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도곡리 석불좌상을 찾아가다

 

문화재란 있던 그 자리에 소재한다. 어느 것은 수천 년을 자리 한 번 옮기지 않고 지키고 있는 것들도 있다. 문화재가 조성 될 때는 역사적으로나 사회성, 혹은 지리적 여건 등 여러 가지를 종합해 조성한다. 하기에 문화재는 제 자리를 지키고 있을 때 가장 빛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수없이 많은 문화재들이 제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옮겨져 있다. 그것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문화재를 제대로 보존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문화재가 제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옮겨진 사연이야 다양하다. 하지만 꼭 이런저런 이유를 대가며 문화재를 딴 곳으로 옮겨야만 했을까? 허울 좋게 보존이라는 구실로 자리를 옮긴 많은 문화재들을 정작 조성한 자리가 아닌 딴 곳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우리가 갖는 슬픔인지도 모른다.

 

 

문화재 답사를 한지 30년 세월이 훌쩍 지났다. 그동안 수없이 많은 문화재를 답사라는 길에서 만났다. 하지만 그런 문화재 답사라는 것이, 시간이 남고 돈이 많아 하는 것이 아니다. 나에게는 문화재 답사가 숙명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젊은시절, 우연히 만나게 된 문화재 한 점으로 인해 30년이 넘는 세월을 전국을 걸으며 문화재를 찾아다녔다.

 

이제 힘도 부치고 시간적 여유도 없다. 어찌보면 문화재답사를 젊은시절 객기로 시작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돌아다니면서 만난 많은 문화재들, 나에게는 누군가 지켜내야 할 우리의 정신적인 유산이라는 생각에서이다. 아무리 경제가 발전하고 수많은 종류의 문화예술 활동을 한다고 하지만, 소리없이 그 자리를 오랜시간 지켜내고 있는 문화재를 등한시한 민족은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왜 문화재를 지켜내야 하는 것인지 답이 된다.

 

 

알아보기 힘든 작은 안내판, 좀 더 크게 했더라면

 

지난 24일 오후, 여주시 금사면 도곡리 산 7에 소재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0호인 여주 도곡리 석불좌상을 찾아갔다. 문화재는 지나는 길에 몇 번이고 들려보고는 한다. 혹 그동안 훼손이 된 곳은 없는지, 아니면 문화재 주변에 무슨 이상은 없는지, 그런 것들이 궁금하기 때문이다. 문화재를 지나는 길에 다시 찾아보는 것은 몇 년이 지난 뒤에 찾아간 문화재 한 점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도곡리 석불좌상은 마을길에서 산쪽으로 소로를 지나야 만날 수 있다. 몇 년 전인가 도곡리 석불좌상을 찾아갔을 때, 누군가 버리고 간 각종 제물과 기물 등으로 지저분하게 어지럽혀져 있는 모습을 보았다. 이번에도 또 누군가 주변을 훼손한 것은 아닐까 걱정이 된다. 그런데 한 번 간 길은 절대 잊은 적이 없는 나로서도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길을 찾지 못한 것이다. 주변이 변해도 너무 변했다. 석불좌상을 찾아가는 진입로에는 그동안 볼 수 없었던 펜션들이 여기저기 길 양편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문화재를 찾아가는 길 안내표지가 길 한편에 조그맣게 서 있기 때문에 산을 오르는 길을 찾기조차 힘들다. 글씨라도 좀 큼지막하게 세웠거나 제대로 된 안내판을 길이 변하는 부분에 세웠다면 한결 수월했을 텐데. 아직 우리나라 문화재에 대한 관계기관들의 인식은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석불좌상 앞에 무릎을 꿇다

 

몇 번이고 길을 찾아 헤매다가 찾은 작은 안내판 하나. 주변 환경이 변해 길을 찾기조차 어려웠지만 도곡리 석불좌상이 소재한 전각이 산 밑에 보인다. 진입로는 시멘트포장을 해 말끔히 정리하였다. 지난 번 찾아왔을 때보다 주변은 많이 정리가 되고 깨끗하다. 그것 하나만으로 안내판이 적다고 투덜대던 마음이 싹 가신다.

 

석불좌상을 모신 전각은 맞배지붕 기와로 조성하였다. 앞에는 배례석인 듯 넓적한 돌도 보인다. 무엇을 망설이랴. 그 앞에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린다. 이 나라에 서원할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래도 우선은 나라가 평안할 것을 먼저 서원한다. 뒤죽박죽이 되고 몇 갈래로 찢어진 나라. 온전히 하나로 봉합될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서원한다.

 

여주시 도곡리 석불좌상은 통일신라 말기작품으로 추정한다. 원적산 자락에 북동쪽을 향해 팔각대좌 위에 자리한 석불좌상. 결가부좌를 하고 있는 이 석불좌상은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다. 이곳에서 20m 정도 떨어진 북쪽에 절터가 있다는 점으로 보면 이 석불좌상이 제 자리에서 멀리 벗어난 것은 아니란 생각이다.

 

 

불상은 육계가 많이 마모가 되었지만 삼도는 뚜렷하다. 이 석불좌상은 특이한 수인을 하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 부근에서 약지와 새끼손가락 두 개를 펴고, 왼손은 결가부좌한 다리위에 손바닥을 위로 하고 있다. 법의는 모두 통견으로 처리했다. 석불좌상을 모신 팔각대좌는 좌상에 비해 작은 편이라 조금은 불안해 보이기도 한다.

 

석불좌상 앞에 머리를 숙여 서원을 하고 난 뒤 석불좌상 뒤편으로 돌아가니 이상한 것이 보인다. 정기계측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구간에 발생한 이격 및 균열현상에 대한 변화추이와 진행을 알아보기 위함이라는 안내문구가 있다. 천여 년이 훌쩍 지난 세월을 많은 세인들의 마음속 염원을 받아들이며 자리를 지키고 있었을 석불좌상.

 

그런 석불좌상이 이격과 균열현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알아본다는 안내에 마음이 편치않다. 얼마나 많은 우리의 문화재가 주변환경에 의해 수명을 달리하고 있는 것일까? 문화재답사를 계속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누군가 이 소중한 문화유산을 둘러보고 지켜내야 한다는 것이다. 단지 나도 그 중 한명일 뿐이고,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