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부리성, 이름까지도 생소하다. 도대체 어떻게 생긴 성이기에 사적으로 지정이 되었을까? 정읍을 답사하면서 내심 고사부리성을 찾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성은 고부리의 한 편 산에 자리하고 있다고 한다. 성을 들어서는 입구에 안내판이 없어, 몇 번이고 길을 물어 길을 찾았다. 좁은 길목으로 올라가니 대나무 밭이 보인다.

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산1-1 일원에 있는 고사부리성은 해발 132m의 성황산 정상부 두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성이다. 백제시대에 처음으로 축성이 되어 통일신라 때 개축되었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영조 41년인 1765년 읍치가 이전되기까지 계속적으로 활용되었던 성곽이라고 한다.

사적 제494호 정읍 고사부리성
 

토성으로 남아있는 고사부리성

고사부리성은 조선시대 전기까지만 해도 돌로 쌓은 석성이었다고 한다. 조선조 후기에 토성으로 개축이 된 성곽으로 둘레는 1,050m이며, 지표조사 및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문지 3개소, 집수정, 조선시대 건물지 12개소가 확인되었다. 백제시대 ‘상부상항인’이라는 인각와, 기마병의 선각와편, 통일신라시대의 <本彼官> 명문와 등 다량의 기와가 출토되었다.

고사부리성은 잔존상태가 양호한 다양한 유구와 유물 등이 발굴이 되어, 우리나라 고대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북문 터에서 출토된 '상부상항(上部上巷)' 명의 도장이 찍힌 기와는, 공주, 부여지역의 백제유적이나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인각와 등과는 다르게, 수도를 5부로 나누고 각 부를 다시 오항으로 나눈 '오부오항‘의 표시를 한 장방형 모양의 도장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대나무 숲길을 따라 오르는 고사부리성 길

마을 입구에 차를 대고 천천히 길을 걸어 올라가기 시작했다. 대나무 숲을 지나 위로 올라가니, 해발 132m의 산이라고 해도 한 여름 더위에는 숨이 차다. 길은 비로 인해 여기저기 파여 있고, 길가에는 누군가 대를 잘라 놓았는지 대나무가 길을 막는다.

백제의 한 축이었을 고사부리성

숲이 우거져 하늘이 보이지 않는 곳을 지나니 갑자기 앞이 환하게 트인다. 앞에는 석성임을 알 수 있는 비탈진 곳이 보인다. 좌측으로는 성을 관리하는 듯한 건물 한 동이 보이고 안내판이 서 있다. 사적 제494호로 지정이 된 성이다. 그 위 성곽의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보니 이곳에 문지라도 있었던 것은 아닐까? 성곽 위로 오르니 저 아래 마을이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성 위에 오르면 밑으로 마을이 보인다. 성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 

그리 높지 않은 것만 같았던 성이다. 그런데도 시야가 확 트여 있는 것이, 이곳이 성의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성 여기저기에는 주추로 쓰였을 돌들이 흩어져 있다. 북문지에는 석성을 쌓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하나, 성을 돌기에는 넝쿨로 인해 불가능 하다.

백제 때 처음으로 축성을 한 후 조선조 영조 때까지 기능을 다했다는 고사부리성. 그저 어느 마을 뒤편 동산에 쌓여진 흙더미 정도로 보이는 이 성은 학술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이다. 어디를 가나 수많은 문화재가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면, 가슴이 아프다. 말로만 하는 문화사랑과 문화민족이기 보다는, 단 하나의 정신적인 행동으로 보여줄 수는 없는 것인지. 고사부리성을 내려오면서 입구정비라도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다.



건물의 주추였을 것으로 보이는 돌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