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들의 지혜를 알아볼 수 있는 농기구

 

8월이면 우리나라 인근에 접근하는 23, 태풍 19호 솔릭이 내륙으로 접근한다는 소식에 모든 사람들이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농사꾼들은 일 년 동안 땀 흘려 지은 농사를 망칠까봐 전전긍긍이다. 봄철부터 논농사를 지어 온 농부들의 심정이 오죽할까? 방송에서도 잘 익어가고 있는 벼농사를 망칠까봐 걱정하는 농사꾼들의 모습을 방영한다.

 

우리민족은 쌀이 주식이다. 아무리 세상에 변해 수많은 외국의 음식이 들어와 우리의 밥상을 잠식했다고 해도 그래도 우리민족은 쌀로 지은 밥을 먹어야 한다. “밥이 보약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그런 벼농사를 짓기 위한 각종 농기구들도 상당수가 전해진다. 지금도 촌에 가면 만날 수 있는 농기구 중에는 용두레와 수리채가 있다.

용두레는 한쪽에 괸 물을 옮기거나 낮은 곳에 있는 물을 높은 곳으로 퍼 올리는데 사용한다. 지방에 따라서 통두레·파래·품개·풍개로 부르기도 한다. 통나무를 배 모양으로 길쭉하게 파서 몸통을 만들고 그 가운데 양쪽으로 작은 구멍을 뚫어 가는 나무를 끼우고 여기에 끈을 매단다. 이 끈은 3개의 긴 작대기를 원뿔형으로 모아 세운 꼭대기에 연결하여 몸통을 들어 올려 뒤편 몸통 끝에 달린 손잡이를 쥐고 앞뒤로 흔들며 물을 퍼 올린다.

 

용두레에는 보통 2말의 물이 실리는데 하루에 약 1000()의 물을 옮길 수 있다. 그러나 두 곳의 높이 차가 심하면 사용할 수 없다. 하기에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해 수차인 수리채를 개발했다. 우리민족이 언제부터 수차를 사용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56세기 무렵으로 추측된다.

 

610년 고구려의 승려 담징(曇徵)이 일본에 건너가서 연자맷돌을 만들었다는 사실(史實)이 있으며, 이것은 수차의 일종일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사에 따르면 1362(공민왕 11) 중국 농민들이 가뭄 때 수차를 이용하는 것을 보고 관()에서 수차를 만들어 농민들에게 관개용으로 쓰도록 장려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가로축 수차가 많이 이용되었으며, 광복 전까지 구조에 변화 없는 전통적 형식으로 계승되어 현재도 같은 형식의 것을 농촌에서 볼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서울 세검정에 연자방아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당시 이러한 큰 수차나 연자방아는 산택사(山澤司)라는 관청에서 관장하였고, 정부 양곡을 도정(搗精)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양수기로서의 수차에는 용골차(龍骨車)와 통차 등이 있었고, 16세기 이후에는 용미차(龍尾車)와 옥형차(玉衡車) 같은 서유럽식 수차가 도입되기도 했다. 고려 말 이래 수차라면 일반적으로 용골차였으며, 이는 170년 무렵에 한()나라에서 발명되어 삼국시대에 들어와서 겨우 명맥을 이어오다 조선 초기부터 조금씩 발전되었다.

 

용골차는 강이나 저수지 등에서 용골판을 회전시켜 물을 끌어올리도록 만들어졌으며 회전동력으로 족답(足踏수전(手轉축력(畜力) 등이 사용되었다. 또 이를 라고 했던 것으로 상당히 오랜 전통을 가졌음이 짐작된다. 성종 때에는 최부(崔溥)가 중국에서 본 수전수차를 보급시키려고 노력하였다.

 

1502년에는 전익경(全益慶)이 정교하고 효율적인 수차를 만들었다 하며, 1546(명종 1)에도 중국의 수차를 보급시키려고 노력했던 것이 명종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답차는 간편하고 제작비도 적게 들며 한 사람이 밟아 돌려도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비교적 많이 보급되었다. 답차는 지금도 볼 수 있는 단순한 수차로서 염전에서 흔히 쓰이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