꽤나 오랜 시간이 지났나보다. 오늘 해수욕장 기사를 쓰려고 사진 정리를 하는 중에, 낯 익은 사진 한 장이 보인다. 2009년 1월인가, 하조대 해수욕장 인근으로 간 적이 있었다. 겨울 풍광을 찍으려고 찾아간 날은, 날씨마져 바람이 불고 엄청 추웠던 기억이 난다.

 

그날따라 뜨끄하고 매콤한 것을 먹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찾아간 곳이 바로 매운탕집이다. 자연산 바닷고기를 이용해 매운탕을 끓이는 집인데 나름 맛집이라고 한다. 매운탕이 끓길 기다리다가 빆을 보니 이런 광경이 눈에 띤다. 



그런데 바닷가에 해풍에 말리려고 걸어 놓은 양미리 밑에, 검은 고양이 한 마리가 하염없이 앉아있다. 시간이 꽤 흘렀는데도 요지부동이다. 몇번 뛰어보았지만, 양미리가 걸려있는 높이가 만만치가 않은가 보다. 그렇게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고 앉아있는 녀석. 아마 마음 속으로는 이랬을 것이다.

 

 

곳곳에서 정월 지신밟기와 입춘축 써주기 열려

 

24일은 일 년 24절기 중 첫 절기에 해당하는 입춘(立春)이다. 입춘은 말 그대로 봄을 시작하는 날로 도시나 시골을 가리지 않고 대문과 기둥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 붙인다. 이를 춘축(春祝)’이라 하는데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손수 춘축을 써 붙이기도 한다. 하지만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들은 글을 잘 쓰는 사람에게 가서 자신의 가정에 적당한 글귀를 받아오기도 한다.

 

옛날 대궐에서는 대전의 기둥이나 난간, 혹은 문 등에 춘축을 붙였다. 정월 초하룻날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 중에서 좋은 글귀를 선정해 붙였는데 이를 춘첩자(春帖子)’라고 했다. ‘연상시(延祥詩)’란 명절을 맞이하여 나라와 군주에게 상서로운 일이 있기를 바라는 뜻으로 대신들이 임금에게 지어 바치는 시를 말하는 것이다.

 

<열양세시기>에 보면 입춘이 되기 며칠 전에 승정원 정삼품 통정대부 이하와 시종을 뽑아 임금께 아뢰고 각 전과 궁의 춘첩자를 지을 사람을 소명하는 패를 보내 부르게 하였다. 대제학은 오언칠구의 사률 등을 절구로 각각 1편씩을 지으라고 운자를 내어준다. 마치 과거를 보는 것과 같이 3등급 이상을 뽑아 합격시키고, 줄 머리에 횡으로 줄을 그어 나누는 표시를 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입춘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부모쳔년수 자손만세영(父母千年壽 子孫萬歲榮), 문영춘하추동복 호납동서남북재(門迎春夏秋冬福 戶納東西南北財) 등이었다. 한 해의 첫날을 상징하는 입춘축이므로 좋은 글귀를 써 붙여 일 년간 평안을 빌었던 것이다.

 

대련(對聯)’이란 대문이나 기둥 같은 곳에 써 붙이는 대구(對句)의 글귀를 말한다. 입춘축을 써 붙일 때 여염집에서는 대개 대련으로 글귀를 써 양편에 글을 나누어 붙였다. 여염집에 붙이는 대련의 문구는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거천재 내백목(去天災 來百福), ’요지일원 순지건곤(堯之日月 舜之乾坤)‘ 등의 대련구를 많이 붙였다.

 

입춘은 말 그대로 봄으로 접어드는 시기를 말한다. 음력으로는 절기의 차이가 심해 정월에 들기도 하고 섣달에 들기도 한다. 섣달과 정월, 거듭들기도 하는데 이를 재봉춘(再逢春)’이라고 한다. 이렇게 입춘을 맞이하여 시민들에게 입춘축을 써서 나누어주는 행위는 바람직한 일이란 생각이다.

 

 

음력 정월 초3일부터 마을마다 지신밟기 열려

 

하늘에서 평신(坪神)이 강림한다는 음력 정월 초3일부터 시작하는 각종 민속놀이는 그 열기를 더해 정월 보름을 기해 절정에 달한다. 음력 정월 초3일되면 각 마을마다 두레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지신밟기는 마을마다 한 집도 빠짐없이 다니면서 고사덕담(告祀德談)’인 축원을 해주는데, 문굿부터 시작 해 우물, 마구간, 부엌, 장독대 등을 돈 후, 대청에 마련해 놓은 고사상 앞에서 덕담을 한다.

 

고사덕담은 그 집이 일 년 동안 안과태평하기를 바라는 축원굿으로, 일 년 간의 액을 막아내는 홍수풀이부터 농사가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농사풀이 등 창자의 능력을 따라 다양한 소리를 한다. 지신밟기를 마치면 대청에 마련한 술과 떡을 나누고 난 뒤, 고사상에 올려 놓은 쌀과 돈을 갖고 다음 집으로 향한다. 그 쌀과 돈은 마을의 공동기금으로 사용을 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집집마다 먼저 지신밟기를 하기 위해 풍물패를 집안으로 끌어들였다고 하니, 우리민족은 정월에 하는 놀이가 풍농과 안과태평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믿음이 있었던 것 같다. 이렇게 마을을 돌면서 지신밟기를 하던 두레패들이 길에서 만나게 되면, 상대방에게 먼저 기를 숙여 인사를 하라고 소리를 친다. 그러다가 급기야 상대 두레기의 상단에 꽂힌 꿩장목을 뽑게 되는데 이것이 정월에 열리는 '두레싸움'이다.

 

마을을 돌며 지신밟기를 하던 풍장패들이 한 곳으로 모여들어 근동 30여 개 마을에서 모여든 풍장패들이, 한 곳에서 풍물을 울렸다고 하니 가히 그 위세가 대단했음을 일 수 있다. 요즈음은 이렇게 제대로 지신밟기를 하면서 고사덕담 등을 할 수 있는 연희패를 만나기도 힘들다. 과거 마을마다 연희가 된 지신밟기, 오늘 이 지신밟기가 수원 전역 한 해의 동티를 모두 막아주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다.

선조들의 지혜를 알아볼 수 있는 농기구

 

8월이면 우리나라 인근에 접근하는 23, 태풍 19호 솔릭이 내륙으로 접근한다는 소식에 모든 사람들이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농사꾼들은 일 년 동안 땀 흘려 지은 농사를 망칠까봐 전전긍긍이다. 봄철부터 논농사를 지어 온 농부들의 심정이 오죽할까? 방송에서도 잘 익어가고 있는 벼농사를 망칠까봐 걱정하는 농사꾼들의 모습을 방영한다.

 

우리민족은 쌀이 주식이다. 아무리 세상에 변해 수많은 외국의 음식이 들어와 우리의 밥상을 잠식했다고 해도 그래도 우리민족은 쌀로 지은 밥을 먹어야 한다. “밥이 보약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그런 벼농사를 짓기 위한 각종 농기구들도 상당수가 전해진다. 지금도 촌에 가면 만날 수 있는 농기구 중에는 용두레와 수리채가 있다.

용두레는 한쪽에 괸 물을 옮기거나 낮은 곳에 있는 물을 높은 곳으로 퍼 올리는데 사용한다. 지방에 따라서 통두레·파래·품개·풍개로 부르기도 한다. 통나무를 배 모양으로 길쭉하게 파서 몸통을 만들고 그 가운데 양쪽으로 작은 구멍을 뚫어 가는 나무를 끼우고 여기에 끈을 매단다. 이 끈은 3개의 긴 작대기를 원뿔형으로 모아 세운 꼭대기에 연결하여 몸통을 들어 올려 뒤편 몸통 끝에 달린 손잡이를 쥐고 앞뒤로 흔들며 물을 퍼 올린다.

 

용두레에는 보통 2말의 물이 실리는데 하루에 약 1000()의 물을 옮길 수 있다. 그러나 두 곳의 높이 차가 심하면 사용할 수 없다. 하기에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해 수차인 수리채를 개발했다. 우리민족이 언제부터 수차를 사용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56세기 무렵으로 추측된다.

 

610년 고구려의 승려 담징(曇徵)이 일본에 건너가서 연자맷돌을 만들었다는 사실(史實)이 있으며, 이것은 수차의 일종일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사에 따르면 1362(공민왕 11) 중국 농민들이 가뭄 때 수차를 이용하는 것을 보고 관()에서 수차를 만들어 농민들에게 관개용으로 쓰도록 장려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가로축 수차가 많이 이용되었으며, 광복 전까지 구조에 변화 없는 전통적 형식으로 계승되어 현재도 같은 형식의 것을 농촌에서 볼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서울 세검정에 연자방아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당시 이러한 큰 수차나 연자방아는 산택사(山澤司)라는 관청에서 관장하였고, 정부 양곡을 도정(搗精)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양수기로서의 수차에는 용골차(龍骨車)와 통차 등이 있었고, 16세기 이후에는 용미차(龍尾車)와 옥형차(玉衡車) 같은 서유럽식 수차가 도입되기도 했다. 고려 말 이래 수차라면 일반적으로 용골차였으며, 이는 170년 무렵에 한()나라에서 발명되어 삼국시대에 들어와서 겨우 명맥을 이어오다 조선 초기부터 조금씩 발전되었다.

 

용골차는 강이나 저수지 등에서 용골판을 회전시켜 물을 끌어올리도록 만들어졌으며 회전동력으로 족답(足踏수전(手轉축력(畜力) 등이 사용되었다. 또 이를 라고 했던 것으로 상당히 오랜 전통을 가졌음이 짐작된다. 성종 때에는 최부(崔溥)가 중국에서 본 수전수차를 보급시키려고 노력하였다.

 

1502년에는 전익경(全益慶)이 정교하고 효율적인 수차를 만들었다 하며, 1546(명종 1)에도 중국의 수차를 보급시키려고 노력했던 것이 명종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답차는 간편하고 제작비도 적게 들며 한 사람이 밟아 돌려도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비교적 많이 보급되었다. 답차는 지금도 볼 수 있는 단순한 수차로서 염전에서 흔히 쓰이고 있다.

 

음질 저하 없이 보다 우수한 화질로 극장용 영사기 시스템 대체 가능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영화 상영을 한 후 120년 넘게 극장에서 사용해 온 영사기와 스크린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LED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이 경기도의 산학협력사업을 통해 세계최초로 개발됐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인 한국항공대학교 영상음향공간 융합기술 연구센터는 최근 입체음향 관련 전문업체인 ()소닉티어오디오와 함께 투음(透音) LED 디스플레이 모듈 개발에 성공, 상용화에 나섰다.

 

투음 LED 디스플레이 모듈은 말 그대로 소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현재 영화 상영은 영사기를 통해 스크린에 영상을 투여하고 극장내 설치된 여러 개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가운데 사람의 음성을 전달하는 스피커는 스크린 뒤편에 설치돼 있는데 극장에서는 소리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지름 1mm 정도의 구멍을 촘촘히 낸 고밀도 천공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영사기와 스크린 방식은 고화질 영상을 재현하기에는 낮은 명암비로 한계가 있다는 것.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다양한 LED 디스플레이가 개발됐지만 중앙스피커의 음향 재생을 할 수 없어 상용화되지 못했다.

 

기술개발에 성공한 투음 디스플레이 모듈은 LED 소자에 구멍을 내는 타공 LED라는 특허기술을 사용해 디스플레이 뒤쪽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앞으로 보낼 수 있어 입체적 음향 전달이 가능하다. 투음 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25cm인 정사각형 형태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필요한 수만큼 이어붙이면 16m×8.7m 정도의 일반 극장용 스크린이 된다. , UHD(4K) 수준의 초고화질 영상 재생이 가능해 4K로 제작된 영화도 원본 그대로 상영할 수 있다. 이밖에도 LED 디스플레이 특성상 영사기 없이 컴퓨터 등 디지털 장치 연결만으로도 영화 상영이 가능하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17년 말 기준 국내 영화관 스크린 수는 2,766개다. 7%대에 이르는 스크린증가추세를 국내 시장에 적용하면 내년은 3천여개로 늘게 되는데 이 가운데 2%정도인 60개 스크린만 투음 디스플레이로 대체돼도 120억원(60×2) 이상의 내수 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경기도는 투음 디스플레이가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평원 경기도 과학기술과장은 소리가 투과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원천 특허를 보유한 소닉티어오디오와 항공대학교 연구팀, 경기도의 지원이 합쳐지면서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신제품이 탄생했다면서 관련 기술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은 연구개발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가 도내 대학, 연구소와 중소기업을 연결, 기술개발 활동을 지원하는 산·학 협력모델이다. 도는 지난해 이번 연구를 맡은 영상음향공간 융합기술 연구센터(한국항공대학교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에 도비 51천만원을 지원해 연구를 도왔다.

 

<수원시민이 기록한 416> 사진전 아프다

 

2014416. 이날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씻지 못할 아픔을 만든 날이다. 진도 팽목항 앞 남해의 차가운 물속에 꽃다운 나이의 젊은이들이 나라 같지 않은 정부의 실수로 인해 스러져버렸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벌써 4년이 흘렀다. 하지만 진실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채 많은 사람들의 의문 속에 세월호는 기억 속으로 남게 되었다.

 

최근 네델란드 세월호 침몰원인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다. 2014젼 검찰은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에 의뢰해 세월호 침몰사건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알기 위해 100여 차례 실험을 하였다고 한다. 그 결과 세월호의 침몰은 급변침에 의한 조타미숙이 아닐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이를 4년간이나 은폐했다는 것이다.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 56에 소재한 행궁동 레지던시에서 지난 49일부터 ~ 16일까지 <수원시민이 기록한 416> 전시가 열리고 있다. 이 전시는 주최는 수원시와 세월호 수원시민 공동행동이며 주관은 수원민예총 사진위원회가 맡았다. 이곳 전시관 1층에는 추모와 기억의 분향소가 마련되어 있으며 2층 전시공간에는 416 연대의 기획전시가 열리고 있다.

 

정말 마음 아픈 일이죠. 자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정부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았다고 하지만 어떻게 그 피어보지도 못한 목숨을 그렇게 차가운 바다 속에 수장시킬 수가 있어요. 그런데 세월호 침몰이 정부의 발표대로가 아니라고 하니 이젠 정말 제대로 밝혀내야죠

 

 

미덥지 못한 정부발표, 진실은 무엇인가?

 

2층에서 사진전을 관람하고 있던 정아무개(, 54)씨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세월호의 진실을 하루빨리 밝혀내 희생자들의 한을 풀어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전시공간에 전시된 많은 사진들은 세월호 참사 4주기 수원시민 사진공모 및 전시회로 시민들이 핸드폰에 보관하고 있는 416에 관한 사진들을 모아 전시를 열었다고 한다.

 

지난 38일부터 31일까지 이메일과 카톡 등으로 받은 사진을 현상해 각 단체를 구별해 전를 하고 있다. 2014416일 그렇게 전 국민들을 비통하게 만들었던 세월호 참사 후 많은 시민단체들이 세월호에 대한 추모와 박근혜 정부 퇴진 등을 요구했으며 그 현장의 생생한 모습들이 사진에 담겨 있다.

 

어이가 없네요. 도대체 세월호 침몰의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이 사진들을 보면 아직도 알 수가 없다는 것 아닙니까? 무엇 때문에 그 많은 목숨이 목 놓아 구조를 외차다 저 세상으로 갔는지 원인을 밝혀내야죠. 절대 이대로 넘어가서는 안 됩니다

 

 

416의 아픔 잊지 말아야

 

사진을 돌아보면서 가슴이 먹먹해진다. 한차례 팽목항을 찾아가 유가족들의 아픔을 함께 했다면 아마 조금은 덜 미안했을 것이다. 나도 자식을 키우는 부모로써 그 유가족들의 아픔을 왜 모르겠는가? 가슴을 쥐어뜯고 땅을 치며 통곡한 들 떠난 아이들이 돌아올 리 없기 때문에 더 진한 아픔으로 다가온다.

 

다시는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런 아픔을 또 다시 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진실을 명확하게 규명되어야 한다. 수원시민이 기록한 416 전시. 노랑색 리본이 전시실 여기저기 걸려있다. 그 리본을 볼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세월호의 아픔을 돌아보면서 더 이상 눈물을 흘리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수원복지신문 한미연 기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