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부터 청소년 상대로 대장간과 목공예 체험실시

 

대장간이란 철과 구리 등 금속을 달군 후 두드려 연장이나 각종 기구를 만들어 내는 곳이다. 대장간에서 사용하는 기구로는 풀무와 화로를 비롯해 모루 · · 망치 · 집게 · 숫돌 등이 있다. 풀무는 불을 피울 때 바람을 일으키는 기구이며, 모루는 불린 쇠를 올려놓고 두드릴 때 받침으로 쓰는 쇳덩이다. 그리고 메는 무엇을 치거나 박을 때 쓰는 방망이를 말한다.

 

대장간에서 쇠를 녹여 각종 기구를 만드는 장인을 대장장이라고 하고 야장이라고도 불렀다. 우리나라 기록상 최초의 야장은 신라의 석탈해(昔脫解)였다. 신라 때 철유전(鐵鍮典)이나 축야방(築冶房)과 같은 관서가 있어 무기와 생활용품, 농기구 등을 제작하였는데 이미 많은 대장장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이들을 딱쇠 · 대정장이·성냥·바지·야장(冶匠철장(鐵匠)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렀다.

 

 

이외에도 신라시대 사찰에서는 불상과 종의 주조기술을 가진 사노(寺奴)가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관직·제도상에서 여러 장() 가운데 홀대대장(笏袋大匠연장(鍊匠전장(箭匠) 등은 대장간을 관장하던 관리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의 경국대전공전(工典)에는 서울에 192, 지방에 458명의 야장이 각 관서에 배치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대장간은 전국에 50여 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통적인 대장장이가 호미 하나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줄잡아 한 시간 종도이다. 그러나 호미를 기계로 제작하면 한꺼번에 수십 개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복잡한 수작업을 해야 하는 대장장이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지금은 대장간과 대장장이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런 대아간을 만날 수 있는 곳이 수원 구천동에 자리한 구천동공구시장이다.

 

어린 시절 이곳 구천동에서 처음으로 공구점 종업원으로 일을 시작했어요. 당시는 이곳 일대가 서울 청계천 공구상들이 밀집한 지역을 제외하면 가장 큰 공구상들이 모인 곳이었죠. 당시는 수원에도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이곳에 대장간도 네 곳이나 되었고요. 각종 기계 등도 이곳에 와서 구입을 하느라 정신이 없을 정도로 바빴죠.”

 

 

구천동공구시장 박명희 회장이 기억하고 있는 대장간. 현재 수원에는 수원천 인근에 세 곳의 대장간이 남아있다. 박명희 회장은 구천동공구시장 내에 대장간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장을 마련하겠다고 한다. 모든 것이 사라지고 변하고 있는 이 시대 우리의 전통 야장들이 쇠망치를 내리치며 각종 기구를 만들던 대장간의 추억을 그리는 체험행사를 시작하겠다는 것이다.

 

“5월부터 대장간 체험행사를 하려고 쇠를 달굼질하는 풀무 등을 제작하고 있어요. 화로는 모두 세 개를 제작하려고 하는데 시간이 좀 늦어질 것 같아요. 기획사가 저희한테 의논도 하지 않고 체험을 하겠다고 사업계획서를 제출해 시기적으로 조금 늦어지고 있어요

 

25일 오후, 공구상가시장에서 만난 박명희 회장은 쇠를 녹이는 화로를 제작하고 있는 성일기계공업사로 안내해 일일이 설명을 해준다. 그동안 작업이 늦어지긴 했지만 5월안에 체험을 시작하겠다는 것이다. 불을 피우고 쇠를 다루는 대장간 체험이기 때문에 안전에 필요한 도구 등을 준비하는데도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올해 대장간 체험을 하면서 목공예 체험도 함께 하려고요. 아무래도 불과 나무를 같이 체험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대장간의 추억은 이젠 옛 풍속화에서나 만날 수 있는 것으로 사람들은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구천동 공구시장을 찾아가면 탕탕하며 쇠망치를 내리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 대장장이의 모습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 그렇기에 구천동 공구상가시장의 대장간 체험을 하는 모습을 더욱 보고 싶은 것인가도 모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