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릴 적에 ‘은진미륵’이라는 사진을, 교과서 등을 통해 한 번쯤은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거대한 화강암 석재로 제작이 된 은진미륵은,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로 보물 제218호로 지정이 되었다. 이 관촉사 은진미륵의 공식 명칭은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다. 입상의 높이는 l8.12m나 되며, 고려 초기의 거대석불에 해당한다.

은진미륵은 커다란 불상이라는 점과, 불교적이기 보다는 토속적인 조각이라는 점에서 당 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이다. 얼굴은 이마가 좁고 턱이 넓은 삼각형이며, 옆으로 길게 째진 눈과 넓은 코, 일자로 꼭 다문 큰 입이 토속적인 느낌을 준다. 목은 굵고 삼도가 있으며, 귀는 어깨까지 내려와 고리형으로 매달린 느낌을 준다.


후천세계에 중생을 구제할 미륵불

미륵불은 56억 7천 만 년이 지난 다음에, 그 때까지도 구제가 안 된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나타날 부처님이다. 흔히 부처와 보살로 불리어지는 미륵불은 미래불이다. 미륵불은 일반적으로 산이나 들 같은 바깥에 세워진다. 관촉사 미륵입상은 몸은 거대한 돌을 원통형으로 깎아 만들었다.

자연암반 위에 허리부분을 경계로 하여,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이 보살입상은 정교하지는 않다. 몸통에 비해 얼굴이 강조되어 아름다운 균형미는 반감되고 있으며, 손의 모양이나 전체적인 꾸밈이 매우 투박하다. 오른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손을 안으로 향했으며, 왼손은 아래로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모습을 보아 관음보살로 생각이 든다.





어깨에 걸쳐 입은 가사는 어깨에서 양쪽으로 길게 내리고 있으며 가로무늬가 있고, 몸 중앙 부분으로 몇 개의 U자형 옷 주름을 돌렸다. 가슴께는 매듭을 묶고 있어 고려시대에 보이는 이 지역 특징인 거대불상의 초기 형태인 것으로 보인다.

저렇게 큰 돌을 어떻게 올렸을까?

관촉사 사적비에 의하면 이 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 19년인 968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목종 9년인 1006년에 완성을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미륵보살입상을 제작하는데 걸린 시간이 무려 38년이나 걸린 셈이다. 이렇게 거대석불을 만들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하반신의 몸체 위에 어떻게 저 큰 상반신을 올린 것일까? 지금처럼 대형 중장비로도 버거운 무게이다. 그런데 어떻게 상반신을 올릴 수가 있었을까?


거대석불을 조성하는 혜명대사가 석불의 상반신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걱정을 하던 차에, 사제촌에 나타난 동자들이 강가에서 흙장난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런데 그 동자들이 커다란 돌을 놓더니, 그 돌의 주변에 모래를 쌓고 딴 돌을 경사진 모래비탈을 굴려 올라가 위에 놓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혜명대사는 크게 기뻐하여 바삐 돌아와 동자들이 하던 그 방법대로 상반신을 올렸다는 것이다.

결국 그 동자들은 누구였을까? 아마 혜명대사가 석불의 상반신을 올리지 못해 속이 타는 것을 알고, 동자들을 보내 깨우침을 준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거대한 석불의 상반신을 올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 보았을까? 아마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도, 이렇게 노력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하늘이 깨달음을 주는 것만 같다. 이렇게 큰 거대석불은 충청도 지역에서 보이는 지역적 특색이기도 하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은진미륵 앞에 고개를 조아리고 있다. 그 앞에서 두 손을 모은다. 그 미래불인 미륵이 도래하는 시기가 어서 빨리 왔으면 하는 바람으로.

비가 오는 날 답사란 반갑지가 않다. 우선은 장비가 빗물에 젖을까봐 신경이 쓰이기도 하지만. 바짓가랑이를 척척하게 감겨들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루를 그냥 포기하고 일요일 일찍 길을 나섰지만, 지난 토요일 내린 비로 인해 걸음을 온전히 걸을 수가 없다. 무작정 걸어야 하는 문화재 답사란 늘 곤욕을 치르게 마련이다.

왜 문화재는 꼭 그렇게 산이나 골짜기에 있나? 누군가 묻는다면 딱히 대답할 말이 없다. 하지만 숨은 듯 그렇게 자리를 잡은 것은, 스스로 내세우지 않기 위함이다. 석불이건 마애불이건 아니면 석탑이 되었든지, 장인 스스로가 남에게 자랑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저 그렇게 숨을 죽이고, 하나의 대단한 작품을 완성을 하는 그런 겸손함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요즈음처럼 내놓고 자랑 같지 않은 자랑을 하지 않아서 좋다. 그것이 우리 선조들의 마음이려니 한다.


부처님, 몸은 어디에 두시고

원주에서 횡성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우측으로 소초면으로 들어가는 도로가 있다. 소초면 소재지를 지나 횡성으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가다가 보면, 소초면 교항리가 나온다. 이곳에는 길가에 커다란 느티나무가 한 그루 서 있는데, 그 밑에 보면 자연 암석 위에 불두(佛頭)가 한기 모셔져 있다. 바위 위에 올려 진 석조 불두. 현재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4호이다.

바위에는 이끼가 가득 끼어있다. 그리고 그 위에는 높이 1.05m 정도나 되는 커다란 불두가 올려져 있다. 이 석조 불두는 원래 이곳의 자연 암석위에 올려져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바위에는 선각으로 옷 주름등이 그려져 있었다고 하지만, 그 돌이 매몰되어 알 수가 없다. 왜 이렇게 자연 암석 위에 불두만 조각을 하여 올려놓은 것일까?



아마도 그것은 천안시 삼태리마애불 등과 같이, 자연 바위 위로 머리 부분만 솟아나게 제작한 불상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런 형태로 만들어진 불상은 고려 시대의 형태로, 이 지역에서 보이는 거대석불과 같은 종류로 볼 수 있다.

이끼가 낀 자연 암석, 그리고 고목이 된 느티나무 한 그루. 그 그늘아래 놓인 석조불두. 그저 예사롭지가 않다. 사각형의 넓적한 얼굴에 눈은 수평으로 굳게 그려져 있다. 코는 폭이 넓고 두터워 전체적인 얼굴의 형태에서 과하다는 느낌이 들게 한다. 입은 두툼하게 표현을 해 과묵한 형상이다. 머리 위는 평평하게 다듬은 것으로 보아서, 그 위에는 평평한 사각형의 판석을 올려놓았을 것이다.




고려시대 석조불의 형태를 지녀

옆으로 돌아 귀를 보니, 두텁게 표현을 해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뒷면은 조각을 하지 않고 쪼아낸 그대로 놓아두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토속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이 석조불두는, 고려 시대 이 지역에서 흔히 보이는 거대석불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특히 머리 위에 평평한 돌을 얹어두는 형태도 고려시대 석불의 특징이다.

지금은 예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고, 다만 석조불두만 자연암석 위에 올려 진 교항리 석조불두. 그러나 그 하나만으로도 충분한 문화재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느티나무 곁으로 돌아가 불두를 본다. 그 모습이 아주 오래 전 어느 날 꿈속에서 본 것만 같은 느낌이다. “몸조차 무거워 버리셨습니까? 우리 인간들에게 모든 것을 내려놓으라 보여주시는 것입니까?“



석조불두의 귀에 대고 떠들어보지만, 굳게 다문 입이 열릴 것 같지는 않다. 아마 세상사는 방법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싶은 어느 장인이, 천 년 전 이미 이 시대를 보고 있었나보다.

우리나라의 부처님의 조형물을 잘 살펴보면 두 손의 형태가 다르게 표현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렇게 손을 어떻게 취하고 있느냐에 따라 각각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 이를 ‘수인’이라고 한다. 천안시 목천읍 동리 178에 소재한 용화사 경내에는, 거대 석불입상 1기가 서 있다. 이 석불은 4m에 이르는 거대석불로 통일신라시대의 조각기법을 잇고 있는 고려 초기의 석불로 보인다.

이 석불은 손을 가슴께로 끌어올려 오른손은 손바닥이 밖을 위로 향하고, 왼손은 아래를 향하고 있다. 이를 ‘시무외여원인’이라고 하며, 모든 중생의 두려움과 고난을 없애주고 중생의 모든 소원을 들어준다는 의미이다. 이 수인은 불교전래 초기에는 석가모니의 모습이었지만, 이후 아미타불, 미륵불 등 보편적인 수인이 되었다. 하기에 ‘통인’이라고도 한다.


나라의 염원을 담은 고려초기의 거대석불

고려 초기의 불상을 보면 대개가 거대석불로 조형이 되었다. 이는 고려의 숭불정책과 아울러, 거대왕국으로 지향적 염원이 깃들어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은 조각 수법이 매우 수려한 대형의 거불이다. 일반적으로 거대석불의 경우 그 조각기법이 다소 떨어지는데 비해, 이 석조여래입상은 나름대로 특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현재 충남 유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은, 머리 위 육계는 둥글고 나발은 선명하고 높게 얹혀 있다. 이마에는 백호가 양각되어 있고 두 귀는 크고 길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보이고, 전체적인 형태는 중후하지만 약간은 비만형이다. 불상의 얼굴은 갸름하고 복스러운 얼굴에, 눈은 지그시 감고 있다. 콧날은 오뚝한 편이며, 입은 작고 단정하다.





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

법의는 통견으로 표현을 하였으며, 가슴께가 깊이 파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가슴에 보이는 매듭 등은 보이지 않는다. 법의는 양 어깨에서 U자 형으로 흘러내리다가 무릎에서는 민무늬로 표현을 하였다. 거대석불이지만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잘 잡혀있으며, 옷주름이나 U자형의 법의 등이 형식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발부분에는 앞으로 석조입상과 분리된 발이 있는데, 이는 후에 놓여진 것으로 보인다.

처음 이 석조여래입상이 발견되었을 때, 일대에서는 많은 기와 편과 팔각연화대석편, 석탑부재 등이 흩어져 있고, 불상 주위로 원형 주좌가 새겨진 방형초석이 7점이나 남아 있었다고 한다. 이는 석조여래입상이 전각 안에 모셔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면과 측면은 섬세하게 조각을 한데 비해, 후면은 쪼아낸 그대로의 형태가 남아있다.




전국을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수많은 석조불상들. 그 나름대로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것은 지역의 장인들에 의해서 조각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석불들은 당시 조각을 한 장인들의 깊은 불심을 엿볼 수 있어 소중함을 느낀다. 이렇게 거대석불을 조형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공을 들였을까? 단순한 조형물이 아닌 그 안에 내재된 숨은 마음을 조금이나마 읽어 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우리나라 여기저기를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마을입구나 혹은 마을 안에 돌미륵이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이 형태를 갖추지 않은 부정형의 돌일망정, 사람들은 미륵이라고 여겨 정성껏 치성을 드리고는 한다. 이렇듯 우리나라에는 웬만한 마을에는 미륵이라 불리는 돌부처가 거의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민중들 속에 깊이 파고든 신앙의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이유는 석가모니 부처 다음 세상을 약속한 미륵불이 현신하면, 고통스러운 현실을 살아가던 사람들을 모두 그 고통에서 구해준다는 약속 때문이다.

경기도 안성에서 이천 장호원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가다가 보면 이정표가 보인다.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6호인 기솔리 석불입상이 있다는 안내판이다. 길을 따라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 산33-1에 소재한 2기의 석불입상을 만난다.


장대석에 조각한 미륵불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이 열반한 뒤, 56억 7천만년이 지난 후 인간세계에 나타난다고 했다. 용화수 아래에서 3번을 설법하고 성불하여, 석가모니가 구제할 수 없었던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후천세계의 부처이다. 그래서인가 미륵석불의 경우에는 대개는 거대석불입상으로 조각을 하는 것이 예이다. 아마 후천세계가 도래할 때까지의 신앙대상물이기 때문인가 보다.

안성은 미륵불이 많은 곳이다. 이곳은 과거 궁예가 묵으면서 칠장사라는 절에서 무술을 배웠다고 전한다. 그래서인가 안성은 미륵불이 어느 곳보다도 많이 남아있다. 안성 인근에서 보이는 미륵불은 거대석불이다. 기다란 돌을 조각해 놓은 거대석불은 그만큼 인간들보다 월등히 도력이 높은 미륵임을 상징한 것이라는 생각이다.



남녀 한 쌍으로 조형이 된 기솔리 미륵입상

기솔리의 미륵입상은 그 높이가 5m 정도나 된다. 그러나 일반 석불입상과 같이 조각을 한 것이 아니라, 기다란 장대석에 얼굴부분만 조각을 하고, 목 밑으로는 선각에 가깝게 꾸며 놓았다. 2기의 석불입상 모두가 사각형의 얼굴에 가는 눈과 삼각형의 짧은 코, 두터운 입과 목까지 내려 온 귀 등을 뚜렷하게 조각하였다.

이 두기의 미륵입상은 모두 민머리인 소발을 하고, 그 위에 지혜의 상징이라는 육계가 튀어나와 있다. 머리 위에는 얇고 둥근 보개석을 얹어 놓았는데, 그 중앙에 구멍을 뚫어 육계에 끼워 갓처럼 표현을 해놓았다. 입은 굳게 다물었으나 엷은 미소를 띤 것처럼 보인다.



이 미륵입상은 법의를 앞가슴에서 둥글게 파내려, 발끝까지 U자 형 주름으로 표현하였다. 일반적으로 거대석불의 경우 이런 법의의 형태로 나타난다. 아마 이 지역의 특징적인 형태라고 보아도 될 것이다. 가슴까지 올려 진 왼손과, 배위에 올려놓은 오른손은 약식화가 되어 있다. 장대석에 조각을 하다보니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기가 불가능 했을 것이다. 몸의 굴곡도 같은 형태로 사실적이지는 못하다. 마을에서는 동쪽으로 향한 불상 중 북쪽에 체구가 굵고 약간 큰 불상을 남 미륵불, 남쪽에 위치한 날씬한 불상을 여 미륵불이라 부른다. 

사람들은 누구나 고통을 받고 싶지가 않다. 그러나 세상을 살다가보면 가진 자나 없는 자나 다 고통이 있기 마련이다. 하기에 그런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찾게 되고, 그것이 미륵을 형상화 시킨 미륵입상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본다. 이 일대의 미륵입상은 모두 거대석불로 조성이 되었는데, 그 또한 이 지방 미륵입상의 공통된 표현방법이다.



아마도 이렇게 거대석불입상을 세운 것은 미륵불이 하루 빨리 현신해, 중생의 고통을 잊게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인지도 모른다. 기솔리의 석불입상을 보면서 그때나 지금이나 중생들이 바라는 것은 하나일 것이라는 점이다. 바로 세상을 살면서 조금이라도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괴산군 청안면 효근리 385 보안사 대웅전 안에 자리한, 충북 문화재자료 제22호인 보안사 석조여래좌상. 1957년 경에는 노천의 석단에 모시고, 사람들이 찾아와 불공을 드리고는 했단다. 1997년 현재의 법당을 짓고 그 안에 주존불로 모셔놓았다. 보안사를 찾아 안으로 들어가니 석불에 금분을 입혀, 원래의 석불로서의 상태가 아니라 조금은 아쉬움이 든다.

 

얼굴에 비해 어깨가 왜소해 보이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턱을 내리는 등 조금은 위축된 듯한 표현을 하고 있다. 반가사를 착용한 점 등으로 볼 때 그 시기가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신없는 문화재 주변

 

▲ 문화재 앞 문화재 주변에 늘어놓은 소불들이 문화재의 가치를 반감시키지는 않는지

 

석불좌상의 앞으로는 작은 소불들이 놓여있다. 주변에 즐비한 이런 소불들이 막혀있어, 정작 문화재를 찬찬히 훑어보기에는 난감하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이런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정작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기 위해 찾아갔는데, 이런저런 것들을 늘어놓아 정신이 없을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보안사 석조여래좌상은 높이가 117cm이다. 금분을 입히지 않았으면 더 정확한 모습을 볼 수 있을 텐데, 이렇게 금박을 입혀놓아 오히려 문화재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았는지 우려가 된다. 광배나 연화대는 없으나 석불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문화재인 보안사 석조여래좌상. 법의를 반가사로 입은 것도 특이하다.

 

약사여래불로 보이는 석불좌상

 

▲ 얼굴 육계와 백호가 뚜렷하다. 얼굴은 둥근편으로 위엄이 있다. 그러나 금박을 두텁게 입히고 그려넣어 본래의 모습은 알기가 어렵다.

▲ 수인 수인으로 보아 약사여래불로 추정한다.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보안사 석불좌상은 미간의 백호가 뚜렷하다. 안면은 칠을 하고 눈썹과 입술 등을 그려 넣어 정확한 모습을 가늠할 수가 없다. 하지만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귀는 길게 내려져 어깨에 닿았고, 코는 큼지막하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크고 둥근 편이며, 훼손이 되지 않았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반가사로 표현을 하였고, 왼쪽 가슴에서 내려진 옷의 주름은 무릎까지 덮고 있다.

 

법의가 끝나는 곳에 양쪽 발바닥이 노출이 되어있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위엄을 보이고 있다. 다만 금칠이 너무 두터워 무겁고 탁한 감을 준다. 수인은 오른손은 무릎 위에 놓고, 왼손을 펴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있다. 손바닥이 이렇게 위로 올려진 것은, 손바닥 위에 물체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아마 약병을 든 약사여래불로 추정된다.

 

문화재의 원형보존은 절대적으로 중요해

 

▲ 귀 귀는 길게 느려트려 어깨까지 닿았다. 전체적으로 육중한 느낌을 준다.

▲ 가사 반가사를 입은 모습이 특이하다.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중한 문화재의 원형보존은 중요하다. 문화재가 어느 시기에 일부 훼손이 되었다고 하면, 철저한 고증을 거쳐 훼손이 된 부분을 보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답사를 다니면서 보면 전혀 고증을 거치지 않은 이상한 형태로 보수를 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보는 문화재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형태는 보존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문화재를 더 가치 없게 만드는 행위라는 생각이 든다.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보존. 물론 보안사의 석불좌상도 허락을 받고 금분을 입힐 것이겠지만, 이렇게 원형을 바꾸어 놓는다면, 참다운 문화재 보존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소중한 문화재의 주변에 어지럽게 진열한 많은 전시품들이, 오히려 문화재의 가치를 훼손한다면 과감히 법적 제도를 만들어서라도 막아야 할 것이다. 소중한 보안사의 석불좌상이 오히려 그 가치가 반감이 되기 때문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2, 27)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