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산32번지에는 사적 제217호인 '당성(唐城)'이 자리하고 있다. 이 당성이 소재하고 있는 남양 지역은, 신라 경덕왕 때는 '당은군'이라 불린 중국과의 교통 요지였다. 신라 후기에는 이곳에 '당성진'을 설치하여 청해진과 함께 신라 해군의 근거지로 삼은 중요한 곳이었다.

 

지난 3월 말경 오후 6시. 이제 30~40분 후면 일몰시간이라 사진조차 찍을 수가 없다. 당황성과 관련되는 가장 중요한 유적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당성을 찾아보기 위해, 늦은 시간이지만 당성으로 향했다. 올 들어 첫 황사가 심하게 끼는 날이다. 설상가상으로 화성은 서해와 인접해 딴 곳보다 황사가 심하다. 온통 시야가 뿌옇게 보일 정도이다.

 

 

 

이런 날 산성 답사라니...

 

당성 입구에 도달했는데 난감한 일이 생겼다. 카메라의 배터리 양을 나타내는 표시가 깜빡거린다. 셔터를 눌러보았지만 꼼짝도 하지 않는다. 몇 번을 벼르고 별러 찾아온 곳인데, 그리고 이제 얼마 후면 해도 떨어질 텐데 정말로 난감하기 이를 데 없다. 동행을 한 아우가 잠시 기다리라고 하더니, 밭 옆에 서있는 전신주로 가서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다행히 가방 안에 항상 충전기는 지니고 있어, 전신주에 있는 계량기 안에 코드를 연결할 수가 있었다. 배터리를 충전시키면서 기다리는 10여 분이 여삼추다. 벌써 날이 점점 어두워온다. 10여 분을 기다리면서 충전을 해 성으로 올랐다. 저 아래로 보이는 마을에는, 한 집 두 집 불이 켜지기 시작한다.

 

비탈길에 조

 

 

 

성한 성벽 위로 걷는데, 숨이 가쁘다. 그도 그럴 것이 오후에 나선 답사 길을 재촉하느라, 무리를 했기 때문이다. 다리도 뻐근하고 숨도 차다. 이렇게 숨을 가쁘게 몰아쉬면서 마시는 황사의 먼지는 도대체 얼마나 되는 것일까? 그러고 보니 정말로 내가 문화재 답사에 미친 '미치광이'가 아니라면, 이렇게 황사가 심한 날, 숨 가쁜 산성 답사를 할 일이 없을 듯하다.

 

삼국이 번갈아 차지했던 교통의 요지

 

당성은 계곡을 둘러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성은 남북으로 기다란 네모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현재 당성은 동문과 남문, 북문 터와 우물터, 건물터가 남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당성은 현재 복원 중이다. 성을 한 바퀴 돌다가 보니 세 곳 정도로 나누어서 복원을 하고 있는 듯하다.

 

 

 

 

 

당성은 화성 남양반도의 서신, 송산, 마도면의 3개면이 교차되는 중심부 가까이 위치한 구봉산에 자리하고 있다. 동남향으로 경사진 계곡을 이용하여 석루를 돌려 축성을 하였다. 전장이 1.2km 정도가 되는 이 당성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한때 고구려의 영토로 당성군이라 불렀다.

 

후일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게 되자 당항성이라 했다. 바다를 건너 중국과 통하는 길목의 역할을 하던 곳이다. 처음 이 당성의 성벽은, 쌓은 벽이 무너져 마치 흙과 돌을 합쳐서 쌓은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복원을 마친 곳 외에 드문드문 옛 성의 흔적들이 잡풀과 나뭇가지 사이로 보인다.

 

 

 

얼마를 돌아보니 지대가 높은 곳에 돌이 쌓여있고, 뒤편으로는 넓은 터가 보인다. 아마도 건물이 들어있던 곳 같다. 앞에는 '망해루 터'라는 석비가 있다. 이곳에 망해루라는 누각이 서 있었다는 것이다. 아직은 복원이 되지 않은 곳에 문지인 듯한 곳이 보인다. 벌써 날이 컴컴해진다. 시간을 보니 7시가 다 되어 있다.

 

당성을 한 바퀴 다 돌아 내려오니 기진맥진이다. 긴장이 풀려서 그런가 보다. 앞에까지 가서 성을 돌아보지 못할까봐 맘을 졸인 것이, 한꺼번에 피로를 몰고 온다. 삼국이 번갈아 가면서 차지했던 당성. 그만큼 중국과의 교역에 있어 중요한 거점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해가 떨어지고 있는 당성의 마른 숲길을 걸어 내려오면서, 또 하나의 소중한 문화재를 보았다는 것에 마음이 뿌듯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