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이상하리만치 고래 등 같은 기와집보다는 초가집이 마음에 와 닿는다. 아마 나더러 초가집과 기와집 중 둘 중에 하나를 택하라고 하면, 주저하지 않고 초가집을 택할 것이다. 초가집의 역사는 언제부터였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신라시대의 경우 서라벌 안에는 기와집만을 짓게 했던 곳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초가가 전해 내려왔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초가라 하면 볏짚으로 지붕을 이은 집을 말하지만, 원래는 자연에서 채취한 갈대나 억새, 띠 등을 이용하여 지붕을 엮은 새나리 지붕이 그 원조였을 것으로 본다. 새나리 지붕은 비교적 수명도 길고 깨끗하기는 하지만 재료를 구하기가 힘들어 쉽게 구할 수 있는 짚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초가집. 가장 정겨운 집의 이름이다.

 

그래서 농촌에서는 볏짚으로 이은 것이 많다. 그리고 기둥은 소나무, 벽면은 흙을 이용하여 집을 지었다. 볏짚은 가을에 추수가 끝나면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단열과 보온성이 우수하여 많은 집들이 짚을 이용하여 지붕을 덮었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벌레가 생기며 화재의 위험이 높다는 점도 있다. 또 볏짚을 매년 한 번씩 다시 바꾸어 지붕을 이어야 하므로 번거롭기도 하다.

 

초가집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나무로 기둥을 세운 다음 벽체는 대나무나 수수로 엮어 흙벽으로 하여 지붕을 올리는 <뼈대집>, 앞쪽을 제외한 세 면을 블록처럼 찍어 만든 흙 담을 쌓아 지붕을 올리는 <담집>이다. 이러한 초가집은 한때는 가난과 게으름의 상징이라고 하여 철거를 하고, 새마을 가옥이라고 하여 양철지붕을 올리고 붉은색과 푸른색을 칠해 우리의 전통적인 미를 말살시키기도 했다.

 

요즈음에는 집단으로 초가집이 있는 곳은 민속마을이라고 하여 보존을 하기도 하는 등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새롭게 초가에 대한 아름다움을 재조명 하고 있기도 하다.

 

 

이웃의 온기가 전해지는 초가

 

난 나름대로 초가를 좋아하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그 초가 안에 아주 작고 소담한 우리 민초들의 바람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흔히 초가의 지붕을 새로 올릴 때 용마루에 해당하는 것을 용마름이라고 하여 머리를 땋듯 엮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는 그런 기능도 연세가 드신 몇 분만이 제대로 하신다고 하니 그 기능을 전승시키는 것도 적은 일은 아닐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요즈음에는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용마름을 엮는 방법 등이 소개가 되고 있어 기본적인 내용이 글과 그림으로 정리가 되어있다는 점일 것이다. 용마름이란 용을 엮어 말아 놓은 단을 말한다. 이러한 마을사람들이 모여 공동작업으로 하는 초가집 이엉엮기 등은 모두 우리의 공동체를 지켜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가 안에는 따듯한 이웃의 온기가 전해진다.

 

 

그런데 왜 지붕을 '용마름'이라고 했을까?

 

용이란 임금을 뜻한다. 아마도 나랏님을 상징하는 용을 지붕 위에 얹어, 그 보호를 받는 것을 상징한 것은 아니었을까? 용으로 지붕을 덮는 것은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었을 것이다. 그 예로 궁의 임금의 숙소나 왕비의 숙소를 보면 그 곳에는 용마루가 없다. 한 지붕 안에 두 마리의 용이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란다.

 

즉 임금이 용이기 때문에 용 위에 또 용이 군림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보아 모든 가옥의 지붕 중앙의 가장 높은 곳을 용마루, 혹은 용마름이라 부르는 것은 바로 임금에 대한 충성심의 표현이란 생각이다.

 

 

이제는 단순히 서민을 상징하고 가난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의 아름다움을 그 안에서 찾는가 하면, 좀 더 우리답고 멋스러움을 찾는 초가집. 난 그래서 황토로 벽을 올리고 이엉을 엮어 용마루를 튼 초가집을 더 좋아하는지도 모르겠다. 짚이 부족하다고 하니 원초적인 모습대로 갈대와 억새, 띠와 칡넝쿨을 이용한 초가 한 칸을 짓고 살고 싶다.

 

가을이 되면 초가지붕 위에 무게가 나감직한 박덩이가 달린 모습을 보며 살고 싶다. 그리고 그 안에서 이웃과 함께 보리밥에 직접 농사를 지은 풋고추 몇 개 따서, 된장을 찍어먹는 소박함을 맛보고 싶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