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는 수많은 승려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곳에서 나름대로의 구도자의 글을 모색하며, 사시사철 변하는 구룡령의 모습을 눈 안에 담아두고 있었을 것이다. 속초에서 옛 속초비행장 앞을 지나 구룡령을 향해서 가다가보면 구룡령 초입 못 미쳐 좌측으로 선림원지 이정표가 보인다.

 

사람들에게는 ‘미천골’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진 이곳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속한다. 미천골은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이다. 가족들이 휴양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여름과 가을이면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하루를 즐기고는 한다. 미천골에는 선림원이 있던 사지가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 흥성한 선림원

 

선림원지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로, 동국대학교 발굴조사단의 발굴에서 나타난 많은 유물유적들 발견이 된 곳이다. 발굴조사 결과 선림원은 804년경에 순응법사 등이 창건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대에는 선림원에서 한 끼 밥을 먹기 위해 씻은 쌀뜨물이 계곡을 따라 하류까지 흘러 미천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 선림원이 10세기를 전후해 산사태와 대홍수로 매몰되었다고 추정한다. 요즈음 강원도에 내린 집중호우로 근동이 홍수와 산사태가 나서 많은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보아도 선림원의 산사태의 매몰이 이해가 가기도 한다. 선림원지에는 현재 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 4점이 남아있어, 9세기 후반에 대대적인 중창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돋을새김한 팔부중상은 곧 걸어 나올 듯

 

선림원지에서는 1948년에 명문이 적힌 신라 범종이 발견되어 주목을 받았다. 선림원이 얼마나 큰 절이었나는 가늠할 수가 없다. 다만 지금 남아있는 문화재를 보고 유추할 뿐이다. 축대를 쌓은 계단을 오르면 보물 제444호로 지정이 된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몸돌을 올린 전형적인 신라석탑으로, 법당터 남쪽의 원래 위치에 복원되었다. 2층으로 되어있는 기단은, 아래층 기단을 올려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겼다. 2층 기단 역시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겼는데, 한 면을 두기씩 8부중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장으로 되어 있으며, 1층 몸돌은 높은 편이며 2층 몸돌은 반으로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넓은 편이며 지붕의 경사가 급하게 내려오다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약간 들려 있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은 5단이다. 신라 석탑의 양식을 충실히 이어받고 있는 이 삼층석탑은, 기단부의 짜임이나 각 부의 조각수법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9세기경 신라 후기에 가까운 것으로 짐작된다.

 

화려한 장식을 한 석등, 특별한 미를 지녀

 

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는, 보물 제445호 석등은 선림원지 안의 서쪽 언덕 위에 놓여있다. 화사석은 8각으로 빛이 새어나오도록 4개의 창을 뚫었고, 각 면의 아래에는 작은 공간에 무늬를 새긴 매우 드문 모습을 취하고 있다.

 

이 석등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 형식을 따르면서도 받침돌의 구성만은 매우 독특하여 눈길을 끈다. 아래받침돌의 귀꽃조각은 앙증맞게 돌출되어 아름답고, 그 위로 가운데받침돌을 기둥처럼 세웠는데, 마치 서 있는 장고와 같은 모양이며 그 장식이 화려하다.

 

즉 기둥의 양끝에는 구름무늬띠를 두르고 홀쭉한 가운데에는 꽃송이를 조각한 마디를 둔 후, 이 마디 위아래로 대칭되는 연꽃조각의 띠를 둘러 모두 3개의 마디를 이루게 하였다.

 

 

 

파편이 된 비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보물 제446호인 홍각선사 탑비 귀부 및 이수는 통일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워진 것이다. 탑비는 일반적으로 비의 받침인 거북머리의 귀부와 몸돌, 이수로 구성되는데 이 비는 비받침 위에 비머리가 올려져있다. 비문이 새겨지는 몸돌은 파편만 남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파편을 본을 삼아 재현된 몸돌이라도 현장에 있었다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귀부의 거북은 목을 곧추세운 용의 머리모양으로 바뀌어있고, 등에는 6각형의 무늬가 있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면서 보이는 기법이다. 등에 붙어 있는 네모난 돌은 몸돌을 세우는 자리로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새겨 있다. 이수에는 전체적으로 구름과 용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었고, 중앙에 비의 주인공이 홍각선사임을 밝히는 글씨가 있다.

 

금방이라도 승천할 것만 같은 용

 

보물 제447호인 선림원 부도는 일제시대에 완전히 파손되었던 것을, 1965년 11월에 각 부분을 수습하여 현재의 자리에 복원한 것으로 기단부만이 남아있다. 기단의 구조로 보아 8각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신라의 전형적인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정사각형으로 조성된 받침돌 위로 기단의 하단, 중단, 상단돌을 올렸다. 아래받침돌은 2단인데, 아래단이 바닥돌과 한 돌로 짜여진 점이 특이하다.

 

 

 

윗단에는 두 겹으로 8장의 연꽃잎을 큼직하게 새기고, 그 위에 괴임을 2단으로 두툼하게 두었다. 중간받침돌은 거의 둥그스름한데 여기에 높게 돋을새김해 놓은 용과 구름무늬의 조각수법이 매우 웅장한 느낌을 준다. 윗받침돌에 2겹으로 새긴 8장의 연꽃잎은 밑돌에서의 수법과 거의 같다. 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부도는 위아래를 마무리하는 수법에서 뛰어난 안정감을 보이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 밑을 크게 강조한 것은 8각형의 일반적인 부도양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쌀뜨물이 계곡을 메웠다는 선림원. 그런 이야기로는 상상이 가질 않는다. 현재 남아있는 대웅전의 초석으로는 상상이 가질 않는 이야기다. 이곳을 벗어난 인근 어디에 또 수많은 유물이 묻혀 있는 것은 아닐까? 맑은 물이 흐르는 미천골 계곡. 도대체 얼마나 쌀을 씻어야 저 계곡을 다 뿌옇게 물들일 수 있을까? 지난 역사 속의 선림원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차다. 역사는 그렇게 스러져가도, 그 역사의 흔적은 이리 남아있는 것을.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