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 법흥동에 가면 보물 제182호인 임청각이 있다. 임청각은 중종 14년인 1519년에 형조좌랑을 지냈던 고성 이씨인 ‘이명’이 지은 고택이다. 원래는 99칸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70여 칸만 남아있다. 70여 칸이 남은 현재의 집안을 둘러보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집이다. 과거에는 과연 어떠했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민가 중 하나인 임청각은, 독립 운동가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1858 ~ 1932)의 생가이다. 석주 이상룡은 아들과 손자가 모두 독립운동을 했던 집안으로, 삼대가 독립운동을 한 유공자다.

 

 

주거공간이 구분된 임청각

 

임청각은 흔하지 않게 보물로 지정이 된 집이다. 우리나라에 고택 등이 보물로 지정이 된 경우는 경주 안강읍에 소재한 보물 제413호인 독락당 등 몇 채에 불과하다. 그만큼 임청각은 독특한 구성과, 오랜 세월 원형을 잘 보존한 고택임을 알 수 있다.

 

이 임청각은 남녀의 주거공간이 매우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어서, 건물의 위계질서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 별당형식인 임청각의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은 사랑채로, <정(丁)>자를 옆으로 누인 형태이다.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고 하는 군자정은, 임청각의 한편에 자리를 잡고 있다.

 

 

 

좁은 지하통로를 통해 다가선 군자정

 

지금은 앞으로 철로가 지나고 있어서, 좁은 지하통로로 들어가야 하는 군자정. 작은 문 안으로 들어가면 바로 정자로 오를 수 있는 돌계단이 있어, 나그네들이 들어오기에 편하게 만들었다. 안으로 통하는 작은 문이 또 하나가 나 있어,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기에 불편함이 없이 만들어 놓았다. 문은 나무로 짜서 양편으로 열리게 만들었으며, 난간을 둘러 운치를 더했다.

 

일각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계단이다.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쌓아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한편은 담으로 둘러 온돌을 놓았다. 그리고 우측으로는 장초석을 이용해 높임 누마루를 놓아 운치를 더했다. 높임마루 앞으로는 작은 연못을 두어, 주변경관을 아름답게 꾸몄다. 임청각의 주인이 남다른 건축미에 대한 해박한 식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자나 누각은 대개 하나의 개별 형태로 떨어져 지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는 사랑채로 사용하는 누정은 사랑채 한편을 돌출시켜, 누정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가독의 경우이다. 하지만 임청각의 군자정은 집 안에 사랑채를 정자를 지어, 사람들과 교류를 통하게 하였다는 것이 의미가 크다.

 

요즈음 사람들 군자정에서 소통의 의미를 배웠으면

 

요즈음 어느 계통에 사는 사람들이나 서로 소통이 안 되는 바람에 목소리들을 높이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이 군자정의 지어진 형태를 보면서 주인의 마음을 읽어본다. 밖에서 들어오는 과객들조차 마음 편하게 오를 수 있도록 꾸며 놓은 군자정. 지금은 철길로 인해 시야가 막혀있지만, 그 예전에는 앞으로 흐르는 도도한 물줄기를 바라다보면서 시흥에 취했을 것 같다.

 

 

수많은 정자들이 서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군자정은 세상 속에서 스스로 군자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주인의 여유 있는 마음을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더 멋진 정자라는 생각이다. 오늘 군자정을 기억하면서, 세상을 사는 지혜 한 자락을 배운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누구랄 것이 없다.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하여 그 아름다움을 글로 남겨놓기를 좋아한 우리 선조들이다. 그것이 임금이라고 해서 다를 것이 없다. 누정 하나를 두고도 그렇게 임금들 까지도 그 아름다움을 후대에 전했다.


관동팔경. 동해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 여덟 곳을 이르는 말이다. 강원도 고성부터 7번 국도를 따라 내려가면서 볼 수 있는 관동팔경은 몇 번을 둘러보아도 아름답기 그지없다. 관동팔경은 강원도 통천의 총석정과 고성의 삼일포를 비롯해 청간정,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경상북도 울진의 망양정과 월송정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는 이 관동팔경을 다 볼 수 없음이 안타깝다.

 


비가 오는 날 오른 망양정


정자기행을 하면서 망양정을 찾은 날은 비가 뿌리는 날이었다. 망양정에 오르니 주변에 원추리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다. 넓은 동해를 바라보며 작은 능선 위에 올라앉은 망양정. 가히 관동팔경 안에 들어갈 만한 곳이다.


이 망양정은 팔경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정자라 하여, 조선 숙종이 <관동제일루>란 현판을 하사할 정도였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는가 보다. 비가 뿌리는 망양정. 그 멋스러움은 몇 해가 지났건만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망양정에서 내려다 본 동해바다와 숙종의 어제시

 

망양정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와 글로는 숙종과 정조의 어제시, 정철의 관동별곡 등이 전해진다. 그림으로도 정선의 백납병, 관동명승첩에 있는 망양정도 등이 유명하다. 아름다움을 글과 그림으로 남기기를 좋아했던 선조들. 그만큼 망양정은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을만 한 정자다.


관동별곡 중 망양정 부분을 보면 파도가 치고 포말이 일고 있음을 묘사하고 있다. 아마도 정철이 이곳에 올랐을 때 동해에 파도가 심하게 치고 있었는 듯하다.


션사(仙사)를 띄워 내여 두우(斗牛)로 향(向)하살까.

션인(仙人)을 차자려 단혈(丹穴)의 머므살까.

텬근(天根)을 못내 보와 망양뎡(望洋亭)의 올은말이,

바다 밧근 하늘이니 하늘 밧근 므서신고.

갓득 노(怒)한 고래, 뉘라셔 놀내관대,

블거니 쁨거니 어즈러이 구난디고.

은산(銀山)을 것거 내여 뉵합(六合)의 나리는 듯

오월(五月) 댱텬(長天)의 백셜(白雪)은 므스 일고.

 


자리를 옮긴 망양정


원래 망양정은 지금의 자리에 있었던 것이 아니다. 기성면 망양리 현종산 기슭에 있던 것을 조선 철종 11년인 1860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한 것이다. 그 후 망양정은 몇 번의 수난을 당했다. 허물어져 없어졌던 것을 1958년 중건하였으며, 2005년에 완전 해체,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관동팔경 중 수일루라고 일컫는 망양정. 그저 누각에 올라 동해만 바라다보아도 가슴이 트이는 듯 하다. 이런 절경에 누각을 짓고 누대에 올라 어떤 꿈을 꾸었을까?


수많은 선조들이 이곳을 거쳤을 것이다. 그 많은 선조들은 각기 가슴에 망양정이라는 절경을 품고 길을 떠났을 것이다. 정자를 찾아 길을 나설 때마다 마음이 설렌다. 오늘은 또 어느 곳에서 아름다운 정자를 만날 수가 있을까? 그리고 그 정자에는 어떤 사연들이 기다리고 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정자들을 찾아 길을 나서지만, 그 여정이 언제 끝나려는 지는 모르겠다. 그저 언젠가 아름다운 정자를 작은 책에 담아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오늘도 누정을 찾아 길을 나서고 싶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 하고 싶다. 그 작은 이야기 속으로 함께 들어가고 싶다.

정자는 집안이나 경치가 좋은 곳에 짓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 그리고 그 용도는 대개 후학을 양성하거나 시를 짓고,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정자를 지은 주인의 심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건조물이기도 하다.


경북 영주시 영주1동 19-1번지에 소재한 영훈정은 현재 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그래서인가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원래 영훈정은 15세기 중반 군수 정종소가 사신을 맞이하고 배웅할 목적으로 지어졌다. 그후 조선조 인조 21년인 1643년에 신숙이 다시 세우고 퇴계 이황 선생의 친필을 모각하여 영훈정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관청으로 사용하였던 정자


영훈정은 군 남쪽 3리에 처음에 지었으나, 일제시대에 현 위치로 이건하고 관청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대개의 정자가 가문에서 지어지는 것과는 달리 관용으로 지었다는 점이 색다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영훈정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는 가문에서 짓는 정자들이 방을 마련하는 것에 비해, 사신을 영접하기 위한 정자로 지어졌기 때문에 사방의 경치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지역에 산재한 많은 정자들을 보면 가문에서 지은 정자는 방이 있다. 하지만 경치를 보기 위한 정자는 대개 사방이 트여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

 

 


한 정자에 붙이는 여러 개의 명칭


정자를 답사하다가 보면 한 정자 안에, 정자의 이름이 여러 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해가 뜨는 방향으로는 일출정, 달을 볼 수 있는 서편은 영월루, 그리고 바라다 보이는 경관을 향해 또 다른 이름을 붙인다. 그만큼 한 정자를 갖고도 나름대로 멋을 생각하고 명칭을 붙여 사방이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정자들도 있다.


영훈정 안에도 두개의 현판이 더 걸려있다. 이 현판들이 처음부터 이 정자의 또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방위를 따라 현판을 거는 것이 일반적인데 한 편 벽에 모아놓은 것으로 보아서 딴 정자의 현판이거나, 아니며 또 다른 명칭으로 불렸을 때 걸었던 현판일 것으로 보인다.

 

 


정자를 찾아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사연도 많다. 그리고 정자 나름대로 한 가지 멋을 지니고 있다. 15세기 중반에 사신을 영접하기 위해 지어진 영훈정도 처음에는 남정자라고 부르다가 영훈정이 되었다. 아마 이 정자는 이 위에서 질펀하게 술을 취해 놀았던 곳이었을 것이다. 사신을 맞이한다는 명목으로. 관의 정자는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이야기는 많지 않다.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4호로 지정이 된 영훈정. 학교 안에 있어서인가 깨끗하게 보존이 되어있다.


아이들이 오르면 낙서라도 할 것 같아서인지, 정자는 오르지 못하게 줄을 느려놓았다. 어디를 가나 아름다운 곳에 함께 아름다워지고 싶은 정자. 그런 정자들이 서 있어 길을 가는 나그네는 외롭지가 않다. 쉴 수도 있거니와, 정자에 올라 정자를 지은 주인의 마음을 함께 느낄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자를 찾는 길은 힘이 들어도 늘 즐겁기만 하다.

 

노송 몇 그루가 만들어 내는 멋진 풍광. 그리고 주변으로 흐르는 물과 바람에 바스락거리는 나뭇잎. 빼어난 주변경관과 무슨 이야기 하나 있을 듯한 분위기. 바람과 물, 송림이 함께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태를 만들어 내는 곳. 이런 곳이 바로 누정를 짓는데 꼭 필요한 요건이다.


경북 영주 소수서원 입구를 들어서 송림 사이를 지나는 길, 하늘 높게 자란 노송들이 즐비하다. 열을 맞추어선 노송 사이를 지나면서 깊은 호흡을 한다. 솔향이 코끝을 간지럽힌다. 이런 좋은 송림에서 사람들은 노송의 자태를 닮아 푸른 마음을 가졌던 것일까? 물소리가 나는 곳으로 다가가 건너다보니, 내를 건너 노송 몇 그루와 함께 어우러진 정자가 보인다.

 

 

500년 세월 고고한 자태를 지니다


취한대, 조선조 명종 5년인 1550년, 당시 풍기군수이던 이황선생이 처음으로 지은 정자다. 이 아름다운 곳에 정자를 짓고, 소수서원의 원생들이 시를 지으면서, 청운의 꿈을 키우도록 한 것이다. 누구인들 이 아름다운 풍광에 젖지 않았을까? 아마도 이런 곳에 지은 이 취한대로 인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풍운의 끔을 안고 큰 발걸음을 옮길 수가 있지 않았을까?


취한대를 오르기 위해 내를 건너간다. 물살이 흐르는 곳에 시멘으로 넓적하니 징검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내를 건너 천천히 취한대를 향한다. 그저 바쁜 일이 없다. 이 절경에 나를 맡겨본다. 그것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길이다. 바쁜 걸음을 걷다가도 이런 곳을 만나면, 그저 시간을 붙들어 놓은 듯 여유를 부릴 수가 있다.

 


바쁠 길 없는 여정, 서낭에 돌을 놓다


가는 길에 보니 서낭이 있다. 예전 이 내 곁으로 난 길을 따라 걷던 사람들이, 여정의 평안함을 위해 돌 몇 개를 올려놓고 안전을 빌었을 것이다. 서낭 주변에는 금줄이 처져있는 것을 보니. 주변 마을에서 이곳에 제라도 지내는 모양이다. 아마도 오랜 시간 그렇게 사람들과 함께 했을 것이다. 


주변에 구르는 돌 하나를 집어 서낭에 던진다. 돌과 돌이 부딪치며 내는 "딱" 소리가 경쾌하다.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답사를 하는 나로서는 이렇게 서낭을 만날 때마다 돌 하나라도 더하고 간다. 그 숱한 여정의 무탈을 위하는 마음에서이다.

 

 


정자는 보수를 하였는지 말끔하다. 단청을 하지 않은 맨살을 드러낸 나무들이 소수서원과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다. 주변의 소나무들이 오히려 이 맨살의 나무들을 더 아름답게 치장을 해주는 듯하다.


호연지기를 키우는 정자, 취한대


‘취한’이란 맑은 물 푸른 솔과 함께 호연지기를 키우라는 뜻이다. 이렇게 맑은 물이 흐르고 노송이 푸르른 자태를 자랑하는 곳이라면, 그 누군들 호연지기를 키우지 않으리오. 아마 젊은이들이 이 취한대를 자주 찾아드는 것도 그런 꿈이 있기 때문인가 보다.


취한대를 보고 있는데 젊은 남녀들이 앞을 질러간다. 취한대 마루에 앉아 담소를 하는 모습을 보며 미소를 짓는다. 세월은 지나고 사고는 달라져도, 아름다움을 느끼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나보다. 젊은이들은 무엇이 그리 즐거운지 연신 웃음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옛 소수서원의 원생들도 이들과 같은 모습이었을까? 시를 짓고 세상을 논하고 자신을 알아가고, 아마 그런 꿈을 만들었을 것이다.

 


취한대의 모습에 녹아본다. 저 대들보 위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젊음의 이야기가 쌓여있을까? 그 이야기를 훌훌 털어내어 한 아름 엮어내고 싶다. 그 이야기들을 오늘 꿈을 잃어버리고 대학이라는 문을 향해 달려가고만 있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정자는 그 안에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 하나하나에는 우리들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숨어있다. 그것은 상반을 초월한다. 내가 정자를 찾아 먼 길을 떠나는 것도 그런 이야기 때문이다. 요즈음처럼 있는 자들이 하나라도 더 가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스스로 본이 되게 하려고 많은 애를 쓴 흔적이 남아있다.

 

이런 이야기를 자랑하고 있는 정자가 있다. 마음은 흐르는 맑은 물과 같다는 말이 있다. 경주 양동마을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고 있는 심수정(心水亭). 마음을 깨끗이 비우고 세상 탐욕에서 멀리하다 보니,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생길 만도 하다.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정자

 

중요민속문화재 제81호로 지정이 된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심수정.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곳이다. 마을에 들어서면서 초입 우측으로 오래된 나무들이 굵은 줄기에 이끼를 가득 안고 있는 집이 있다. 멀리서 보기에도 예사롭지가 않은 집, 바로 심수정이다.

 

심수정은 농재 이언괄을 추모하여 지은 정자다. 조선 명종 15년인 1560년경에 지어졌으니 벌써 450년이 지났다. 이언괄은 형인 회재 이언적을 대신하여 벼슬길을 마다하고, 나이 드신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양반의 가문에서 태어나 벼슬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모를 모신 이언괄. 아마 그 마음이 예전이나 지금이나 더럽고 추하게 세속에서 탐하는 벼슬을 마다하고, 흐르는 물에 씻듯 모든 것을 다 씻어버린 것은 아니었을까? 그런 마음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정자가 바로 심수정이다.

 

 

 

벼슬을 버리고 효를 택한 마음 심수정

 

세상 사람들은 물질과 벼슬에 탐닉을 한다. 그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온갖 추하고 역겨운 인간들이 자리를 탐하면서도, 스스로 반성을 할 줄 모르는 모양새를 보면 이 심수정이 더욱 빛이 난다. 모든 여건이 다 만들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모를 위해 스스로 벼슬길을 마다할 수 있는 이언괄의 마음이야 말로, 바로 맑은 물이라는 생각이다. 심수정은 그와 같은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명종 때에 처음으로 지은 심수정은 철종 때에 이르러 소실이 되었다. 그 후 1917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심수정은 아름답다. 그 안에 배인 마음이 있어 더욱 아름답다. 7칸 대청에 양편으로 방을 둔 팔작집이다. 서쪽 방 옆으로는 난간이 있는 누마루를 두었다. 심수정의 아름다움은 바로 이 누마루에 있다. 3면이 훤히 트인 누마루에 오르면 양동마을이 다 보인다. 아마 이 누마루에 올라 이언괄의 효심을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심수정, 이언괄이 그러했다. 벼슬길이 보장이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을 대신해 노모를 극진히 모시기 위해 벼슬을 마다한 이언괄. 그 마음이 배어있는 정자이기 때문에, 더 아름다웠는지도 모른다. 정자 하나가 이토록 먼 길을 찾아 온 나그네를 기분 좋게 하다니. 그래서 정자기행이 계속되는가보다.

 

세상을 살아가기 힘들 때 이곳 정자에 올라 마음 한 자락을 내려놓을 수 있어서 좋다. 아마도 그런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한다면 어찌 이 불편한 세상을 살아갈 수가 있을까? 심수정 누마루에 더럽혀진 마음 한 자락을 꺼내어 훌훌 털어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