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인 경기도당굿은 서울을 비롯한 한강 이북지방과 수원· 인천 등지에서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대동굿이다. 도당굿이란 마을의 안녕과 풍농, 풍어를 위해 매년 혹은 2년이나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월 초나 봄과 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굿을 말한다.

 

1990년 10월 10일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이 된 경기도당굿은 다른 지방의 도당굿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남자무당인 화랭이들이 굿을 맡아서 한다. 도당굿에서 나타나는 음악과 장단도 판소리기법을 따르고 있어, 예술성이 뛰어나고 전통문화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수원이 전승지인 경기도당굿

 

경기도당굿은 처음 지정이 될 당시 화랭이인 고 조한춘과 무녀인 고 오수복이 기예능보유자로 지정이 되었다. 지정 당시 도당은 부천 장말에서 연희를 하였으며, 수원에서는 평동과 거북산당(영동시장 안), 고색동 당에서 굿이 이루어졌다. 무녀로 지정이 된 고 오수복이 수원에 거주하였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그 전승지가 수원이 되었다.

 

 

고 오수복 보유자에게서 그동안 굿거리 제차를 배운 이수자들은 상당하다. 이들은 주로 무녀들이 맡아하는 시루도듬이나 부정굿, 제석굿, 군웅굿 등을 익혔으며, 고 조한춘 보유자에게서 화랭이 굿제를 익힌 화랭이들은, 조한춘의 아들인 조영국이 맡아서 연희를 담당해왔다.

 

오수복 보유자 생전 당시 음악을 맡아하던 전수조교는 고 방돌근이 있었다. 고 방돌근은 음악과 장단 문서(굿의 사설) 등에 일가견을 갖고 있었지만, 자신의 개인무대를 며칠 앞두고 세상을 떠나 안타까움을 사기도 했다.

 

경기도당굿을 이어간다.

 

당시 고 오수복 보유자에게서는 무녀제 굿을 익히고, 고 방돌근 전수조교에게서는 장단과 문서 등을 전수받은 승경숙(도당굿 이수자)이, 경기도당굿의 명맥을 잇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수자 승경숙은 현재 팔달구 인계동에 전안(무당들이 신을 모셔 놓은 곳)을 차리고 있으며, 전수생들의 강습은 오산시 원동 마등산 아래 역말굿당에서 하고 있다.

 

 

한꺼번에 많은 인원에게 소리와 장단, 춤사위 등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 주택가에서는 이렇게 큰 소리를 내어 사설을 익히고, 장단을 치는 등의 학습방법은 주위로부터 눈총을 받아야 한다. 이런 강습의 특성 때문에 인적이 없는 굿당을 택했다는 것이다.

 

오산시 원동에 소재한 역말굿당은 현재 마등사라는 명칭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 이곳은 경기도당굿 남부지부(오산시지부)로 등록이 되어있으며, 현재 4기 전수생을 가르치고 있다. 4기생은 모두 16명 정도가 학습을 하고 있으며, 수원과 오산 등에서 배우러 오고 있다고.

 

경기도당굿은 위엄이 있어

 

6월 3일(일) 경기도당굿의 학습을 하는 전수생들을 가르친다는, 오산시 원동 역말굿당을 찾았다. 입구에서부터 무가와 장단을 연습하는 소리가 마등산 자락에 넘실거린다. 10여 명의 전수생들이 저마다 장고를 앞에 놓고, 사설이 적힌 종이를 들여다보며 연습에 열중하고 있다. 아직 4기생이 전수를 시작한지가 2개월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잠시 쉬는 틈을 이용해 전수생들과 이야기를 해보았다. 수원 팔달구 인계동 550-83번지에 ‘애기씨당’이라는 전안을 차려놓은 전수생 최남수(여, 35세)는 이제 신내림을 받은 지 6년 밖에 안 되었단다. 23세부터 이미 신이 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림굿을 한 후, 굿을 제대로 배우고 싶어 경기도당굿을 배우기 시작했다고.

 

“저는 이제 2개월 정도 되었는데, TV 등에서 만날 이북굿이나 덩덩 뛰는 굿만 보다가, 경기도당굿을 보고 저 굿을 배워야겠다고 생각을 했어요. 경기도당굿은 딴 굿과는 달리 무가도 판소리기법으로 하는 것을 보고요. 도당굿은 위엄이 있고, 무게가 있는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우아하다고 할까요.”

 

오산시 원동에 거주한다는 전수생 강봉임(여, 40세)은 화장품 가게부터 별별 것들을 다해보았다고. 그러다가 신을 받은 지 12년이 되었다고 한다.

 

“신내림을 받고나서 창이나 배우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마침 이곳에서 경기도당굿을 가르친다고 해서 3기 전수생으로 등록했어요. 이제 8개월 정도가 되었는데, 아주 조금은 도당굿에 대해서 알 것 같아요. 도당굿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우리지역의 굿에 대해 더 많은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죠.”

 

아직은 도당굿의 진수를 잘 모른단다. 하지만 그 매력에 푹 빠져있다는 전수생들. 올해는 도당굿 정기공연에도 참석을 했다고. 고 오수복 보유자 사망이후 자칫 맥이 끊길지도 모른다고 우려를 한, 경기도당굿의 맥은 이수자 승경숙에 의해 그렇게 이어지고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