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로 된 한옥 한 채가 서 있다. 수덕사라는 고찰의 일주문 곁에 자리하고 있는 이 고택은, 도대체 언제부터 이 자리에 있었던 것일까?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에 소재한 충청남도 기념물 제103호인 이응로선생사적지’. 이 집은 한 때 여관으로 사용이 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수덕여관이라는 간판을 아직도 달고 있다.

 

이 수덕여관은 동양 미술의 우수성을 세계 속에 드높인 화가 고암 이응로(19041989) 화백이 작품 활동을 하던 곳이기도 하다. 수덕여관은 이응로화백이 1944년 구입하여 한국전쟁 때 피난처로도 사용하였으며, 수덕사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화폭으로 옮긴 곳이다. 또한 이응로화백이 1959년 프랑스로 건너가기 전까지 머물면서, 작품 활동을 했던 고택이다.

 

 

수많은 고초를 받은 이응로화백

 

1904112일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출생한 이응로화백은, 향년 84세인 1989110일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했다. 사인은 심장마비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최종국적은 프랑스였다. 이응로화백은 동양화, 서양화는 물론 판화까지도 두루 재능이 뛰어났다. 홍성에서 출생을 하였지만 어린 시절은 예산에서 주로 성장하였다.

 

이응로화백은 1923년 당시 경성부에서 유명한 서예가이자 서화가였던, 김규진의 문하생이 되어 서예, 사군자, 묵화 등을 배웠다. 이듬해인 1924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에 묵죽(墨竹)’을 출품하여 입선하였으며, 그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를 졸업하였다. 1938년 제17회 선전에서는 이왕직상을 수상하였고, 1946년 단구미술원을 조직하여 일본 잔재의 청산과 민족적인 한국화를 주창하기도 했다.

 

 

1948년에는 홍익대학교 주임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62년 프랑스 파리 파케티 화랑에서 콜라주전을 열었다. 1965년에는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에서 명예상을 차지해 세상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1967년에는 한국 전쟁 때 헤어진 아들을 만나기 위해 동독의 동베를린에 갔다가, 동베를린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다가 프랑스 정부의 주선으로 석방되어 다시 프랑스로 건너갔다.

 

이 일로 인해 국내 화단과는 단절되다시피 했으며, 주로 스위스와 프랑스 등에서 수십 차례의 초대전에 출품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계속하였다. 1975년 현대화랑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1977년 문헌화랑에서 신작 무화(舞畵)’로 개인전을 열었으나, 또다시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국내와는 완전 단절이 되었다.

 

 

여류화가 나혜석도 살다간 수덕여관

 

수덕여관은 이응로 화백이 1989년 프랑스로 건너가 세상을 뜰 때까지 묵었던 곳이기도 하다. 1988년까지 이곳에 머물렀던 이응로 화백은 집 앞에 있는 바위에 1969년 동백림 사건으로 귀국했을 때, 고향산천에서 삼라만상의 성쇠를 추상화하여 표현한 작품 두 점이 남아있다.

 

이 수덕여관은 수원출신인 최초의 여류화가 나혜석이 묵었던 곳이기도 하다. 일설에는 나혜석이 수덕사에서 3년간 머물렀다고 하지만, 사실은 수덕사의 경내가 아닌 이 수덕여관이라는 것이다. 그런 점으로 볼 때 이 수덕여관이야말로 우리 미술사에 남녀 거장이 묵었던 곳으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곳이다

 

 

방이 많은 것은 여관으로 운영했기 때문

 

수덕여관은 자형의 초가집이다. 정면으로 보면 중앙에 출입문을 두고 한편으로 정자와 같은 높임마루를 들였다. 마루 밑에는 창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부엌이나 창고로 사용한 듯하다. 원형을 복원하였다는 수덕여관은 정면 5칸에, 측면은 한편은 6.5, 또 한편은 4칸으로 꾸며졌다.

 

집을 돌아 안으로 들어가 보니 우측의 날개채는 모두 6개의 방을 드렸다. 아마 이곳에서 손님들이 묵었을 것이다. 객방의 방문 앞에는 툇마루로 연결을 하였으며, 중앙에도 방이 있다. 정자마루를 올라갈 수 있는 이 방은 사랑채 대용으로 사용이 된 듯하다. 좌측 날개채는 안채의 기능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좌측은 넓은 툇마루를 놓았으며, 뒤편으로는 장독과 우물이 있다. 이 고택의 앞으로는 덕숭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시원하게 소리를 낸다. 한 여름 더위에 지친 심신을 달래주기에 좋은 환경이다. 아마 이응로 화백이 이 집을 사들인 것도, 주변의 경관 때문이었을 것이다.

 

예전에는 이 수복여관 앞에 더덕구이 집들이 즐비했어요. 그 때만 해도 상당이 싼 값에 더덕구이를 먹을 수 있었죠. 개천가에 자리를 잡고 앉아 더덕구이에 동동주 한 잔하면, 세상시름을 다 잊을 수가 있었으니까요

 

오랜만에 수덕사를 찾아왔더니 입구에 늘어선 점포들로 인해 절의 분위기까지 달라졌다는 관광객의 푸념이다. 수덕여관을 한 바퀴 돌면서 찬찬히 살펴본다. 대문 앞에 꽃을 피운 배롱나무 한 그루가 초가집과 딱 어울린다. 한 많은 세상을 살다간 노화백의 시름도 모르는 체 피어있는 배롱나무 꽃. 그리고 이곳이 수원출신 비운의 여류화가 나혜석이 묵었다는 것을 모르고 무심하게 흐르고 있는 개울의 물. 세월은 그렇게 잊히는 것인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