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수원시 광교저수지 아래 광교공원에서는 아침 10시부터 물의 날 행사가 열렸다. 원래 세계 물의 날은 322일이지만, 수원에서는 토요일인 23일에 연 것이다. 이날 많은 사람들이 행사장에 몰려들어 물의 중요성과, 물 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에서의 물을 아끼는 법 등을 깨우치는 소중한 행사를 연 것이다.

 

물의 날 기념식을 마치고 난 뒤, 광교산에 있는 수원천의 발원지를 찾은 기념식도 함께 가졌다. 사실 수원에서는 수원천의 의미가 남다르다. 그것은 정조대왕이 화성을 축성하면서 수원천을 화성 안으로 흐르게 축성을 했는가 하면, 수원펀 가까이인 팔달산에는 선사시대의 묘인 지석묘가 집단으로 발견이 되어, 아주 오래전부터 수원천 인근에 취락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19번이나 찾아 헤맨 수원천의 발원지

 

수원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난 수원천의 발원지를 찾아 19번이나 광교산을 뒤지고 다녔다. 발원지를 찾을 때는 주로 건기인 눈이 내리지 않은 한 겨울이거나 4월과 7~8월을 이용한다. 그때 물이 부족한 하천들은 대다수가 말라버리기 때문이다. 한 여름이라고 해도 비가 많이 올 때는 피해야 한다. 땅 속에 스며들었던 물들이 흐르기 때문이다.

 

산에 오를 때는 물과 김밥 등을 넉넉히 준비해서 오른다. 하루 종일 8시간 이상을 산을 뒤지고 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는 설날에 올랐다가 곤욕을 치루기도 했다. 식당 등이 다 쉬는 날이라 떡국의 국물을 빼고 가져갔는데, 날이 추운지라 떡국이 얼어버려 결국 얼음떡국을 한 겨울에 야외에서 먹기도 했으니.

 

 

발원지의 조건은 이렇다.

 

수원천의 발원지를 찾아다닌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서이다. 몇 년 동안 우리나라의 강이나 하천의 발원지를 찾아보았기 때문이다.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 금강의 발원지인 뜬봉샘, 낙동강의 발원지 황지, 그리고 섬진강의 발원지인 데미샘 등, 강과 하천의 발원지만도 꽤 많이 찾아보았다.

 

4대강의 발원지를 찾아다니면서 웃지 못 할 일도 많았다.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를 찾았을 때는 눈이 수북이 쌓여 있을 때였다. 눈길에 몇 번이나 미끄러져 넘어졌는지 모른다. 데미샘은 꽤 많이 걸어야 한다. 한 여름에 찾아가는 길에 미쳐 물을 준비하지 못했다. 팔공산의 천상데미(해발 1,080m) 바로 아래에 있는 데미샘. 목이 말라 남들이 고로쇠물을 받는 것을 조금 마시다가 혼이 나기도.

 

 

금강의 발원지인 뜬봉샘을 찾은 것은 밤 11시 경이었다. 9시가 넘어 찾기 시작하다가 2시간 이상을 처음으로 찾아간 길에서 헤매기도 했으니, 그 고생은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가 없다. 인적 없는 밤의 산길을 왜 그리도 겁이 나던지. 그렇게 발원지를 찾아다니면서 나름대로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1. 반드시 용천수일 것

모든 발원지들이 갖는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이 여기저기서 스며들어 모이는 것이 아니라, 샘솟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용천수라고 한다. 용천수란 그야말로 그곳에서 샘이 솟아야 한다는 것. 용천수라는 명칭도 물이 솟다가 보면 수면보다 위로 솟는 모습이 용과 같다고 하여 부친 이름이다. 아니면 반드시 기포가 생겨야 한다. 기포가 없으면 주변의 지하에 있던 물이 고여 드는 것이다. 그것은 발원지가 아니다.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의 경우 검룡소 옆으로 더 큰 물줄기가 위에서 흐른다. 그러나 그 물은 솟는 물이 아니라 모여들어 흐르는 물이기 때문에, 더 높은 곳에 있어도 발원지가 되지 못한다.

 

2, 365일 마르지 않을 것

발원지의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365일 일 년 내내 마르지 않아야 한다. 어느 한 순간도 마르면 이것은 발원지가 될 수가 없다. 발원지를 찾을 때 건기를 이용하는 것은 바로 이런 마르지 않는 물줄기를 찾기 위해서이다.

 

3. 반드시 지표로 흐를 것

발원지에서 솟은 물이 흐르다가 어느 장소에서 지하로 스며들어 끊어진다면 그 또한 발원지가 될 수 없다. 발원지의 물들은 아무리 작은 물줄기라고 해도 반드시 지표를 흐르면서 주변의 물은 합해 큰 줄기가 되기 때문이다. 섬진강의 발원지인 데미샘의 경우 옹달샘 정도이지만 그 물은 계속 지표를 흐르면서 주변의 물을 합해 물줄기가 커지게 된다. 발원지에서 솟아난 용천수가 흐르면서 잠시라도 땅 속으로 스며들어 사라진다면, 그것은 이미 발원지의 조건이 될 수가 없다.

 

 

4. 가장 멀고 가장 높을 것

발원지가 갖는 조건 중 하나는 바로 가장 높고, 가장 멀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에 조건을 다 갖추고 있는 물이 솟는 장소 중에서 가장 높고, 가장 길어야 발원지의 조건을 갖추게 된다.

 

물의 발원지를 찾는다는 것은 조심스럽다. 모든 생물의 생명의 근원이 되는 곳이 바로 강이나 하천의 발원지이기 때문이다. 한 겨울에 찾은 검룡소 주변에는 눈 위에 수없이 많은 동물들의 발자국이 찍혀있었다. 바로 생명들이 그 처음의 물을 먹기 위함이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물의 발원지가 소중할 수밖에 없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