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서악동에 있는 신라 태종무열왕릉의 동쪽에 보면 보물 제70호인 서악리 귀부와, 경상북도 기념물 제32호인 김인문의 묘가 있다. 김인문의 묘 곁에 있는 이 거북모양의 받침돌은 김인문의 묘비를 세웠던 것이다. 현재는 비문과 머릿돌은 사라지고 받침돌만 남아있다.

 

이 거북모양의 받침돌은 국보 제15호인 태종무열왕의 귀부와 쌍벽을 이루고 있다.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조각기법이 뛰어나, 7세기 귀부모양의 변화를 잘 보이고 있다. 귀부의 모양이 몸체는 거북이에, 머리는 용의 모습으로 변하기 이전에 원형의 모습으로 남아있어, 한국 석비 받침돌의 초기 모양이라 할 수 있다.

 

 

사실적인 조각 뛰어나

 

무열왕비의 거북이가 앞발가락은 다섯 개, 뒤는 네 개인데 비해, 보물 제70호인 서악리 귀부는 앞뒤가 모두 다섯 개다. 목에 새긴 다섯 가닥의 주름은 사실적이며, 거북의 등에 새긴 6각모양의 무늬도 조각솜씨가 뛰어나다. 등에는 비를 받쳐 세웠던 네모난 구멍이 뚫려져 있다.

 

앞발에는 깊은 주름이 새겨져 있어 이 거북이가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앞발과 뒷발의 발가락은 금방이라도 땅을 움켜잡고 앞으로 나아갈 듯 힘차게 표현하였다. 등에 새겨진 귀갑문도 통일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나타나는 귀갑문보다 화려하게 조각을 했다.

 

 

김인문은(629~694) 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다. 23세 때에 당나라에 가서 벼슬을 하다가 돌아와, 무열왕을 도와 김유신과 함께 삼국을 통일하는데 기여를 하였다. 1931년 서악서원에서 김인문의 비석조각을 발견하여, 이곳이 김인문의 무덤임을 확인하였다. 무덤은 흙을 둥글게 쌓아올린 형태로 무덤의 밑 둘레가 82m, 지름이 29,9m에 높이는 6,5m이다.

 

귀감이 되는 옛 선인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던가. 벌써 천 4백년이 지난 후이지만, 그의 이름은 아직도 우리 후대에 전하고 있다. 요즈음 세상을 사는 사람들은 그런 이름을 남긴다는 것에 대해서 무의미하다는 생각인가 보다. 스스로의 이름을 더럽히는 행동들을 서슴지 않고 하는 것에 대해, 참으로 안타깝다.

 

 

아마 선대인 조상님들이 이런 자손들을 본다면, 죽어서나마 올바로 눈을 감을 수 있으려나 모르겠다. 역사는 언젠가는 올곧은 평가를 하기 때문이다. 살아생전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린 사람들이 얼마나 사후에 제대로 된 평가를 받을 수 있겠는가? 후세에 사가들을 두려워하지 않는 요즘사람들이 참으로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지방에 산재한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다가 보면 그 문화재가 갖고 있는 속 깊은 의미를 되새길 수 있어서 좋다. 그런 문화재를 답사한다는 것이 행운이란 생각이 든다. 문화재를 만나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물 제70호인 김인문의 묘비인 서악리 귀부. 이곳에서 다시 세상의 지혜를 배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