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가야산에 있는 삼보사찰 중 하나인 법보종찰인 해인사에는 볼 것이 참 많다. 물론 내가 볼 것이라고 표현을 하는 것은 문화재를 말한다. 대적광전 앞에 있는 석등과 석탑을 열심히 찍고 있는데, 대적광전 안에서 들리는 염불소리에 정신을 빼앗기고 만다. 강원에 있는 학인승 등 백여 명이 함께 하고 있는 염불소리는 듣는 것만으로도 장관이다.

그런데 그 예불을 하는 동안 법고를 치는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보니 사시예불 후미에 종각에 있는 사물을 울려 공양을 한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또 하나의 장관을 놓친 것이다. 사시예불의 소리 공양을 올린다는 사물은, 범종과 법고, 그리고 목어와 운판을 울려 소리를 내는 것이다.


벼르고 갔는데, 소리공양을 놓치다니

법고 소리가 난다는 것은 이미 목어와 운판의 소리가 끝났음을 의미한다. 허겁지겁 사진을 찍고 종각 쪽으로 가니, 사람들이 모여 있다. 소리공양을 보기 위함이다. 이미 법고도 끝날 때가 되었다. 사실은 이것을 찍으려고 벼르고 있었는데, 정발 필요한 것을 놓친 것이다. 그나마 아직 학인승 한 분이, 법고 앞에 발을 나란히 딛고 한 점 흐트러짐이 없는 자세로 북을 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이란 생각으로 얼른 다가가 카메라에 담았다. 절을 들어서면 그 입구에 종루나 범종루, 범종각 이라 쓴 누각이 있다. 어느 곳에는 종만 달린 곳이 있는가 하면, 어느 곳에는 사물을 다 달아놓은 곳도 있다. 물론 해인사에는 사물이 다 걸려있다. 그런데 그 사물공양을 하는 것을 놓쳐버린 것이다.



사물의 의미는 하늘과 땅, 물을 상징해

사물을 울려 공양을 하는 것은, 그 소리를 통해 세상의 모든 생명을 구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물을 울림으로써 잠든 영혼을 깨우치고자 하는 뜻을 갖고 있다.

범종을 울리는 것은 바로 부처님의 음성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소리를 듣고 세상의 모든 생명이 깨우치기를 바라는 것이다. 아침에는 28번을, 저녁에는 33번을 울린다. 법고는 군중을 모으는 불구로 이용을 하던 것이다. 북소리가 울려 퍼지듯 땅에 사는 모든 생명들이 번뇌를 끊고, 해탈을 이루게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법고를 치는 것은 북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 듯, 세상의 모든 중생들이 불법에 귀를 기울이기를 바라고 있다. 발을 팔자로 딛고 두 손에 잡은 채를 이용해 법고놀이를 하는 학인승의 뒷모습이 반듯해 보인다. 아마도 이렇게 반듯한 마음으로 학업에 정진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언제나 그 사물의 모든 것을 깨우치려나?

그나마 소리조차 놓친 목어와 운판은 물과 하늘에 사는 생명을 구제한다는 것이다. 목어는 물고기 모양으로 조각한 것인데, 복판을 파내어 그곳에 채를 집어넣고 친다. 구름모양의 철로 만든 운판은 하늘에 사는 생명을 위하여 치는 것이다. 목어는 물고기가 눈을 감지 않듯, 언제나 잠이 들지 않고(물론 정신을 말한다), 용명정진하라는 뜻도 갖고 있다.

아 신라의 밤이여
불국사의 종소리 들리어 온다
지나가는 나그네여 결음을 멈추어라


현인 선생의 노래이다. 이 노래를 떠올리게 하는 것이 바로 사찰의 종소리이다. 그 은은함에 빠져들면 세상 모든 고뇌가 한 순간에 사라지는 것만 같다. 그리고 더 이상 걸음을 옮길 수가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소리공양을 들을 수는 없었지만, 그 마지막 부분만으로도 귀가 깨끗해진 듯하다. 세상 모든 생명이 다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소리공양을 들었으니. 하지만 또 다시 돌아서면 세상의 소리에 젖고 말 것을. 언제나 깨끗한 마음을 가질 수 있으려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