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소재한 전등사.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11년인 38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성문사, 375년에 창건한 이불란사에 이어 전등사는 한국 불교 전래 초기에 세워진 이래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전등사를 창건한 것은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 화상이었다. 당시 아도 화상은 강화도를 거쳐 신라 땅에 불교를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도 화상이 강화도에 머물고 있을 때 지금의 전등사 자리에 절을 지었으니 그때의 이름은 진종사(眞宗寺)’라 하였다.

 

고려 왕실에서는 삼랑성 안에 가궐을 지은 후 1266년에 진종사를 크게 중창시켰으며, 16년이 지난 충렬왕 8년인 1282년에는 왕비인 정화궁주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한 것을 계기로 전등사라 사찰 명칭을 바꾸었다. 이때는 고려 왕실이 개경으로 환도한 뒤였고, 39년 동안 쓰였던 강화 궁궐터는 몽골군에 의해 폐허로 변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삼랑성 안의 전등사는 꾸준하게 사세를 유지해나갔다.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

 

전등사 대웅보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범종각 안에는 보물 제393호인 전등사 철종(傳燈寺 鐵鍾)’이 있다. 이 종은 우리나라의 범종과는 그 모습이 전혀 다르다. 이 쇠로 만든 철종은 일제강점기 말기에 금속류의 강제수탈로 빼앗겼다가, 광복 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하여 전등사로 옮겨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다.

 

전등사 철종은 형태와 조각수법에서 중국종의 모습을 하고 있다. 종의 높이는 1.64m, 입지름 1m의 종으로, 종 꼭대기에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웅크려서 종의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은 없다. 몸통 위 부분에는 8괘를 돌려가며 나열하고, 그 밑으로 종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8개의 정사각형을 돌렸다.

 

 

겉에는 상하로 구획이 지어져 띠가 둘려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 표면에 8개의 네모진 구획이 마련되어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많이 마멸되어 판독하기가 어렵다. 이 정사각형사이에는 명문을 새겼는데, 이 명문으로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의 종이라는 것과, 북송 철종 4, 곧 고려 숙종 2년인 1097년에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에 의해 강제 수탈되었던 종

 

이 종은 기하학적 무늬로 장중하고 소박한 중국 종의 솜씨를 보이며, 종소리가 맑고 아름다운 게 특징이다. 이 종은 일제 말기 군수 물자 수집에 광분한 일제가 공출이란 명목으로 빼앗아 가는 바람에 한때 전등사를 떠나기도 했다. 하지만 광복 이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되어 다시 전등사로 옮겨왔다.

 

 

전체적인 종의 형태가 웅장하고 소리가 청아하며, 중국 종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화재로 평가를 받고 있는 전등사 철종. 이 종이 어떤 경로를 통해 전등사로 유입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일제에 의해 공출이 되었던 종이, 무사히 전등사로 돌아올 수 있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일이다.

 

대개 절의 범종은 범종각이라는 전각 안에 불교의 사물인 북, 운판, 목어 등과 함께 배치를 한다. 범종은 절에서 쓰는 종을 말한다. 범종의 ()’이란 범어에서 브라만(brahman)’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청정이라는 뜻이다. 순수한 우리말로 인경이라고 하는 범종은, 은은하게 울려 우리의 마음속에 잇는 모든 번뇌를 씻어주기에 충분하다.

 

범종의 소리는 우리의 마음 속 깊이 울려 어리석음을 버리게 하고, 몸과 마음을 부처님에게로 인도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을 울리는 이유는 지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함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범종은 그 만든 연대나 제작을 한 장인들이 밝혀지고 있어서, 철조구조물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 소중한 가치를 갖는다.

 

 

중생의 번뇌를 가시게 하는 범종

 

절에서 종을 칠 때는 그저 치는 것이 아니다. 새벽예불 때는 28, 저녁예불 때는 33번을 친다. 새벽에 28번을 치는 것은 욕계(慾界)’6천과 색계(色界)’18, ‘무색계(無色界)’4천을 합한 것이다. 즉 온 세상에 범종 소리가 울려 중생들의 번뇌를 가시게 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저녁에 33번을 울리는 것은 삼십삼천이라는 도솔천 내의 모든 곳에 종소리를 울린다는 뜻이다. 지옥까지도 그 소리가 들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어느 절이나 범종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그 종이 언제 조성이 되었는가도 중요하지만, 그 종소리를 듣고 지옥에 있는 영혼들이 종소리로 인해 지옥에서 구제가 된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하기에 안성 청룡사의 종에는 파옥지진언(破獄地眞言)’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지옥을 깨트릴 수 있는 범종의 소리. 그 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달라진다는 것이다.

 

 

왕의 만수무강을 위한 종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에 소재한 갑사. 천년고찰인 갑사에는 보물 제478호인 갑사동종(甲寺銅鐘)’이 있다. 갑사동종은 조선조인 선조 17년인 1584년에 만든 종으로, 국왕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며 갑사에 매달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높이 131, 입지름 91로 전체적으로 어깨부터 중간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중간 지점부터 입 부분까지 직선으로 되어있다. 종 꼭대기에 조성한 용뉴는 음통이 없고, 2마리 용이 발로 종을 붙들고 있는 형태이다.

 

107일 찾아간 갑사. 초가을의 날씨지만 한 낮에는 기온이 높다. 경내를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등줄기에 땀이 흥건히 배어온다. 동종각 바로 옆에 물이 있어 찬물을 한바가지 떠 마신다. 내장 속까지 시원해지는 듯하다. 이렇게 물 한 모금이 고마울 수가 없다. 동종은 전각을 지어 보관하고 있는데, 사진을 촬영하기가 만만치가 않다.

 

공출이 되었던 수난의 갑사동종

 

전각의 사방을 모두 나무판벽으로 막고, 위는 살창으로 꾸며놓았다. 쉽게 접근을 할 수가 없지만, 그래도 여기저기 돌아보면서 살창 틈으로 카메라를 들이밀어 본다. 갑사동종은 종의 어깨에는 물결모양으로 꽃무늬를 둘렀고, 바로 밑에는 위 아래로 나누어 위에는 연꽃무늬를 아래에는 범자를 촘촘히 새겼다.

 

 

그 아래 네 곳에는 사각형모양의 유곽을 만들고, 그 안에는 가운데가 볼록한 연꽃모양의 유두를 9개씩 두었다. 딴 곳의 종들이 유두가 많이 훼손이 되었지만, 갑사 동종은 유두도 깨끗하게 잘 보존이 되어있다. 종의 몸통 4곳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따로 두었고, 그 사이에는 구름위에 지팡이를 들고 있는 지장보살이 서 있다. 종의 아랫부분은 덩굴무늬 띠를 둘렀다.

 

이 종은 일제치하에서 헌납이라는 명목으로 공출되었다가, 광복 후 다시 갑사로 옮겨온 민족과 수난을 같이 한 종이다. 크지는 않지만 조성연대가 뚜렷하고, 동종의 조성의 목적이 전해지고 있는 갑사동종. 문화재마다 많은 사연이 있지만, 갑사동종은 민족의 수난과 함께했다는 것만으로도 소중한 문화재이다자칫 사라질 뻔한 문화재이기에, 더욱 그 가치가 더욱 소중한 것인지 모르겠다.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고찰 송광사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인 ‘송광사동종 (松廣寺銅鐘)’이 자리한다. 범종은 절에서 쓰는 종을 말한다. 범종의 ‘범(梵)’이란 범어에서 ‘브라만(brahman)’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청정’이라는 뜻이다. 순수한 우리말로 ‘인경’이라고 하는 범종은 은은하게 울려 우리의 마음속에 잇는 모든 번뇌를 씻어주기에 충분하다.

 

범종의 소리는 우리의 마음 속 깊이 울려 어리석음을 버리게 하고, 몸과 마음을 부처님에게로 이도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을 울리는 이유는 지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함이기도 하다

 

 

중생의 번뇌를 가시게 하는 범종

 

절에서 종을 칠 때는 그저 치는 것이 아니다. 새벽예불 때는 28번, 저녁예불 때는 33번을 친다. 새벽에 28번을 치는 것은 ‘욕계(慾界)’의 6천과 ‘색계(色界)’의 18천, ‘무색계(無色界)’의 4천을 합한 것이다. 즉 온 세상에 범종 소리가 울려 중생들의 번뇌를 가시게 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저녁에 33번을 울리는 것은 도솔천 내의 모든 곳에 종소리를 울린다는 뜻이다. 지옥까지도 그 소리가 들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어느 절이나 범종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그 종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가는 중요하지가 않다. 그것은 그 종소리를 듣고 지옥에 있는 영혼들이, 지옥에서 나올 수가 있다는 것이다. 하기에 안성 청룡사의 종에는 ‘파옥지진언(破獄地眞言)’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지옥을 깨트릴 수 있는 범종의 소리. 그 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달라진다.

 

 

크지 않은 송광사 동종

 

송광사에는 십자각으로 조성된 보물인 종루가 있다. 그 종루 한편에 자리를 하고 있는 송광사 동종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07㎝, 입 지름 73㎝의 크지 않은 범종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는 용이 여의주를 갖고 있는 형상이며, 옆으로 소리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

 

동종의 윗부분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고, 아래 구슬 모양의 돌기가 한 줄 돌려 있다. 밑으로는 8개의 원을 양각하여 그 안에 범자를 새겨 넣었다. 몸통의 중심에는 머리 뒤에 둥근 광배를 두르고, 보관을 쓴 보살 입상과 전패(殿牌)가 있다. 보살 입상 사이에는 사각의 유곽을 배치하였다. 유곽 안에는 9개의 꽃무늬로 된 유두가 있다. 종의 가장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를 두르고 있다.

 

조선조 숙종 때 만들어진 동종

 

현재 송광사의 동종은 사용을 하지는 않는다. 종루에 그대로 보관을 하고 있을 뿐이다. 동종에 쓰여 있는 글을 통해서 이 범종은 숙종 42년인 1716년에, 광주 무등산 증심사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후 영조 45년인 1769년에 이 범종을 보수하였다고 한다.

 

전국에 있는 범종을 보면 참으로 놀랄만하다. 어떻게 종의 겉부분에 이렇게 아름답게 조형을 한 것이라? 종의 거는 부분인 용뉴는 대개 용을 조각하였다. 그리고 그 많은 글자와 보살상, 비천인, 유두, 넝쿨무늬 등을 어떻게 조각을 한 것일까? 한꺼번에 조형을 해야 하는 범종이다. 그 범종에 이런 다양한 것들을 새겼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장비를 갖고 조형을 한 것이 아니다. 거푸집을 만들어 그 안에 쇳물을 부어넣어 만들어 낸 범종이다. 물론 나름 정리를 했겠지만,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 형태와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을 만들어 낸 것일까? 중생들의 번뇌를 가시게 해준다는 범종, 그 종소리가 듣고 싶다. 오늘은 어디 가까운 곳이라도 예불시간에 맞춰 찾아가 종소리라도 듣고 싶은 날이다.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소재한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인 633년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이다. 절의 명칭을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가 내소사로 바뀌었다. 절의 명칭이 바뀐 까닭은 확실하지 않으며, 다만 그 시기가 임진왜란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내소사에는 보물 제291호인 대웅보전과 설선당, 보종각 등 전각이 있으며, 부안군 벽산면의 실상사 터에서 옮겨 세운 연래루가 있다. 특히 대웅전은 조선 인조 2년인 1633년에 청민대사가 지은 건물로, 건축양식이 정교한데 단충과 보상화를 연속적으로 조각한 창호가 눈여겨 볼 만하다.

 

 

내소사에 소중한 성보문화재 고려 동종

 

내소사에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보물 제277호인 고려 동종이 남아있다. 이 동종은 고려 고종 9년인 1222년에 내변산에 소재한 청림사에서 제작되었으나, 청림사가 폐사된 후 오랫동안 매몰되었다가 조선 철종 4년인 1853년에 내소사에 옮겨진 것으로 전형적인 고려후기의 동종이다.

 

보물 제277호인 부안 내소사 동종은 고려 시대 동종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종으로, 종의 높이는 103, 입지름 67의 크기이다. 이 종은 한국 종의 전통을 잘 계승한 종으로, 그 표현이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고려 후기 걸작으로 손꼽힌다.

 

종의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부분에는 꽃무늬 장식을 하였다. 종의 어깨 밑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4개 있고, 그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유두가 있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유두가 멸실이 된 부분도 보인다.

 

 

삼존상을 조각한 내소사 동종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는 연꽃으로 장식을 했으며, 종의 몸통에는 구름 위에 삼존상을 돋을새김으로 조각하였다. 우리나라의 종 중에서도 특이한 형태로 삼존상을 조각하여 놓았다. 중앙에 있는 본존불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고, ·우 양쪽에 협시불이 서 있다. 오랜 세월 매몰이 되어서인가, 삼존상의 정확한 형태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종 정상부에는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과, 큰 용머리를 가진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가 있다. 용은 힘차게 용틀임을 하고 있으며, 당장이라도 종을 박차고 뛰어나올 듯 힘이 엄쳐 보인다.

 

 

내소사 경내 보종각(寶鐘閣)에 보관하고 있는 내소사 고려 동종은 비록 크지는 않지만, 고려시대의 동종의 양식을 잘 간직한 종이라는 점에서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 사찰마다 전하는 많은 문화재 중에서 수많은 동종들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종에 대한 가치를 접어두고, 종을 주술적인 형태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불교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각종 철조조형물인 범종은 한국예술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종은 청정한 것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 범종이라 함은 청정한 불사나 범찰에서 사용하는 종을 말한다. 범종은 홍종, 포뢰, 경종, 화경, 거경, 조종, 당종 등 그 규모나 용도에 따라 반종, 만종 등으로 구분하나, 대부분 통틀어 범종이라고 부르고 유형별 구분은 하지 않는다.

 

사찰에서는 아침에는 28추를 치고, 저녁에는 33추를 울린다. 아침에 26추는 곧 28숙을 의미한다. 곧 마하가섭부터 육조혜능까지 28조사를 상징한다. 저녁에 치는 33추는 수미산 위에 있는 천계인 삼십삼천을 의미한다. 중앙에 제석천이 있고 사방에 팔천(八天)33천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대체 이 절에는 어마나 많은 사부대중이 살았던 것일까? 공양간에서 밥을 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전하는 개태사 철확을 보면서, 어림짐작을 하려고 해보지만 이해가 가질 않는다. 논산시에 소재한 개태사는 고려 태조인 왕건이 세운 사찰로, 철확은 이곳 주방에서 사용했다고 전하는 철로 만든 대형 솥이다.

 

이 철확은 벙거지 모자를 뒤집어 놓은 모양으로, 지름이 약 2m에 둘레길이 6.28m, 높이 97이다. 조선시대에 절이 없어지면서 벌판에 방치된 채 있던 것을, 가뭄 때 솥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비가 온다고 하여 여러 곳으로 옮겼다가, 일제강점기 때 서울에서 열린 박람회에 출품된 후 새로 건립한 지금의 개태사에서 보존하고 있다.

 

 

우주정에 얽힌 뜻은?

 

그러고 보니 개태사를 다녀온 지가 꽤 오래되었다. 가끔은 답사를 하고도 바로 글을 올리지 못하면, 이렇게 늦어질 수가 있다. 개태사에는 몇 기의 문화재가 전하고 있어, 그것들을 소개하다가 보니 철확의 소개가 늦어져 버렸다. 사실은 개태사를 찾아간 것도 철확 때문이었지만, 주객이 전도가 된 셈이다.

 

어쨌거나 문화재를 소개한다는 것은 순번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래도 조금은 자위를 해본다. 개태사 철확은 경내 한편에 우주정이라는 전각을 세우고, 그 안에 보관을 하고 있다. 전각 안을 꽉 채우고 있는 철확을 보면서, 이 전각의 이름이 우주정이라는 것이 이해가 간다.

 

 

우주를 담을 만한 우물이라는 뜻인지? 그렇게 큰 철확을 보관하고 있다는 뜻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 철확의 크기로 따진다면, 어찌 그 안에 우주인들 담을 수 없을 손가? 아마도 이 큰 철확에 우주를 담을 수 있는 수많은 사부대중들의 마음이 함께 했는가도 모르겠다.

 

초심을 지키는 것은, 문화재 답사의 즐거움

 

문화재를 만난다는 것은 늘 즐겁다. 그것은 나도 모르던 것을 하나씩 배워나간다는 생각 때문이다. 다 아는 것을 돌아보는 것과, 모르는 것을 하나씩 깨우치면서 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다르다. 그래서인가 참 답사를 다니면서 못된 버릇 하나가 생겼다. 몇 번씩 찾아간 문화재도 안내판부터 찬찬히 읽어 내려가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아무 것도 모르는 양, 초심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함이다.

 

 

사실 초심을 잃지 않는다는 것은 답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누가 하라고 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것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불이익을 당하는 것도 아니다. 하기에 초심을 잃어버린다면 시간 뺐기고, 물질 남아나지 않는 답사를 벌써 그만 두었을 것이다. 늘 새로운 것을 만나고, 늘 그것을 마음속에 담아두면서 길을 걸어야 제대로 답사를 할 수아 있다.

 

개태사 철확을 만났을 때도 그랬다. 개태사는 아마도 5회 이상은 찾아갔을 것이다. 아주 오래전에 대전에서 방송 일을 할 때부터 들리던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철확을 보는 순간 참으로 반가웠던 것은, 그 오랜 시간동안 여기저기 끌고 다녔음에도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깨어지고 많이 떨어져나가 온전한 모습을 아니라고 하지만, 그나마 남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솥 안에 동전 한 닢을 던져보다. 둔탁한 금속소리가 난다. 벌써 누군가 그곳에 동전과 지전을 던져 넣었다. 그 사람들은 무슨 소원을 빌었을까? 나는 그저 마음속으로 천년만영 잘 견디고 있기를 빌어보았다. 다음에 또 이곳을 찾아왔을 때도, 지금 그모습 그대로 볼 수 있기를.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