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시. ‘안양(安養)’이라는 말은 안양사(安養寺)라는 절에서 기인한 이름이라고 한다. 안양사는 신라 효공왕 3(900)에 고려 태조 왕건이 남쪽을 정벌하러 지나다 삼성산에 오색구름이 채색을 이루자 이를 이상히 여겨 가보던 중 능정이란 스님을 만나 세워진 사찰이 안양사로 전해진다.

 

안양이란 불가에서 아미타불이 상주하는 청정한 극락정토의 세계를 말하며 현세의 서쪽으로 10만억 불토를 지나 있다는 즐거움만 있고 자유로운 이상향의 안양세계를 말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때 최영장군이 7층 전탑을 세우고 왕이 내시를 시켜 향을 보냈으며 승려 천명이 불사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어 옛 안양사의 규모를 짐작케 하여준다.

 

 

 

이렇게 볼 때 안양사는 불국정토를 상징하는 곳이다. 그런 안양시는 이제 인구 60만인 도시이다. 숱하게 많은 종교건물들이 여기저기 들어차 있는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32번지에는 마애종이라는 바위벽에 범종을 양각해 놓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가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마애불은 상당수가 있지만, 마애종은 석수동 마애종이 유일한 것이다.

 

이 안양의 마애종은 고려 초기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애종을 보면 종을 걸 수 있도록 고리 구실을 하는 용뉴와 음통을 포함한 높이가 126, 종 몸통의 높이는 101정도이다. 종을 양각한 왼편에는 당목을 잡고 종을 치는 스님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상단의 보 중앙에 쇠사슬을 달아 종을 걸어 둔 모양을 새겨 표현하였는데, 용뉴와 음통이 확연하게 조각되었다. 상단에는 장방형 유곽을 2개소에 배치하고 그 안에 각각 9개의 원형 유두가 양각되어 있다. 우리가 범종에서 만날 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다. 종신의 중단에는 연화문이 새겨진 당좌를 표현하고 하단에는 음각선으로 하대를 표시하였다. 종의 양편에는 기둥을 세우고, 보를 가로질러 종을 매달아 놓은 모습을 형상화 한 형태로 새겨놓았다.

 

그런데 이 마애종은 도대체 왜 이곳에 있는 것일까? 안양이라는 불국정토를 마련하고, 아마 많은 중생들이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염원이 아닌지 모르겠다. 1,000년 세월을 그렇게 묵묵히 바위에 새겨져 소리 없는 종소리를 낸 마애종. 그리고 당목에 힘을 주어 종을 울리는 스님.

 

 

 

언젠가 이 마애종의 소리가 이 땅에 울려 퍼질 때 정녕 이 땅의 고통이 사라지는 것은 아닐까? 이제는 오랜 풍상에 마모되어가는 마애종에 숨은 깊은 뜻은 도대체 무엇인지. 어지러운 세상에 그 종소리가 울려 퍼지기를 간구한다. 병신년 새해 마애종을 울릴 수만 있다면 이 땅이 바로 불국정토일 것이다.

 

오늘 2015년의 끝날. 디시는 돌아올 수 없는 이 해에 안양 석수동 마애종을 소개하는 것은 이 곳을 들리시는 모든 분들이 이 땅에 사는 동안 어떠한 작은 아픔과 고통도 당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모두가 다 마애종의 소리를 마음으로 듣고 2016년 병신년에는 더 좋은 일들만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