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사람이 모르면 용감하다고 했던가? 박달나무라는 이야기만 듣고, 천연기념물을 찾아나섰다. 안내판이 서 있는 주변에 보는 아름드리나무들이 꽤 많은데, 어떤 것이 천연기념물인지도대체 알 수가 없다. 할 수 없이 해당 지자체에 안내를 부탁한다고 연락을 취했다. 그러고 나서 알게 된 천연기념물 가침박달나무.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37에는 천연기념물 제387호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과, 제388호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이 있다. 군락이라고 했으니 많은 나무들이 서 있을 텐데, 한 번도 본적이 없으니 어찌 찾아내랴. 결국은 해당지자체 담당자에게서 따끔하게 일침을 당하고 나서야 볼 수 있었다.

 

 

실을 ‘감치다’라는 표현에서 유래했다는 가침박달나무

 

산길을 따라 울타리쪽을 장식하고 있는 임실 가침박달나무는, 산기슭 및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4~5월 경에 꽃이 피며, 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없다. 원래 ‘가침박달’의 ‘가침’이란느 말의 어원은 ‘실로 감아 꿰맨다’는 ‘감치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가침박달나무의 열매를 보면 씨방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 있고, 각 칸은 실이나 끈으로 꿰맨 것처럼 되어 있다. 또한 나무의 질이 단단한 박달나무에서 ‘박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가침박달나무>라고 불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인 가침박달나무와 꽃(꽃 사진은 문화재청 자료) 

 

천연기념물인 임실의 가침박달나무 군락은, 직선거리 500m 내에 약 280그루 정도가 분포하고 있고, 3㎞ 내에 다시 300그루 정도의 무리를 이루고 있어 그 분포지의 넓이가 상당히 넓은 편이다. 나무의 높이는 대부분 2∼3m 정도이며, 가침박달나무는 한국에서 1종 1변이종이 자라고 있다. 주로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남부지방인 임실군 관촌은 가침박달나무 분포의 남쪽한계선으로 밝혀졌다.

 

연한 황색 꽃을 피우는 산개나리

 

가침박달나무의 생김새를 몰랐다고 하지만, 산개나리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저 일반적으로 많이 자라고 있는 개나리처럼 생겼거니 하고 찾아 나선 것이 화근이었다. 높이 1~2m 정도인 산개나리는 키가 작고 줄기가 분명하지 않다. 산개나리 역시 담당 공무원의 설명을 듣고서야 알아볼 수가 있었다.

 

 

산개나리의 어린 가지는 자주빛이 나며 털이 없고 2년쯤 자라면 회갈색을 띤다. 잎은 2∼6㎝로 넓고 큰데, 앞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잔털이 있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가칭박달나무가 서식하고 있는 곳 한편으로 이 산개나리 군락이 있는데, 이곳에는 약 230그루가 산개나리가 분포하고 있다. 산개나리는 북한산, 관악산 및 수원 화산에서 주로 자랐는데, 현재는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극소수만 남아있다. 임실 관촌 지역이 남부에 속하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는 산개나리가 자생하고 있는 것은 이곳의 기후가 중부지방과 비슷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개나리와 꽃(꽃은 문화재청 자료)

 

요즈음은 이 가침박달나무와 산개나리를 몰래 캐어가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그저 소중한 것을 제자리에 놓고 즐길 줄 모르는 일부 몰지각한 인사들로 인해, 우리의 소중한 천연기념물이 훼손당하고 있다는 것이 마음 아프다. 언제나 이런 소중한 문화유산이 제대로 대우를 받을 수 있으려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