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574에 소재한 용흥사. 용구산에 자리한 용흥사는 서기 384년인 백제 침류왕 1년에 인도승 마라타 존자가 초암을 지어, 5차에 걸쳐 중창과 복원은 한 사찰이다. 용흥사는 임진왜란 때 전소가 된 것을, 일옥 진묵대사의 발원으로 응중, 쌍인, 혜증대사가 20여 년 간의 대 역사로 48동을 중창하였다.

 

용흥사는 영조의 생모인 최숙빈이 이곳에서 기도를 하여 영조가 탄생하였다고도 한다. 영조가 즉위를 한 후에는 일체의 세금을 감해주고, 원래의 이름인 몽성사를 임금과 나라를 위한다는 뜻인 용흥사로 사명을 바꾸었다고 한다.

 

 

용흥사는 한일합방 직전 48동이 거의 전소되다시피 한 것을, 모정선사가 1930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11동을 복원하였으나, 19501229일 불행하게도 아군에 의해 완전히 전소가 되었다.

 

외로움을 느끼는 절 용흥사

 

순창, 담양군의 문화재 답사를 하던 날 용흥사에 들렸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보니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외롭게 서 있다. 아마도 한때는 이 일대에도 많은 전각들이 서 있었을 것이다. 계단으로 오르니 전각들이 보인다. 대웅전을 향하다가 좌측을 보니 작은 전각 하나가 서 있다.

 

 

한 평 남짓하게 지어진 산신각이다. 옆에는 커다란 고목 한 그루가 산신각에 드는 햇볕을 가리고 있다. 저리도 혼자 서 있는 산신각을 동무하느라, 그렇게 비바람을 막아주고 있는가보다. 왜 이 절은 이렇게 외로움을 느끼게 만드는 것일까? 과거 그 화려했던 호남제일의 가람이었다는 곳이다. 그런데 몇 동 안 되는 전각들이 듬성듬성 자리했기 때문에,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것인지.

 

용뉴에는 힘찬 네 마리의 용이

 

대웅전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동종. 보물 제1555호로 지정이 된 이 종은, ‘순치원년명 동종으로 불린다. 그것은 이 종을 만든 연대가 순치 원년인 1644년이기 때문이다. 높이가 102인 이 종은 조선시대 주종장 김용암이 주가 되어, 인조 22년인 1644년에 주성한 종이라고 명문이 새겨져 있다.

 

 

종은 규모도 비교적 클 뿐만 아니라, 비례감과 조형성이 뛰어나다.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는 일반적인 범종들이 쌍룡으로 조형을 하는데 비해, 활력이 넘치는 네 마리의 용을 채용하였으며 음관을 생략한 특이함을 보이고 있다. 종신에 시문된 각종 문양의 표현도 범상치가 않다. 종신에는 인동당초문, 보살상 등이 새겨져 있다.

 

범종은 중앙 윗부분에 4개의 유곽이 있으며, 유곽 내에는 각각 9개의 유두를 표출하였다. 유곽사이로는 전후좌우로 두광을 선각한 보살상을 정교하게 새겼으며, 상대에는 두 줄의 가로줄에 범자를 양각하였다. 그 중에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라 명문 한 글씨가 보인다.

 

 

종의 밑면에는 굵은 두 줄의 가로줄을 두고, 그 안에 두 마리의 용을 양각하였다. 뛰어난 용의 모습은 3개의 발톱과 입에서 불을 내뿜는 불꽃무늬를 조성하였다. 몸체 중앙부에는 형의 4각 선곽을 조식하고 그 안에 순치원년 사월일 창평현 용구산 용구사 신주종기(順治元年 四月日 昌平縣 龍龜山 龍龜寺 新鑄鐘記)……라는 명문이 표기되어 있다.

 

하나의 종을 만들면서도 이렇게 정성을 다한 선인들. 그 마음을 읽어내지 못하고, 우리 것에 대해 지독히도 무관심한 사람들. 아마도 이곳 용흥사가 이렇게 외롭다는 느낌이 드는 것도, 그러한 선인들의 예술혼을 미처 깨닫지 못한 후손에 대한 서운함인가 보다. 뒤돌아 나오는 발길이 무거운 것도, 나 역시 그런 부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죄스런 마음이 들어서이다.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산11에 자리하고 있는 청계사. 2012년 첫 답사를 청계사로 정하고, 오후에 길을 나섰다. 청계사에는 조선조 때의 유명한 종장인 사인비구가 주조한 사인비구 동종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사인비구의 종은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청계사 동종은 보물 제11-7호로 지정이 되었다.

 

경기도 문화재재료 제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청계사는,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창건이 되어 고려 충렬왕 10년인 1284년에 크게 중창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조 연산군이 도성 안에 절을 폐쇄하였을 때는 봉은사를 대신하여 선종의 본산으로도 정해졌던 절이다. 청계사에 소재하고 있는 동종에 보면, 현재의 청계산은 숙종조 당시에는 ‘청룡산’으로 불렀다고 적고있다.

 

 

주종장 사인비구의 독특한 동종

 

사인비구는 18세기의 뛰어난 승려이자 종을 만드는 장인이다. 사인비구는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자신만의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보물 제11호로 지정된 8구의 사인비구의 범종은, 각기 독특한 형태로 제작이 되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청계사 동종도 그 중의 하나이다.

 

사인비구의 동동 중에서 초기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은, 보물 제11-1호인 포항 보경사 서운암의 동종이다. 서운암 동종은 종신에 보살상이나 명문이 아닌, 불경의 내용을 새긴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보물 제11-2호 문경 김룡사 동종과 제11-3호 홍천 수타사 동종은,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딴 종과는 다르게 독특하게 표현했다.

 

 

전통적인 신라 범종 형태로는, 보물 제11-4호인 안성 청룡사동종과, 제11-8호로 지정된 강화 동종이 있다. 보물 제11-6호로 지정이 된 양산 통도사 동종은 팔괘를 문양으로 새겨 넣어 딴 사인비구의 종과는 다른 모습이다. 용뉴 부분에 두 마리 용을 조각한 보물 제11-5호인 서울 화계사 동종과, 보물 제11-7호인 의왕 청계사 동종이 있다.

 

사당패의 내력을 적은 시인비구 동종

 

사인비구 동종의 면문에는 사당패가 언급되어 있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사찰의 경제적인 면에 유랑집단인 사당패가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랑집단은 조선조 말에는 ‘절걸립’이라고 하여, 절에서 발행한 신표를 갖고 걸립을 하기도 했다. 아마도 청계사의 동종을 주조할 당시에도 이러한 사당패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청계사 동종은 청계사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한 때 서울 봉은사로 이전되었다가 다시 돌아왔다. 이 청계사 동종은 사인비구가 명간, 계일, 여석, 수강, 귀선, 임선 등과 함께 60세 이후에 제작한 종이라고 명문에 기록하고 있다. 전통적인 특징을 벗어난 이 종은 사인비구의 또 다른 주종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쌍룡으로 조성한 용뉴

 

청계사 동종의 특징은 종을 매단 용뉴를 쌍룡으로 조성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쌍룡으로 용뉴를 조성하는 것은 중국 종의 특징이기도 하다. 대개는 용뉴에 음통을 만들어 함께 붙이지만, 청계사 동종은 음통을 두지 않고 공기구멍을 뚫어 소리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종신에는 상대와 하대에 굵게 두 줄로 띠 장식을 둘렀는데, 상대에는 당초문으로 하였으며 하대에는 보상화문을 둘렀다. 상대 밑으로는 유곽을 내었으며 9개의 꽃에는 중앙에 유두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유곽의 사이에는 보살상을 새겨 넣었다. 유곽의 아래에는 시주자들의 이름 등을 명문으로 적어 넣었다.

 

사인비구의 다양한 주종형태를 볼 수 있는 동종. 그 중에서도 청계사 동종은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동종이다. 그 소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들을 수 없음이 아쉽기도 하지만, 종의 아랫부분에 깨진 듯한 흔적이 보인다. 오랜 세월 인간의 억압된 영혼을 번뇌에서 구하기 위해 울렸을 청계사 동종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 문화재로 지정된 동종 중에 국보는 4점뿐이다. 국보 제29호인 성덕대왕신종은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 측정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성덕대왕 신종은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전설로 아기의 울음소리를 본 따 ‘에밀레종’이라고도 한다.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동종은 신라 종 양식을 보이는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거대한 범종으로, 높이1.44m, 입지름 0.87m, 무게 1.5톤이다. 용주사 동종 또한 용이 여의주를 물고 두 발로 종을 들어 올리는 형태로 제직을 한 용뉴 등, 화려한 장식과 뛰어난 조형미가 아름답다.

 

또 하나의 동종은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으로 국보 제280호이다. 국내에 남아있는 고려시대 종 가운데 가장 커다란 종으로 크기는 종 높이 1.33m, 종 입구 0.96m이다. 종위에는 종의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신라 종의 용보다 고개를 쳐들어 올린 모습을 하고 있다.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상원사 동종

 

오대산 상원사에는 우리나라 동종 중 가장 오래된 국보 제36호인 상원사 동종이 있다. 오대산 상원사 동종은, 신라 성덕왕 24년인 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며, 크기는 높이 167cm, 입지름 91cm이다.

 

5월 6일, 수원시 팔달구 지동 소재 고려암의 신도들이, 하루에 절 세 곳을 돌아오는 삼사순례에 간다고 하여 길을 따라 나섰다. 오대산 상원사와 월정사, 그리고 여주 신륵사를 돌아보는 순례길이다. 가장 먼저 도착한 곳이 상원사로, 제일먼저 동종을 보려고 종각을 찾아보았다.

 

 

그러나 그동안 다녀온 지가 꽤 오래서인가, 상원사의 입구서부터 옛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종각도 옛 자리를 벗어나 있다. 그리고 모조 종을 만들어 놓고, 국보인 종은 유리로 벽을 만들어 보호하고 있다. 그 옆에는 종각을 새로 짓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아마 이 순례길에 만난 국보 상원사 동종의 진본을, 밖에서 만나보는 마지막일지도 모른다.

 

아름다운 비천상에 빠져들다

 

내가 상원사 동종을 처음 만난 것은 벌써 10여년이 훌쩍 지났는가 보다. 그 처음의 만남에서 난 종각 앞을 떠날 수가 없었다. 바로 종에 새겨진 비천인 때문이다.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비천인들은 금방이라도 종을 벗어나 하늘로 날아오를 듯했다. 그리고 그 뒤로도 두 번인가 종을 만났다.

 

 

 

상원사 동종의 맨 위에는 큰 머리에 발톱을 고추 세운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연꽃과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종 몸체의 아래 위에 있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유곽은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하고, 그 안쪽에 덩굴을 새긴 다음 드문드문 1∼4구의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을 두었다.

 

네 곳의 유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유두를 9개씩 두었다. 그 밑으로 마주보는 2곳에 구름 위에서 무릎을 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을 새겼다. 이 비천상은 비파와 생황 등을 연주하고 있어, 당시의 음악을 연구하는데도 좋은 자료가 된다. 비천상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구슬과 연꽃무늬로 장식하였다.

 

 

 

현존하는 한국의 동종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다는 상원사 동종. 신라 성덕왕 24년에 조성이 되어, 조선조 예종 원년인 1469년에 상원사로 옮겨졌다. 힘이 있게 표현한 음통,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형, 아름다운 문양으로 조각된 상대와 하대, 네 곳에 있는 유곽의 구조적인 특징은 한국종의 전형이 되었다.

 

이 상원사 동종은 양식적인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이후 우리나라에서 주조되는 모든 종에 계승된다. 뛰어난 이름다움을 보이는 상원사 동종. 그리고 그 동종에 조각된 비천인상. 난 이번에도 그 비천인상에 빠져 걸음을 옮기지 못했다. ‘어서가자’고 재촉하는 일행들을 뒤따라 내려가면서도, 내내 그 비천인이 어느새 내 머리 위를 날아오를 것만 같아서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보물 제11호로 지정된 사인비구의 범종은 각기 독특한 형태로 제작이 되어,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사인비구의 범종은 8개의 종이 나름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모두가 보물로 지정이 되었다.

다양한 범종을 제작한 사인비구

사인비구의 동동 중에서 초기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은 포항 보경사 서운암의 동종(보물 제11-1호)이다. 서운암 동종은 종신에 보살상이나 명문이 아닌, 불경의 내용을 새긴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보물 제11-2호 문경 김룡사 동종과 제11-3호 홍천 수타사 동종은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딴 종과는 다르게 독특하게 표현했다.

전통적인 신라 범종 형태로는, 보물 제11-4호인 안성 청룡사동종과 제11-8호로 지정된 강화 동종이 있다. 보물 제11-6호로 지정이 된 양산 통도사 동종은 팔괘를 문양으로 새겨 넣어 딴 사인비구의 종과는 다른 모습이다. 더욱 유곽 안에 보통 9개씩의 유두를 새겨 넣는 일반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단 한 개만을 중앙에 새겨 넣는 방법을 택했다.



그밖에 종을 매다는 용뉴 부분에 두 마리 용을 조각한 보물 제11-5호인 서울 화계사 동종과 보물 제11-7호인 의왕 청계사 동종 등이 있다. 이렇게 8기의 보물로 지정된 종들은 독창성을 갖고 있어 당시 범종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신라범종의 전통성을 따른 안성 청룡사 범종

청룡사의 동종은 종루의 종으로 만든 것이다. 조선조 숙종 원년인 1674년에 제작한 안성 청룡사 동종은,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가 색다르다.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에는 대나무 모양으로 역동적인 모습의 용이 새겨져 있다. 용뉴에 새겨진 용은 네 개의 발로 종을 붙들고 있는 형상이며, 이마와 볼에는 뿔이 나 있다. 얼핏 보아 험상궂은 듯 하면서도, 친근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러한 용뉴에 보이는 조각 하나만으로도 뛰어난 예술적 감각을 보이는 것이 사인비구의 동종이다.


포탄 모양 종신 어깨와 아래 입구 부분에는 연꽃과 덩굴을 새긴 넓은 띠를 둘렀으며, 어깨띠에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과 '파옥지진언(破獄地眞言)'을 한 줄씩 새겨 넣었다. 밑으로는 사다리꼴 유곽 4좌가 있고, 그 사이에는 각각 연꽃 가지를 든 4기의 보살입상과 4개의 위폐가 한 쌍으로 마련됐다.

유곽은 각각 사다리꼴로 사방을 두 선으로 이루어 선 안에 꽃잎이 그려져 있고, 여기에 유두 9개씩을 배치하였다. 유곽 사이 위폐 안에는 <宗面磬石 王道 隆 惠日長明 法周沙界>라는 글씨를 각각 새겼는데, 서울 화계사 동종에는 같은 문구가 양각되어 있다.

이러한 범종의 제작기법은 17세기 중반에 정통 승장계 장인들이 주로 쓰던 기법으로 전한다. 사인비구가 30대 때에 만든 것으로 전하는 안성 청룡사 사인비구주성동종은, 지준, 태행, 도겸, 담연, 청윤과 함께 만든 통일신라 때부터 전해지는 범종계열이다.

작은 종에 새겨진 불심

사인비구는 왜 이렇게 범종을 만들었을까? 물론 승장(僧匠)으로써 신라 범종계의 정통을 잇는 종을 만든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그러나 단지 그것 때문에 경기도와 경상도 일대를 돌면서 종을 만들었다고만 할 수는 없다. 하나의 종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청룡사 동종도 종루의 종으로 만들었다고 하나, 현재는 대웅전 안에 보관하고 예불 시에 이 종을 이용한다.



사인비구는 이 종 하나를 만들면서 스스로의 도를 위한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수많은 사람들이 받는 고통을, 이 종을 제작하면서 그 업보가 가시기를 비는 마음으로 만든 것은 아니었을까? 단순히 승장으로서 정통을 잇는 종을 만든 것이 아니고, 그 안에는 사바세계에 사는 많은 중생들의 업장소멸을 위한 간절한 마음이 있었을 것이다.



손으로 조금만 힘을 주어서 두드려도 맑은 소리가 울려나는 청룡사 동종. 그 안에는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주는 무형의 힘이 존재하고 있었다. 아마 그러한 소리를 들으면서, 세속의 더럽혀진 귀를 씻고, 마음의 편안을 얻으라는 사인비구의 간절함이 깃든 것이었으리라는 생각이다.

사인비구는 종을 만드는 장인인 승려이다.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는, 현재 전해지는 8개의 종이 모두 보물로 지정이 될 만큼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종장이다. 사인비구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인물로,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사인비구의 종은 모두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크기는 작지만 그의 초기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포항 보경사의 서운암 동종’은 종 몸통에 보살상이나 명문이 아닌 부처님 말씀을 새겨 둔 것이 특징이며, ‘양산 통도사 동종’은 8괘를 문양으로 새기고 유곽 안에 보통 9개씩의 유두를 새기나 단 한 개만을 중앙에 새겨 넣었다.


모든 종이 각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인비구 동종

가장 전통적인 신라 범종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안성 청룡사 동종’과, 조선의 종 모습을 보여주는 ‘강화 동종’. 종을 매다는 용뉴 부분에 두 마리 용을 조각한 ‘서울 화계사동종’과 ‘의왕 청계산동종’,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그만의 독특한 모습으로 선보이고 있는 ‘문경 김룡사 동종’과 ‘홍천 수타산 동종’.

사인비구의 동종은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8구 모두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아마도 경기도와 경상도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었다는 것은, 그 곳에서 종을 만드는 시간만큼이 아니었을까? 사인비구의 종은 모든 종들은 각기 독창성이 엿보이는 작품들로 종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중앙의 유두만 돌출이 된 동종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 종각에 걸린 양산 통도사 동종은, 현재 보물 제11-6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1686년에 사인비구가 조성한 종이다. 이렇게 연대가 확실한 것은 동종의 명문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동종은 나름대로 독특한 멋을 풍기고 있다. 통도사 동종은 맨 위에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가 있고, 몸통의 상대와 하대, 그리고 유곽 등을 두루 갖춘 전통적인 범종이다.

50년간 경기도와 경상도를 넘나들며 활동을 한 사인비구, 아마도 종을 만드는 장인으로 더 유명한 사인비구는 경기도와 경상도의 절에 묵으면서 종을 만들고는 다른 곳으로 떠난 것은 아니었을까? 하기에 그의 주종은 모두 경기도와 경상도에 집약되어 있다.




사인비구가 만든 통동사의 동종은 상대에는 위아래 두 줄로 범자를 새겨 넣었다. 그리고 그 밑으로는 유곽을 새겨놓고, 그 안에 가로 세로 각각 세 줄씩 별 모양의 화문을 조성하였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중앙에 하나만 돌출이 되게 하였다는 것이다. 왜 하필이면 중앙의 그림 하나만 유두를 돌출 시킨 것일까?

팔괘를 그려 낸 통도사 동종

몸통에 유곽이 크게 조성되어 그 가운데 있는 보살상은 작게 표현된 통도사 동종. 사인비구는 이 동종을 만들면서 왜 밑면에 팔괘를 돌려 그려 넣은 것일까? 아마도 각 사찰에 남아있는 동종들의 모습이 특별한 것도, 그 사찰과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사인비구의 동종을 돌아보면서 내심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이다.



종의 몸통 중앙에는 당시 종을 만든 내력과 이름 등이 새겨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사인비구의 종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듯, 그렇게 멀리까지 부처의 세계가 퍼지기를 바랐을 것이다.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된 사인비구의 동종을 모두 다 돌아보았지만, 아직도 의문이 남는 것은, 왜 각각 특이한 종을 제작했을까 하는 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