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 참 아름다운 강이다. 예전 기억으로는 이 남한강에서 잡히는 장어를 갖고 요리를 해 파는 집들이, 지금 신륵사 입구에 줄지어 서 있었다. 그러나 팔당댐이 막히고 나서 물길을 이용해 신륵사 앞으로 올라오던 장어들은, 높은 벽에 막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그리고 1973년 이후 다시 30년. 이제는 남한강에 세 개의 보를 막는다고 난리법석이다.

그 보 공사를 하기 위해서 신륵사 맞은편에 있는 금모래은모래의 아름다운 풍광은 이제 찾아볼 수가 없다. 금모래은모래는 자연 퇴적층을 이룬 곳이다. 위에서 흐르는 남한강의 물길이 돌아치면서 흙을 날라다가 쌓은 곳이, 바로 여주사람들이 자랑하는 금모래은모래 밭이다. 이곳에서 하늘을 찌르는 숲이 우거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기도 하다.


휑하게 파헤쳐진 곳, 슬픔이 밀려와

5월 19일 찾아간 신륵사. 그 곳에서 건너다보이는 금모래은모래는 예전의 정취를 찾아볼 수가 없다. 숲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듬성듬성 조경을 해 놓은 나무들이 눈에 거슬린다. 그리고 아름답던 모래톱은 그저 평평한 볼품없는 꼴로 바뀌어 버렸다. 물이 굽이치는 곳에는 채취한 골재가 산을 이루고 있다.

저 모래산이 바로 남한강의 속살을 다 빼낸 것이려니 생각하니, 한숨만 쉬어진다. 신륵사 전탑을 오르는 길에 만난 수령 600년이 지난 은행나무에게 묻는다.

 


“과연 저것이 강을 살리는 길일까요?”
“.......”
“저렇게 해 놓으면 이 강에서 살아가는 뭇 생명들이 다 잘들 살까요?”
“.......”
“강을 지키겠다고 노심초사 하시던 분들은 다 어디로 가셨을까요?”
“......”


2010 2, 2의 남한강 금모래은모래(신륵사에서 바라본) 아래사진은 2011, 5, 19 의 모습. 숲이 사라졌다

한 마디의 답도 없다. 그저 입을 다물고 살라는 것인지, 아니면 말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600년이 넘는 시간을 신륵사 앞을 흐르는 강을 바라보고 서있는 은행나무. 이 나무는 나옹선사가 덕이 높은 스님들을 찾아 마음을 닦고 불도를 배우고, 중국에서 돌아와 짚고 온 은행나무 지팡이를 심은 것이라고 한다.

나옹스님은 지팡이를 꽂으면서 ‘이 나무가 살면 후일 내가 죽어도 살 것이고, 만일 이 나무가 죽으면 나는 아주 죽은 것과 같다’는 말을 남겼다. 이 나무는 전쟁 통에 수난을 당하기도 했지만, 600년이 넘는 세월을 잘 자라고 있다.

산처럼 쌓인 남한강에서 채취한 골재더미. 속살을 다 빼앗긴 남한강이다.

여강, 금모래은모래.. 이젠 다 옛 이름이 되다

남한강이 흐르면서 여주를 지나면 이름을 ‘여강’이라고 했다. ‘여(麗)’란 곱다는 뜻이다. 그만큼 여주를 가로 질러 흐르는 남한강은 아름다운 강이다. 그 강을 정비를 한다고 꽤나 자연스럽지 못하게 만들어 놓았다. 직강으로 조성을 하면서 한편에는 돌 축대를 쌓는 모습도 보인다. 그런다고 밑에서 오르지 못하는 물고기들이 올라와 산란을 할 수 있을까?

도대체 강은 흐르고 싶은 데로 흐른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그 많은 생명들은 다 이 혼란함 속에서 어디로 간 것일까? 생명이 살 수 없는 강에서 우리 후손들은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강의 속살을 파내 산더미처럼 쌓아놓은 골재들이, 눈앞에 거대한 공룡처럼 보인다.


2010, 3, 28 여강선원에서의 수경스님과 파헤쳐지고 있는 여강선원 자리(아래)

달라진 여강, 이제는 금모래은모래도, 여강도 사라져버렸다. 그리고 ‘수경스님’이 강을 지키겠다고 건강을 해치며 지키고 있던, ‘여강선원’의 자리도 다 파헤쳐지고 있다. 이제는 무엇에 마음을 담고 살아야할지.


속초에 있는 영랑호는 자연 석호이다. 석호란 민물과 짠물이 서로 섞이는 호수로, 석호에는 바닷물고기와 민물고기가 공생을 한다. 영랑호의 민물고기들은 주로 잉어와 붕어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잉어의 경우에는 큰 것은 그 길이가 70~80cm 정도가 되는 것도 있다. 이 잉어들은 주로 설악산에서 흐르는 물이 스며드는 곳에 모여 있다.

속초에 들릴 때마다 찾아가는 영랑호이다. 영랑호를 한 바퀴 걸어서 돌면 한시간 20분 정도가 소요가 된다. 맑은 공기와 봄꽃들이 날리는 길을 갇는 것은 여간 즐거운 일이 아니다. 거기다가 가끔은 남들이 보지 못하는 진귀한 광경을 볼 수 있으니, 이보다 좋은 일은 없는 듯하다.

 

민물이 유입되는 곳에 집단으로 모여있는 이엉떼들. 물이 맑지가 않아서 형체만 보인다.

영랑호 잉어들의 묘기

아침에 영랑호를 한바퀴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고 카메라를 챙겨 들었다. 어디를 가나 분신처럼 들고다니는 것이니, 오늘이라고 빠트릴 리가 없다. 천천히 d여랑호 산책길을 걷다가 잉어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갔다. 오늘도 예외 없이 잉어 떼들이 모여 한가롭게 유영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물이 맑지가 않아 그저 시커멓게 보이는 것이 아쉽다.

그런데 여기저기서 한 마리씩 잉어들이 머리를 들고 물 위로 솟구친다. 몇 년을 속초에서 살았지만 이런 모습은 처음본다. 녀석들이 구경꾼들이 많으니 묘기라도 보이는 것일까? 참으로 사람은 오래살고 볼 일이라는...





꼬리로 물을 차고 오르는 잉어들. 그러나 묘기 중 최고는 꼬리로 서서 달리기이다(맨 아래) 동영상을 찍을 수 없음이 아쉽다.

영랑호의 잉어들이 이렇게 묘기를 부리는 것은 사람들이 먹을 것을 주면서 부터라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만 모이면 녀석들이 머리를 들고 물 위로 솟구친다는 것. 먹을 것을 바라는 것은 사람이나 잉어들이나 다를 바가 없는 듯하다.

쌍계사. 말만 들어도 가슴이 벅차다.
남들은 낮에 구경을 한다지만, 난 밤에 찾아갔다.

퇴근 후 남원에 들려 찾아간
'한국의 아름다운 길'이라는 쌍계사 벚꽃 길

밤이 늦었는데도 사람들이 북적거린다.
한편에선 사진을 찍느라
갖은 포즈를 취하고 있고

또 한편에서는 연인들의 다정한 모습도 보인다.

그러나 그런 것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흐드러지 핀 벚꽃과, 형형색색의 조명으로 아름답게 수를 놓은 듯한 벚꽃
그리고 바람에 날려 허공으로 날아오르는 꽃잎들.
정말로 환상적이다. 그 아름다움을 두고 갈 수가 없어 몇장을 들고 돌아왔다.

이날 쌍계사 벚꽃구경은 남원 선원사(주지 운천스님)의 자장면 봉사단월들의 노고를 위해
새로 마련한 버스를 이용해 다녀왔다

 

 

 

  

 

 



대낮에 길을 가다가 용을 만난다면, 그 기분은 어떠할까? 아마 이런 이야기를 하면, 남들은 혹 정신이 이상해진 것은 아니냐고 할 것이다. 그러나 정말로 답사 중에 도로에서 용을 만났다. 그것도 아주 거대한 용을. 백주 대낮에 용이라니. 도로 옆으로는 보성강이 흐르고 있으니 강물 속에서 솟아나와, 승천이라도 하려는 것일까?

전남 곡성군 죽곡면에 있는 태안사 답사를 마치고, 18번 도로를 따라 오산면 가곡리 오층석탑을 찾아가는 길이다. 18번 도로는 좌측으로 보성강을 끼고 도로가 이어진다. 그런데 저만큼 이상한 바위가 서 있다. 흡사 용과 같은 모습이다. 왜 이곳에 이렇게 돌을 쌓아 용처럼 만든 것일까?


돌을 쌓아 만든 ‘석룡(石龍)’

곡성군 죽곡면 남양리. 마을입구로 들어가기 전 좌측으로 운동장이 있고, 그 운동장 입구에 돌을 쌓아 용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이해가 가질 않았다. 새머리 형상을 닮은 것 같기도 하고, 그저 돌을 쌓아 놓은 것도 같았다. 그러나 자세히 보니, 뿔이 나 있고 입에는 여의주도 물고 있다. 왜 이곳에 이런 용을 만들어 놓은 것일까? 흡사 강물에서 나온 용이 승천을 하기 위해, 고개를 들고 엎드려 있는 모습이다.

길가로 머리를 들고 있는 돌로 만든 용의 형상을 찍으려다가, 그 뒤를 보고는 소리를 내어 웃고 말았다. 용의 꼬리가 뒤편 보성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돌담으로 용꼬리를 만들어 길게 늘어놓았다. 그것도 뒤로 갈수록 담이 좁아지면서, 완연한 용의 형상을 하고 있다. 뒤편으로 돌아가서 앞으로 보니, 머리를 들고 승천이라도 할 것 같은 모습이다.



돌을 쌓아만든 석룡의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위) 뒤편으로 꼬리가 보인다(가운데, 아래)

와룡체육공원의 상징, 용의 형상

와룡체육공원은 곡성군 죽곡면 남양리 마을길 조금 전에 있다. 남양리는 양동과 박용동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마을이 남쪽을 향하고 있다 하여 남향동이라 하였단다. 이것이 변하여 남양리라 칭하게 되었으며, 박용동은 6.25당시 남양리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이곳에 왜 와룡체육공원이 들어섰는가는 자세히 알아보지를 못했다.

하지만 용머리는 남양리를 향하고 있고 용의 꼬리는 뒤편 보성강 쪽으로 길게 이어져 있으니, 그야말로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질 것이란 생각이다. 아마도 남양리에 걸출한 인물이 난다면, 후세 사람들은 이 돌을 쌓아 만든 ‘석룡(石龍)’의 기운 때문이라고 하지 않을까? 설화라도 한마디 나올법한 광경이다.


석룡은 와룡체육공원을 상징하고 있다. 뒤편으로는 돌담이 꼬리가 된다.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이런 재미있는 모습을 만나게 된다. 그저 지나치면 그만이다. 아무 생각 없이 다닌다면 그저 돌이 쌓였는가보다 하고 지나칠 것이다. 사물을 보고 훌쩍 그 앞을 지나칠 수 없음은, 답사에서 꼼꼼히 따지는 습관이 들어서인지. 2월 26일 토요일 오후, 답사 길이 괜히 즐거워진다. 다음에 이 길을 지날 때는, 돌로 용을 만든 사연이라도 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 그런 소리를 듣는다. ‘1박 2일이 다녀가면 지역에 많은 보탬이 됩니다.’라는 이야기다. 지난달인가 남원 답사를 할 때 ‘지리산 둘레길’을 1박 2일 팀이 다녀간 곳을 찾았다. 남원시 운봉읍이다. 문화재 답사를 하는데, 그 옆을 많은 사람들이 지나쳐간다.

나처럼 문화재 답사라도 하는 사람들인가 하여 기다렸는데, 그냥 지나쳐 산 밑으로 걸어간다. 어디로 가는 것인지를 물어보니 “여기가 1박 2일 사람들이 지나간 길이거든요. 그래서 걸어가는 갑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아가는 곳이 이승기가 지나간 길이라는 것이다.


1박 2일이 촬영을 한 하조대

지역경제에는 얼마나 보탬이 되나?

“사람들이 많이 오나요?”
“말도 마세요. 처음에 방송 나가고 나서는 주말에는 사람들로 줄을 이었어요.”
“그러면 여기는 수입이 많아져서 좋겠네요?”
“그런데 꼭 그렇지는 않아요. 모두 준비들을 해오기 때문에요. 그리고 들려서 가버리니까요”
“괜히 부산하기만 한가요?”
“아무래도 도움은 되죠. 그런데 여기야 지역이 좁으니 그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만큼 다양한 것이 없으니까요. 그리고 지속적이라야 하는데, 반짝하고 마는 듯도 하고요”

어느 정도 보탬이 되기는 하나보다. 지역에서는 주말이면 몇 만 명이 다녀갈 정도라고 하니 말이다. 이번 양양 답사 길에서 하조대를 들렸다. 하조대는 조선의 개국공신인 하륜과 조준이 잠시 머물렀던 곳이다. 동해안의 절경에 자리 잡고 있는 하조대는, 평소에는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들리는 곳이 아니다.


휴일에 몰려든 사람들로 인해 차들이 들어찼다.

잘나가는 TV프로는 사람들을 움직여

하조대를 자주 찾는 나로서는 이곳을 철마다 찾아보았지만, 주말에도 만나는 사람들은 불과 수십 명이었다. 주차장에도 차 몇 대가 서 있는 것이 다였고.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하조대는 차를 댈 곳이 없어 차들이 길게 꼬리를 물고 있다. 들어가지도 못하고, 나오지도 못하는 차들은 길에 서 있기도 하도.

갑자기 날도 찬데 웬 사람들이 이렇게 이것을 찾았을까? 하고 의아해 하는데, 위에 걸린 현수막을 보니 ‘1박 2일 촬영지’라는 것이다. 바로 1박 2일이 주는 홍보효과가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발길을 이리로 향하게 한 것이다.

하조대는 등대와 함께 새로 건축한 정자가 있다. 물론 인근의 경치가 절경이라서 사진을 찍는 작가들이 많이 들리는 곳이다. 특히 새해에 일출을 보기 위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몰려온다. 하지만 평소에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이지 않는 곳인데도 불구하고, 차를 댈 수 없을 정도로 모여들었다.


등대에서 하조대를 배경으로 촬영을 하는 사람들(위), 바위를 때리는 파도가 시원하다
 
인기 TV프로의 영향을 실감하게 한다. 하조대에서 장사를 하는 사람에게 물어보았다. 1박 2일 촬영을 하고나서 장사가 어떠냐고. “사람들이 많이 오고 장사도 좀 되는 것 같다. 그러나 그렇게 대박이 날 정도는 아니다. 모이는 사람들에 비해서는 장사는 그렇게 잘 된다고는 볼 수없다.”라는 대답이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다가 보니 오히려 버리고 가는 쓰레기를 치우는 일이 더 귀찮다고 볼멘소리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좋은 프로는 지역에 도움이 되어야만 한다. 많은 방문객에 비해 장사는 별로라는 지역사람들. 그보다는 정말 지역 경제에도 보탬이 되는 프로였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좋은 방송도 하고, 지역경제에 많은 도움이 된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가 아니겠는가? 방송이야 한번 하고 가면 그만이지만, 그것을 잘 활용하는 것은 지자체의 몫일 것이다. 가평 남이섬과 같은 곳처럼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