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산 무학사 태고종 대종사 혜성 큰스님을 뵙다

“저희 큰스님께서는 출가를 하신 후에 평생 남을 위해서 살아오신 분이십니다. 정말 존경스러운 분이시죠. 지금까지도 40년이 넘는 세월을 그렇게 남을 위해서 살아 오셨습니다.”

칠보산 아래 금곡동 무학사 주지이신 혜성 큰스님. 스님을 아는 사람이라면 대뜸 ‘아! 그분’하고 머리를 끄덕일 것이다. 1969년 태고종에 입문을 하신 후, 1969년 12월 칠보산 중턱에 무학사라는 절을 지으셨다. 그리고는 그때부터 남을 위한 삶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혜성 큰 스님의 이러한 남을 위한 삶은 아직도 계속 중이다.

“큰스님 어째 그렇게 남을 위해서 사시나요?”

참으로 큰스님께 드려서는 안 될 우문(愚問)을 드린 셈이다.

 

어려서부터 고통 받는 사람들을 두고 볼 수가 없어

 

“아마도 어려서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나서, 어머니의 사랑을 제대로 받아보지 못한 것이 이유인 듯합니다. 조국의 분단의 비극과 한국전쟁을 겪고 나서 주변을 돌아보니, 저보다 더 불행한 사람들이 보였어요. 그래서 집안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출가를 하게 되었죠.”

 

사실 알고 보면 이렇게 남을 위해 봉사를 하고, 가진 것을 선뜻 내어주는 것은 집안의 내력이다. 혜성 큰스님의 조부는 8,15 광복 후에 현 화성시 매송면(당시 수원군)의 초대 면장을 지내셨다. 1958년 당시 자비를 들여 어천수리조합이라는 것을 조성해, 수리조합장을 역임하면서 농민들에게 물을 대어주었다고 한다. 그 뿐만 아니라 당신이 갖고 있는 수만 평에 달하는 농토를 농민들에게 모두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지금도 매송면, 남양면, 비봉면 일대에서 농사를 짓고 살던 분들은, 조부의 공을 기억하고 있다고. 조부의 뒤를 이어 부친도 3대 면장이었다고 한다. 부친 역시 남을 돕는 것을 천직으로 알고 사셨다는 것. 어려서부터 그런 선조들의 삶을 보고 자라난 혜성 큰스님께서도, 자연이 남을 돕는 것이 당연하다고 느꼈을 것이다.

 

 

“사람이 태어날 때 손에 무엇을 쥐고 나오나요? 아니죠. 빈손으로 나옵니다. 본디 세상에 내 것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것을 마치 내 것 인양 알고 있기 때문에 분란이 오고 화가 미치는 법이죠. 모두 내려놓아야 합니다. 그것이 곧 부처님의 가르침이죠.”

 

100억대에 달하는 땅도 쾌척하신 혜성 큰스님

 

“큰스님, 그 많은 재산을 어떻게 그렇게 기부를 하셨습니까?”

질문마다 참 우문을 한다는 생각이다. 이미 혜성 큰스님께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세상을 뛰어넘어 피안에 살고 계신 것은 아니신지. 그럼에도 속된 질문을 하고 말았다. 혜성 큰스님은 얼굴 가득 웃음을 띠우시면서

“본디 내 것이 없다고 말씀을 드렸죠. 그리고 그런 재산을 갖고 있으면, 이다음에 우리 문도들이 환란을 당하게 됩니다. 팔요 하신 분께 드려야 그 분들이 또 좋은 일을 하시는 것이죠.”

혜성 큰스님은 2012년에 1차로 시가 약 15억 원에 달하는 땅 3천 평을 사회에 헌납하셨다. 그리고 이어 남들이 금싸라기 땅이라고 하는, 시가 100억 원에 달하는 땅마저 노인복지발전을 위해 기부를 하셨다는 것이다.

“그 때는 그렇게 큰 돈 인줄 몰랐어요. 기부를 하고보니 시세로 따져 그렇게 큰 금액이라는 겁니다.”

얼굴 가득 웃음을 띠신 혜성큰스님은, 세상에 태어나 꼭 해야 할 일이 바로 남을 위해 살아야 한다고 강조를 하신다.

 

 

세 번이나 총무원장의 소임을 맡아

 

“우리 큰스님은 참 대단하신 분이십니다. 남들은 한 번도 하기 어렵다는 총무원장을 세 번이나 역임하셨고, 입적하신 큰 스님들도 받지 못하는 대종사 칭호를 살아생전에 받으신 분이십니다. 이런 일은 모두 그동안 큰스님께서 얼마나 많은 일을 해 오셨는가를 알 수 있는 일이죠.”

한 자리에 앉아 대화를 하시던 처사님 한 분이 말씀을 하신다. 그런 말씀을 듣는 혜성 큰스님은 손 사례를 치신다.

“천만의 말씀이십니다. 저는 그저 제가 할 몫을 다했을 뿐이죠. 제가 너무 분에 넘치는 대우를 받기가 송구해, 몇 번을 고사를 하기도 했죠. 지금도 부끄러울 뿐입니다.”

 

혜성 큰스님은 1989년 대한불교 법상종 총무원장. 1989년 한일불교 문화교류 한국대표. 1991년 남북불교도 한국대표. 1995년 한국불교 미륵선종 총무원장. 1997년 한국불교 법왕종 총무원장. 2011년 대만국제불교 재승대회 한국대표 등을 역임하셨다, 2013년에는 한국불교 태고종에서 큰스님들이 타계 후에야 받는다는 ‘대종사’ 칭호를 생존에 받으셨다.

 

 

30년 넘는 세월을 이어온 장학사업과 노인복지사업

 

혜성 큰스님께서는 남을 위하는 것이 몸에 배셨다. 198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장학 사업을 하고 계시다. 언제나 소문 없이 하시기 때문에 아직도 큰스님의 소문이 나지 않고 있단다. 큰 스님의 장학 사업은 칠보초등학교를 비롯해 서호, 매송, 송라, 호매실, 탑동, 금호, 능실초등학교 등 졸업식 때만 되면 어김없이 이어지셨다. 미래에 이 나라를 짊어질 동량이 될 어린이들에게 온갖 정성을 다 쏟아 부으신 것.

 

그런가하면 노인복지에도 남다른 관심을 보이고 계시다. 1980년부터 어르신들을 위한 경노사업도 이어오고 계신 것. 매년 칠보초등학교 강당에 500~600명의 어르신들을 초청해 식사를 대접하시고 계시기도. 또한 (사)대한노인회 금호동 협의회 23개 회장단에게 월례회마다 점심식사대접을 하셨다. 그 외에도 45개 통장님들에게도 많은 위로와 함께 지원을 하기도.

 

현재 혜성 큰스님께서는 사단법인 사회복지발전협의회 이사장님으로, 하루 24사간을 쪼개, 봉사 일에 전념을 하고 계시단다.

 

“큰스님,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법문 한마디 부탁드려도 될까요?”

없는 시간을 쪼개어 만나주신 스님께 법문을 부탁드렸다.

“세상에 모든 사람들이 남에게 의지해서 살면 안 됩니다. 자신이 노력을 해서 얻은 수익 중, 단돈 1,000원이라도 남을 위해 쓸 수만 있다면, 굳이 복지라는 것을 정부에서 할 필요가 없죠. 그저 사람은 아무것도 갖고 갈 수 없습니다. 하기에 모든 것이 내 것이 아니니 내려놓아야죠. 그 마음만 갖고 있다면 정말 살기 좋은 세상이 도래할 것입니다”

 

대담을 마치고 포행을 나가시는 혜성 큰스님의 뒤로 바람 한 점이 따라간다. 아마 저 바람도 큰스님 마음이 닮고 싶었나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