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이 마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6호인 탑동 삼층석탑이 마을 뒤편에 서 있다. 이 탑 뒤로는 건장산으로 오르는 산책길이 나 있고, 옆에는 최근에 지은 절인 듯 대웅전이 보인다. 이 탑동마을에 있는 삼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지에 소재한 국보인 탑과 같은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탑동마을이라는 이름은 마을의 상징인 삼층 석탑에서 연유가 된 명칭이다. 탑동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탑으로, 백제탑의 양식을 계승하여 고려 때 조성된 탑이다. 이 탑에는 전설이 있는데, 그 하나는 탑동에 사는 여자장사와 장자골에 사는 남자장사가 서로 내기를 하여, 탑동마을 여자장사가 이기는 바람에 탑동 삼층석탑만 남았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전설이 전한다.

 

이 탑에 얽힌 또 하나의 전설이 전한다. 백제가 도읍을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옮기고 난 후, 익산 금마지역에 미륵사지가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인근에 왕궁이 지어지던 시절 서로 연모하던 총각장군과 처녀장군의 정이 두터웠으며, 장난삼아 탑 쌓기 내기를 하였다는 것이다.

 

처녀장군은 탑골 삼층석탑을 쌓고 총각장군은 익산의 왕궁 탑을 쌓았는데, 처녀장군이 먼저 쌓았다고 한다. 그렇게 내기를 한 후 처녀장군이 보니, 총각장군의 탑을 쌓는 실력이 어설펐다는 것이다. 처녀장군은 총각장군에게 실망을 하여, 총각장군에게 인연을 끊겠다고 말을 했다. 총각장군과 결별을 한 처녀장군은 수절을 하며, 삼층석탑의 수호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 후 사람들은 이 탑을 ‘여장군탑’이라고 불렀다.

 

 

미륵사지 탑이 무너진 것도 이유가 있었다.

 

전설이라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살이 붙게 마련이다. 여자장사가 시합에 이긴 연후에 노모가 심한 피부병을 앓아, 전국을 다니면서 약을 구하려다 건장산 약수를 먹고 나았다는 이야기는 우리에게 ‘효(孝)’를 일깨우고 있다. 그러나 이 남장군과 여장군의 이야기는 그와는 사뭇 다르다.

 

여장군이 삼층석탑의 수호신이 된 후 남장군도 미륵사지 5층 석탑의 수호신이 되었는데, 이 두 탑이 서로 씨름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씨름에서 또 여장군이 이기자, 남장군탑은 부끄러움에 무너졌다는 것이다. 여기서 전설의 재미가 발견이 된다. 남장군은 미륵사지 오층석탑을 쌓았는데, 그 탑이 부끄러움에 무너져 내렸다는 이야기다. 한 가지 이야기는 이렇게 꼬리를 물고 반전을 계속한다.

 

 

탑동마을의 탑은 경사가 있으면 탑신이 열린다.

 

탑동 삼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지 석탑과 같은 유형이다. 많은 석재를 이용하여 탑을 쌓았다. 그런데 이 탑동 삼층석탑에는 한 가지 비밀이 있다. 일층의 탑신은 여러 조각을 합하여 몸체를 만들었는데,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는 이 탑신이 열린다는 것이다. 가로로 길게 조성을 한 몸돌의 틈이 벌어진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8,15 광복절에 이 탑의 몸돌이 열렸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언제 또 이탑이 열릴지를 기다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삼층석탑을 돌아보다가 희한한 것을 발견했다. 바로 기단부의 받침돌 한편에 맷돌이 있는 것이다. 도대체 누기 이 삼층석탑의 기단석에 맷돌을 만든 것일까? 단층 기단에 삼층석탑, 그리고 상륜부 일부가 남아있는 탑동 삼층석탑. 그 기단부 초석에 새겨진 맷돌은, 아무리 생각을 해도 답이 나오지를 않는다.

 

이곳에서 맷돌을 갈아 음식을 해먹으면 좋은 일이라도 있는 것일까? 아니면 8,15 광복에 이곳에서 떡이라도 한 것일까? 많은 탑을 다니면서 이렇게 기단부에 맷돌처럼 조형을 한 것은 처음으로 본다. 지나가는 마을 주민에게 물어보아도 정확한 것을 모르겠다는 대답이다. 이래저래 탑동 삼층석탑은 사람에게 궁금증만 한 아름 안겨주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