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예산 수덕사 앞에 소재한 수덕여관은 정월 나혜석 선생이 말년에 스님이 되고 싶어 수덕사를 찾아갔다가 그곳 수덕여관에서 작품활동을 하던 곳입니다. 수덕여관은 원래 수덕사 비구니 스님들의 숙소였다고 하는데, 나중에 이응로 화백께서 편히 쉴 곳을 찾다가 그곳을 매입해 수덕여관으로 개명했다고 합니다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에 소재한 충청남도 기념물 제103호인 이응로선생사적지’. 이 집은 한 때 여관으로 사용이 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이 수덕여관은 동양 미술의 우수성을 세계 속에 드높인 화가 고암 이응로(19041989) 화백이 작품 활동을 하던 곳이기도 하다. 수덕여관은 이응로 화백이 1944년 구입하여 한국전쟁 때 피난처로도 사용하였으며, 수덕사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화폭으로 옮긴 곳이다. 또한 이응로 화백이 1959년 프랑스로 건너가기 전까지 머물면서 작품 활동을 했던 고택이다.

 

 

이응로 화백과 정월 나혜석

 

이응로 화백은 1923년 당시 경성부에서 유명한 서예가이자 서화가였던, 김규진의 문하생이 되어 서예, 사군자, 묵화 등을 배웠다. 이듬해인 1924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에 묵죽(墨竹)’을 출품하여 입선하였으며, 그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를 졸업하였다. 1938년 제17회 선전에서는 이왕직상을 수상하였고, 1946년 단구미술원을 조직하여 일본 잔재의 청산과 민족적인 한국화를 주창하기도 했다.

 

이 수덕여관은 수원출신인 최초의 여류화가 나혜석이 묵었던 곳이기도 하다. 일설에는 나혜석이 수덕사에서 3년간 머물렀다고 하지만, 수덕사 경내가 아닌 이 수덕여관에서 묵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런 점으로 볼 때 이 수덕여관이야말로 우리 미술사에 남녀 거장이 묵었던 곳으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곳이다

 

정월 나혜석, 우리는 그녀를 흔히 불꽃같은 삶을 살다간 여인이라고 표현한다. 나혜석의 생전 당시 그 어느 누구도 나혜석과 같은 삶을 살아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나혜석은 여류화가요, 시인이다. 또한 여성의 권리신장을 주창한 신여성이기도 하다. 나혜석은 1896428일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났다.

 

19481210일 당시 나이 52세로 세상을 떠난 나혜석을 기리는 골목축제가 팔달구 행궁동에서 그녀의 태어난 날인 428일과 29일 열린다. 지난 해 행궁동에 소재한 전통찻집 다전에서는 행궁동 주동장을 비롯해 행궁동 주민 30여명과 행사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나혜석 생가터 골목전이 열었다.

 

여성의 선구자라고 하는 정월 나혜석. 나혜석에 대한 평가는 상반된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나혜석은 이 시대에 올바른 평가를 받지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혜석의 출생 122년을 맞이하여 나혜석에 대한 평가를 다시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독립운동을 한 나혜석을 기리는 작업 이어가야

 

우리 조선여자를 위하여 일심전력하는 나혜석 여사는 금번 당지 팔번통 태성의원 내에 여자 야학을 설립하고 매주 3일간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 열성으로 지도하여 입학지원자가 날로 많다더라’ 19223월경 신문에 난 기사의 일부이다.

 

1922년 남편 김우영이 만주 안동현 부영사로 전보되자 나혜석은 그를 따라갔다. 안동현으로 남편 김우영을 따라간 나혜석은 19223월부터 안동현 태성의원(泰誠醫院) 내에 안동현 여자야학을 설립해 교육사업에 나서는 한편, 부영사 부인의 직위를 이용해 독립운동가들을 도왔다. 또한 의열단의 김원봉 등에게 거사 자금을 비밀리에 송금하기도 했다.

 

나혜석은 약 6년간 안동에 정착하면서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한인사회를 보듬으면서 화가로서의 창작활동도 활발하게 이어나갔다. 나혜석은 안동의 생활을 한 마디로 이렇게 말했다.

사회상으로 사업을 해본데도 여기요. 개인적으로 남을 도와본대도 여기요. 인심에 대한 짠맛 단맛을 본대도 여기요.”라고. 나혜석은 6년여 동안 안동에 거주하면서 여성의 몸으로 신교육사업과 나라의 독립을 위해 많은 일을 감당했다.

 

사람들은 나혜석을 불륜녀, 혹은 이혼녀등으로 치부한다. 나혜석이 한 말 중 "정조는 취미다""자식은 악마다." 혹은 "결혼은 지옥이다" 라는 등의 발언은 사회적으로 충격을 주었다. 그러한 사회적 금기를 깨는 말로 인해 나혜석은 사회로 부터 완전히 소외된다. 그렇게 신여성으로 살아가던 나혜석은 말년에 들어 인간들에게서 버림을 받는다.

 

 

골목을 누비며 나혜석을 찾아보다

 

어린 시절 나혜석은 정조대왕의 어진을 모신 화령전을 바라보며 꿈을 키운 것은 아니었을까? 미세먼지가 심하다는 날이지만 행궁동 나혜석의 생가지를 찾아나섰다. 행궁동은 20139월 한 달 동안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할 당시 골목마다 벽화를 조성해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행궁동 벽화골목으로 기억하고 있다.

 

행궁동주민센터 앞으로는 이 마을이 니혜석이 출생한 곳을 알리고 있고 주민센터 옆으로 난 골목입구에는 나혜석 그림골목이라는 푯말이 걸려있다. 딴 곳처럼 전형적인 그림골목이기보다는 곳곳에 나혜석을 기리기 위한 그림들을 그려놓았다. 하지만 그 그림을 보는 것만으로도 이곳이 나혜석과 관련이 있는 곳임을 알 수 있다.

 

벽에는 곳곳에 나혜석이 생전에 그린 작품들을 모사해 놓은 그림벽이 보인다. 그렇게 작품을 만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그림골목이 남다르다. 한 세상을 살아가면서 독립운동가로 화가로, 그리고 글을 쓰는 작가로 살다간 정월 나혜석. 이 행궁동 일대는 온통 나혜석을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나혜석 거리 이 곳으로 정해야

 

골목을 돌아보면서 만나는 나혜석이 색다르다. 한 여름 이곳에서 축제가 벌어질 때 만났던 나혜석이었지만 날씨가 쓸쓸해서인가? 아니면 골목에 부는 찬바람 때문인가? 나혜석의 표정도 어딘가 쓸쓸해 보인다. 그래도 이곳의 그림골목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나혜석의 모습이 있어 조금은 쓸쓸함을 가셔준다.

 

정월 나혜석은 이곳에서 태어났고 이곳에서 어린시절을 보냈을 텐데 왜 나혜석 거리는 엉뚱한 곳에 가서 있는 것일까? 그것도 술집이 즐비한 곳에 나혜석이라는 명칭을 붙인 것일까? 아마 나혜석이 그 거리를 보고 있었다면 과연 즐거워는 했을 것인가? 그 거리로 인해 정월 나혜석에 대한 평가가 오히려 저해를 받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나혜석이 태어난 행궁동 나혜석 그림골목. 1월의 뿌연 저녁에 찾아간 그 거리에서 나혜석은 우리에게 무슨 이야길 하고 있을까? 아마다 자신이 태어난 이곳이 온통 꽃으로 아름답게 그런 아름다운 거리를 그림으로 그리고 싶어 하지는 않을까? 나혜석 그림골목으로 걸으며 온갖 생각들이 머리를 꽉 채운다.

수원복지신문 특별취재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