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20호 용주사 동종의 조형에 반하다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에 소재한 용주사. 일 년이면 4~5차례 이곳을 들린다. 용주사에 들리면 빠트리지 않고 돌아보는 것이 바로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동종이다. 용주사 동종은 신라의 종 양식을 보이는 종으로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졌다. 거대한 범종인 이 동종은 높이1.44m에 입지름 0.87m, 무게는 1.5톤이다.

 

용주사 경내로 들어가면 대웅보전의 계단을 올라 왼쪽에 범종각이 자리한다. 이 범종각은 1911년 무렵에는 ‘보신각(普信閣)’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종의 윗부분에는 신라 종에서 보이는 용뉴와 음통이 있다. 용뉴는 용이 정상부의 보주를 물고, 발톱을 세워 종의 상륜부 철판을 붙들고 있는 형태이다.

 

 

 

비천인들은 바로 날아오를 듯

 

용통은 연주문을 돌렸는데, 여섯 단으로 구분을 하고 당초문과 연꽃잎으로 장식하였다. 종의 어깨 부분은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있으며 아래 위가 서로 어긋나게 반원을 그리고 그 안에 꽃과 구슬문양을 새긴 넓은 띠를 두르고 있다. 이 띠는 사각형 모양의 유곽과 한 면이 붙어 있다.

 

사방에 조성한 유곽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연꽃 모양의 유두를 조형했다. 종의 몸체 앞뒤에는 비천상을 좌우에는 삼존상을 새겨 넣고 사방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두었다. 비천상과 삼존상은 모두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인데 금방이라도 날아오를 듯 옷자락이 가볍게 날리고 있다.

 

상대의 경우 신라 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원권 아래위에 서로 교대로 배치하고 그 사이 사이에 당초문양으로 장식을 하였다. 종 밑 입구에 돌린 하대에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어깨띠와는 다르게 연속 된 당초문양으로 장식하여 멋스러움을 더한 것이 이 동종의 특징이 되고 있다.

 

 

 

 

신라 때 조성했다고 후대에 새겨

 

종신의 비천상과 삼존불상의 사이에 추각한 명문에 의하면 이 종을 신라 문성왕 16년인 854년에 주조된 것이라 하는데 이는 종의 형태가 고려양식이라는 점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종에 새겨진 명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성황산(成皇山) 갈양사 범종 한 구 석(釋) 반야(般若)가 2만 5천근을 들여 조성하였다. 금상(今上) 16년 9월 일 사문 염거(廉居) 연기(緣起)

 

종에 새겨진 이 명문은 통일신라 문성왕 16년(854)에 조성된 것이라고 후대에 새긴 글로 추정하고 있다. 국보 제120호인 이 용주사 동종은 용통에 약간 금이 가고 유두가 부서진 것 외에는 보존 상태가 좋으며, 조각한 수법이 뛰어나 고려 종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비천도인은 손목에 묶은 ‘표대’(혹은 복대라고도 한다)를 바람에 날리며 그 표대로 하늘을 날면서 바람의 방향과 이동하는 방향을 알 수 있게 만든다. 생명에 없는 차디 찬 금속에 새겨진 비천도로 인해 종이 생명을 얻는다. 아마 비천인들을 새겨 많은 화공이나 조각을 하는 장인들은 그들 스스로가 하늘을 날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비천도는 범종에 많이 장식되지만, 법당의 천정이나 석등, 부도, 불단, 또는 전각의 외부 단청 등에도 나타난다. 비천은 ‘불국(佛國)’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춘다. 때로는 두 손에 공양물을 받쳐 들기도 하고 꽃을 뿌려 부처님께 공양을 올린다. 천의(天衣) 자락을 휘날리며 허공에 떠 있는 비천상은 도교 설화 속의 선녀를 연상케 한다.

 

 

 

아름다움의 상징 비천인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인 허균의 글에 따르면(2005, 1, 14 불교신문) 2000여 년 전 불교가 인도로부터 중국으로 전래될 때 비천도도 그 뒤를 따랐다고 한다. 불교의 중국 전래의 통로였던 돈황 막고굴 벽에 그려진 비천상은 인도신화의 건달바나 긴나라의 괴이한 모습이 아닌 도교의 여신처럼 우아하고 아름다운 모습이다. 상반신은 배꼽을 드러낸 나체이고 하반신은 비단처럼 부드러운 속옷 차림이다. 표정 또한 요염하고 손동작은 유연하고 섬세하다.

이렇게 매력적인 모습으로 변신한 비천상이 4세기 말경 우리나라 삼국 시대에 불교와 함께 전해졌다. 불교미술에 수용이 된 비천상은 약간의 양식적 변천을 거치며 한국적 비천상으로 정착됐다고 한다. 이후 한국 불교의 모든 곳에서는 비천상이 불교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를 잡으면서 나름대로의 모습으로 정착한 것으로 본다.

 

나는 절마다 찾아다니며 비천도를 유심히 보고 사진에 담는 버릇이 생겼다. 그래서인가 절집에 들리면 먼저 벽화며 탱화에 그려진 비천도를 찾는 것이 일과처럼 되어 버렸다. 그것은 비천도를 잘 알아서가 아니라 그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어느 새 나 자신이 천인이 되어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이다.

 

 

 

비천인상에 빠져들다

 

음악을 전공한 나로서는 부처님을 찬양하는 천인상이라는 비천도가 마음에 와 닿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인가 요즈음 현실적으로 많이 발전한 비천도를 보면 비파를 타거나 횡적을 불거나 아니면 춤을 추는 비천도도 있다. 심지어는 무당춤을 추는 비천도까지 그려질 정도니 나날이 변화를 해가는 천인상인 비천도는 이제 종교의 굴레에서 벗어나 한 장르로 발전을 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그런 비천상을 만날 때마다 달라지는 기분은 스스로의 마음이다. 비천상을 바라보며 느끼는 당시의 느낌이 바로 나란 생각이다. 불교의 교리 하나 제대로 아는 것이 없다. 그저 전각에 들어서면 절로 머리를 조아리고 참례를 한다. 그리고 비천상을 물끄러미 쳐다보기가 일쑤이다. 하늘을 날고 있는 그 비천인의 모습에서 굳이 내 모습을 그려보기도 한다.

 

불국토가 따로 있겠는가? 그 비천상을 따르는 마음 하나가 불국토가 아닐는지. 오늘도 마음 한 자락 허공에 띄워 비천인이 되고 싶은 마음이다. 세속의 답답함을 훌훌 떨쳐내고, 어디론가 겨울 찬바람에 실려 떠나고 싶은 마음이기 때문인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