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는 집안이나 경치가 좋은 곳에 짓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 그리고 그 용도는 대개 후학을 양성하거나 시를 짓고,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정자를 지은 주인의 심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건조물이기도 하다.


경북 영주시 영주1동 19-1번지에 소재한 영훈정은 현재 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그래서인가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원래 영훈정은 15세기 중반 군수 정종소가 사신을 맞이하고 배웅할 목적으로 지어졌다. 그후 조선조 인조 21년인 1643년에 신숙이 다시 세우고 퇴계 이황 선생의 친필을 모각하여 영훈정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관청으로 사용하였던 정자


영훈정은 군 남쪽 3리에 처음에 지었으나, 일제시대에 현 위치로 이건하고 관청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대개의 정자가 가문에서 지어지는 것과는 달리 관용으로 지었다는 점이 색다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영훈정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는 가문에서 짓는 정자들이 방을 마련하는 것에 비해, 사신을 영접하기 위한 정자로 지어졌기 때문에 사방의 경치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지역에 산재한 많은 정자들을 보면 가문에서 지은 정자는 방이 있다. 하지만 경치를 보기 위한 정자는 대개 사방이 트여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

 

 


한 정자에 붙이는 여러 개의 명칭


정자를 답사하다가 보면 한 정자 안에, 정자의 이름이 여러 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해가 뜨는 방향으로는 일출정, 달을 볼 수 있는 서편은 영월루, 그리고 바라다 보이는 경관을 향해 또 다른 이름을 붙인다. 그만큼 한 정자를 갖고도 나름대로 멋을 생각하고 명칭을 붙여 사방이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정자들도 있다.


영훈정 안에도 두개의 현판이 더 걸려있다. 이 현판들이 처음부터 이 정자의 또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방위를 따라 현판을 거는 것이 일반적인데 한 편 벽에 모아놓은 것으로 보아서 딴 정자의 현판이거나, 아니며 또 다른 명칭으로 불렸을 때 걸었던 현판일 것으로 보인다.

 

 


정자를 찾아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사연도 많다. 그리고 정자 나름대로 한 가지 멋을 지니고 있다. 15세기 중반에 사신을 영접하기 위해 지어진 영훈정도 처음에는 남정자라고 부르다가 영훈정이 되었다. 아마 이 정자는 이 위에서 질펀하게 술을 취해 놀았던 곳이었을 것이다. 사신을 맞이한다는 명목으로. 관의 정자는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이야기는 많지 않다.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4호로 지정이 된 영훈정. 학교 안에 있어서인가 깨끗하게 보존이 되어있다.


아이들이 오르면 낙서라도 할 것 같아서인지, 정자는 오르지 못하게 줄을 느려놓았다. 어디를 가나 아름다운 곳에 함께 아름다워지고 싶은 정자. 그런 정자들이 서 있어 길을 가는 나그네는 외롭지가 않다. 쉴 수도 있거니와, 정자에 올라 정자를 지은 주인의 마음을 함께 느낄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자를 찾는 길은 힘이 들어도 늘 즐겁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