마로 표현하였다. 이런 형태는 경상도 지방에서 나타나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의 법의에서도 많이 보이는 형태이다.

 

보물로 지정이 된 남원 만복사지 석불입상과 그 형태가 것으로 보이는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 현재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55호이다. 현재는 법의 끝자락 까지만 나타나 있어, 그 밑에 어떤 모양의 대좌가 있는지 모른다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석조여래입상의 왼손은 팔꿈치 이하 부분이 절단되어 있다. 오른손도 온전하지는 않다. 왼손의 위치와 함께 가슴 안쪽으로 들어 올려 여원인을 짓고 있는 오른손의 모양으로 보아, 수인은 시무외여원인으로 생각된다. 우수한 형태의 고려석불로 추정되는 덕평리 석조여래입상. 과거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배례석과 팔각기둥이 옛 모습을 말해주고

 

석불의 앞에는 방형판석 2매와 장방형의 연화문 배례석 1매가 놓여 있다. 그 옆 철책 안으로는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팔각 돌기둥 1개가 있는데 높이는 1.08m이고, 상부에는 4각의 촉이 있다. 이 돌기둥은 아래쪽은 팔각이고 위쪽은 사각형인 특이한 형태이다. 이런 석조여래입상과 판석, 돌기둥 등으로 보아, 이곳에 제법 큰 절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왜 이 덕평리 석조여래입상이, 보물 제218호인 관촉사 석조미륵입상의 작은어머니라고 불리는 것일까? 주변에 수소문을 해보아도 이유를 알지 못한다. 아마도 같은 고려시대에 조성이 되었고, 가까운 거리에 소재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래불은 현재의 부처님이고 미륵불은 후세의 부처님이라는 점에서, 관촉사 석조미륵입상의 작은 어머니라고 한 것은 아니었을까?

 

비록 많이 훼손이 된 형태에서 그 온전한 표정을 읽을 수는 없지만, 전체적으로 후덕한 상으로 조성이 된 덕평리 석조여래입상. 그 앞에서 두 손을 모으는 것은 다름이 아니다. 점점 힘들어지고만 있는 세상살이에서, 그 미소만큼이나 편한 마음 한번 가져보았으면 하는 바람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