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주로 경기도 이남에서 유실수로 많이 심고 있다. 키는 20m에 이르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밋밋하지만, 점차 깊게 갈라진다. 흔히 호두나무라고도 하는데, 이 나무 이름을 들으면 ‘천언 명물 호두과자’ 생각이 먼저 든다. 

천안 명물 호두과자가 생긴 이유도, 알고 보면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1 - 1번지에 소재한 광덕사 호두나무 때문이다. 천연기념물 제39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호두나무는 수고가 18,m가 넘는 거목으로 수령이 400년이나 되었다. 약 700년 전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호두나무를 들여와 심은 곳이 바로 이곳이라고 하니, 광덕사는 우리나라 호두나무의 시배지가 되는 셈이다.



표피에 붙은 이끼가 연륜을 말해

날이 무더울 때 답사는 괴로움이 따른다. 그렇다고 찬물에 발을 담구고 가만히 붙어 있지를 못하는 성미인지라(사실은 지독한 역마살이 끼어서 그렇다고 하지만), 광덕사로 향했다. 들어가는 입구가 비좁아 차를 들이대기도 미안해, 입구 앞 너른 주차장에 차를 대고 걸어보니 기온이 33도나 되어서인가 땀이 등골을 타고 흐른다.

얼마 걷지 않아도 되는 광덕사 입구길이 백리는 되는 듯하다. 여름만 되면 흐르는 땀을 주체하지 못하는 나로서는 사람들을 만나면 일부러 멀리 피해야 한다. 흐르는 땀으로 인해 몸에서는 쉰내가 나기 때문이다. 그것이 내 잘못은 아니라 해도, 상대방이 기분 좋을리가 없으니 말이다.




광덕사 대웅전을 오르는 계단 입구에 서 있는 호두나무 한그루. 그 크기만 보아도 대단하다. 나무에는 파란 이끼가 끼어있고, 표피는 마치 거북등처럼 갈라져 있다. 한 마디로 연륜을 느낄 수 있는 형태이다. 이곳에 처음으로 호두나무가 심어진 것은 고려 충렬왕 16년인 1290년 9월이라고 하니, 올해로 720년이 지난 셈이다.

영밀공 유청신이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올 때 호두나무의 묘목과 열매를 가져와, 묘목은 광덕사 경내에 심고 열매는 자신의 고향집 뜰에 심었다고 전한다. 유청신은 고려 후기의 역관으로 전남 고흥사람이다. 고흥에도 이만한 호두나무가 자라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이곳을 우리나라 호두나무의 시배지라 부른다.





광덕면 곳곳에 퍼진 호두나무

현재 광덕면 일대에는 유청신의 후손과 지역민들의 노력으로 약 25만 8천여 그루의 호두나무가 재배되고 있다고 한다. 천안 명물 호두과자가 이곳에서 명성을 얻은 것도 결코 우연은 아니다. 그만큼 많은 노력을 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있게 된 것으로 본다.

광덕사 입구에 서있는 호두나무는 수령이 40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생육상태가 좋은 편이다. 여기저기 무수히 많은 열매를 달고 있어, 자기가 휘어 받쳐놓을 정도이다. 밑에서는 두 갈래로 크게 올라와, 지상 60㎝의 높이에서 두 개 줄기로 갈라져 있다. 가슴높이의 둘레는 각각 2.6m와 2.5m 정도이다.




400년이 넘도록 숱한 풍상 속에서 견뎌낸 광덕사 호두나무. 이 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만큼 보존이 잘되어 잘 자라고 있다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소중한 문화유산은 우리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후손들에게서 빌려왔다는 생각을 저버리지 말았으면 하는 것도, 이 호두나무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국도변을 지나다가 보면, 커다란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멀리서보면 마치 한 마리의 용이 머리를 쳐들고 있는 것 같은 이 소나무는, 수령 400년이 지난 천연기념물 제426호 대하리 소나무이다.

대하리 소나무는 반송의 일종으로 그 줄기가 마치 용이 뒤틀고 있는 듯한 형상이다. 2개의 우산을 맞대어 놓은 것 같다는 대하리 소나무. 그 모습은 여느 소나무에서 찾아보기 힘든 아름다움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426호 대하리 소나무

마을의 수호신이었으나 이제는 시들해

대하리 소나무는 높이가 6m, 가슴 높이의 둘레가 3m가 넘는다. 가지는 동서로는 15m 정도에 남북으로는 20m가 넘어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가까이 가서보니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보인다. 오랜 세월을 지나다가 보니 그런 세월의 아픈 상처가 생기는가 보다.

대하리 소나무는 주변에 황희선생의 영정을 모신 장수황씨 종택사당과 사원이 있어, 마을 이름을 ‘영각동’이라 불렀다. 마을에서는 주민들이 모여 매년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평안과 가내의 안녕을 기원하는 영각동제를 지냈다고 한다.

소나무 잎에 돌이 음식을 진설하는 지석이었다.

소나무의 앞을 보니 제단으로 사용했을 지석이 보인다. 사람들이 그동안 이 소나무를 얼마나 정성을 다해 위했는가를 알 수 있다. 지금은 영각동제도 중단이 되었다고 한다. 세월이 변하면 사람들도 그러한 것에 별 의미를 두지 않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주인의 마음이 2세를 키우고 있어

소나무를 찍으려고 하는데 옆에 있는 식당에서 한 분이 나와 제지를 한다. 이유를 알고 보니 대하리 소나무가 있는 대지의 주인이란다. 소나무야 문화재청에서 관리를 하는 것이지만, 이 땅의 주인이니 엄밀히 따지자면 이 분이 주인이 되는 셈이다. 사람들이 함부로 사진을 찍는다고 소나무를 해칠까 걱정이 된다는 것이다.


대하리 소나무는 반송의 일종으로 마치 용이 뒤틀고 있는 형상이다.

미처 이야기를 하지 못했음을 사과를 하고, 소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물었다. 소나무 여기저기를 둘러보면서 친절하게 설명을 한다. 소나무로 인해 주변 정리를 함부로 할 수도 없어서 많은 불이익을 보고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그러다가 따라오라고 하여 건물 뒤로 따라갔더니, 작은 소나무들이 보인다. 바로 천연기념물인 대하리 소나무의 2세라는 것이다. 그저 지정만하고 아무 대책도 세워놓지 않아, 수령이 많아 죽어간 나무들을 보아온 터다. 그런 것들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는데, 대하리 소나무는 2세들이 자라나고 있었다. 제법 큰 나무들도 보인다.


수술을 안 부위가 안에서 썪어가고 있다고 한다.
식당 건물 뒤편에 자라고 있는 대하리 소나무의 2세들.

나무가 상해 잘라내고 외과수술을 한 곳이 드러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어찌 이렇게 방치를 할 수가 있나 싶었는데, 그나마 2세들이 자라나는 것을 보니 조금은 위안이 된다. 수많은 천연기념물들이 훼손이 되는 모습들을 보면서, 그래도 위안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런 정성을 드리고 있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이다. 탁주라도 한 잔 마시면서 오랜 시간 이야기라도 하고 싶었지만, 정해진 일정 때문에 소나무를 뒤로한다. 매번 상처를 받아 돌아오는 답사 길이었는데, 모처럼 찡그리지 않는 날이었던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