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충효동에 있는 김유신묘. 현재는 사적 제2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경주 어느 왕릉보다도 화려하게 조성이 된 김유신묘는 석물과 무덤을 두르고 있는 십이지신상들로 인해 유명하다. 묘의 입구에 서 있는 문은 <흥무문>이라고 현판이 걸려있다. 이는 후에 흥무대왕으로 추증을 받았기 때문이다.

 

제왕의 격식을 갖춘 묘

 

김유신의 무덤은 지름이 30m에 달하는 커다란 규모이며, 봉분은 둥근 모양이다. 봉분 아래에는 둘레돌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는 돌난간을 둘렀는데, 둘레돌은 조각이 없는 것과 12지신상을 조각한 것을 교대로 배치하였다.

 

 

 

12지신상은 평복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몸은 사람의 형체이고 머리는 동물 모양이다. 조각의 깊이는 얕지만 대단히 세련된 솜씨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처럼 무덤 주위의 둘레돌에 12지신상을 조각하는 것은 통일신라 이후에 보이는 무덤양식으로, 성덕왕릉으로 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유신이 죽자 흥덕왕은 그를 흥무대왕으로 받들고, 왕릉의 예를 갖춰 무덤을 장식한 것으로 보인다. 또 『삼국사기』에는 김유신이 죽자 문무왕이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르고 그의 공덕을 기리는 비를 세웠다고 전한다. 그러나 현재 그 비는 전하지 않고, 조선시대에 경주부윤이 세운 비만 남아있다.

 

 

 

비에 숨은 비밀, 왜 그랬을까?

 

이 비와 마주보고 서 있는 또 하나의 비. 그 비는 100여 년 전에 세워졌다고 한다. 비에는 <개국공순충장열흥무왕릉>이라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비의 맨 아래글자인 능(陵)자가 물에 젖으면 묘자가 나타난다고 한다. 왕으로 추증을 받아 흥무대왕이란 호칭을 받았지만, 김해 김씨들이 관리를 하지 못하는 동안 누군가가 이렇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김유신묘를 찾아간 날은 날씨가 좋아 <묘>자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없었다. 관리인인 듯 한 분에게 물을 부어도 되느냐고 했더니, 안 된다는 대답이다. 삼국을 통일하고, 왕으로까지 추증을 받은 김유신. 그러나 어느 시대이건 간에 시시비비를 따지고자 하는 사람들은 있게 마련이다. 하지만 천년이나 지난 세월에, 굳이 그렇게 임금이 아니었음을 강조를 했어야 했을까?

 

 

또 얼마의 세월이 흐르고 난 뒤 또 다른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참 우리네 인간이란 것들은 참 묘하다. 왜 굳이 그런 일을 벌어야했는지, 하기에 사람은 살아생전 자신의 의지를 굳게 하라고 성현들이 말씀하셨나 보다. 오늘 이 묘비 하나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