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에게 있어서 문명을 가져다준 가장 중요한 원동력은 불이다. 인류가 불을 일으키고 이용하면서부터 문명은 급속도로 발전해왔다.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불을 사용하였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불을 언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는지는 추측할 따름이다. 불은 어둠을 밝히는 조명으로서의 불과 추위를 막아주는 난방으로서의 불, 그리고 점차 음식물을 조리하고 흙을 빚어 굽고, 쇠붙이를 녹여 각종 기물(器物)을 만들고, 국가의 위기를 알리는 신호에 이르기까지 그 쓰임새가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어둠을 밝힌다는 것은 인간의 활동이 밤에도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삶의 폭을 그만큼 넓힌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람들은 낮 시간을 이용해 모든 생업활동을 마감해야 했지만 어둠을 밝히는 조명이 가능하면서부터 밤까지 시간을 연장하여 생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조명으로서의 불은 관솔불, 횃불, 촛불, 등잔불, 전기불 등 다양하게 열거할 수 있다.

 

 

 

 

용인시 모현면에 자리한 등잔박물관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258-9에 소재한 등잔박물관은 우리의 삶의 모습을 지켜보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등잔들을 한곳에 모아 개관하였다. 김동휘 선생이 40여 년간 틈틈이 모아 온 자료들을 중심으로 19979월에 경기도 테마박물관으로 개관했다. 박물관은 수원 화성 봉돈의 이미지를 따서 건축되었다. 지하 1, 지상 3층 가운데 1, 2층은 전시공간이며, 지하층은 세미나 및 각종 공연을 위한 휴식공간이다. 800평 규모의 야외 전시장은 자연석과 다양한 종류의 나무, 그리고 연못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등잔박물관은 전 4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1층은 '생활 속의 등잔'을 주제로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서 등잔들이 어떻게 쓰여 졌는가를, 그 시대의 민속품들과 함께 전시하여,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부엌, 찬방, 사랑방, 안방 등에 있는 많은 자료들은 모두 우리 조상들이 남긴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2층 전시실은 '역사 속의 등잔' '아름다움 속의 등잔' 그리고 '특별기획실'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는 시대별, 형태별, 재질별, 용도별 및 제작기법상의 대표적인 것들을 비교. 감상 할 수 있도록 전시하였다. 특히, 특별기획실에는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그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보여줌으로써 한층 재미를 더하고자 하였다.

 

우리의 실생활에 쓰인 각종 가구들

 

야외전시장인 박물관 뜰에는 석등을 위시하여 물확, 연자매 등의 여러 가지 석물과 민속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편안히 쉬어갈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상우당(尙友堂))이라 불리는 박물관의 지하층은 무대공연과 전시기획, 세미나 및 심포지엄 등을 위한 150석 규모의 다목적 문화공간이다.

 

 

 

 

등잔박물관을 찾아가는 길은, 서울 판교에서 오는 길은 분당동과 태재고개, 오포터널 통과 후 150m 지점에서 능평 2(이정표 우측)로 빠져서 직진, 능골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300m 지점에서 좌회전을 하면 된다.

 

수원, 수지, 죽전에서는 43번 국도로 광주로 가다 능원리(이정표 우측)로 빠지면 바로 레이크사이드 후에 박물관 이정표가 나온다. 주말을 이용해 아이들과 함께 관람을 하기에도 적당하고,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 될 우리의 불 문화가 발전되어 온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 추천할만한 테마박물관이다.(글 자료/등잔박물관. 사진/박구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