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에서 완주군 소양면에 있는 송광사를 찾아 가다가 보면, 26번 도로에 명덕교차로가 나온다. 그곳에서 좌회전을 하여 명덕교를 지나면서 보면, 산에 굴을 파고 지은 듯 한 전각이 보인다. 그 밑으로는 인법당이 있는데, 이 절은 대한불교 조계종 김제 금산사의 말사인 단암사라는 절이다.

 

700년 전에 세운 인법당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688번지에 해당하는 단암사. 앞으로는 내가 흐르고 있어 주변 경관이 그럴 듯하다. 이 단암사는 고려 말에 서암이 창건을 하였다고 하니, 벌써 700년은 되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이 단암사에도, 전북 지역의 모든 사찰을 중건하였다는 일옥 진묵스님이 주석했다고 한다.

 

단암사는 '다남사(多男寺)'라고 했었다는데, 언제 단암사로 고쳐 불렀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말 그대로 이곳에서 치성을 드리면, 아들을 잘 낳았는가 보다. 그런 상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인법당 뒤, 새로 조성한 미륵전 뒤편 바위 굴 안에 미륵입상이 있기 때문이다. 말은 미륵이라고 하지만, 그 형태는 미륵인가는 분명치가 않다.

 

미륵굴 안에 조성한 미륵입상. 700년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색을 입혀 놓았다.

지금은 철재 계단을 조성해 놓앗다. 예전에는 이 계단이 가파라 줄을 잡고 오르내렸다.

 

지금은 굴 앞으로 새롭게 미륵전을 조성하고 뒤편을 유리로 막아놓았다. 적멸보궁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졌는데, 뒤편 바위 위에 조성한 미륵은 색을 입혀 놓았다. 지금은 미륵전으로 오르는 계단을 조성했지만, 예전에는 가파른 바위계단을 줄을 잡고 올라 다닌 흔적이 보인다.

       

많은 전설이 전하는 미륵굴

 

이 단암사 뒤편 미륵전은 깊지 않은 굴처럼 조성이 되었다. 그런데 이 굴에는 전설이 전한다. 예전 이 굴에서는 절의 식구들이 먹을 만큼 쌀이 나왔다. 절에 사람이 많으면 많은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양이 나오고, 식구가 줄면 그 숫자만큼 먹을 수 있도록 쌀이 나왔다고 한다. 그런데 하루는 절에서 일을 하는 공양주가 욕심이, 나서 더 많은 쌀을 얻으려고 굴을 찔러댔더니 쌀이 안 나오고 피가 흘렀다는 것이다.

 

그 뒤 굴 속에서 나오던 쌀은 다시는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선조 25년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병이 단암사 앞을 말을 타고 지나가려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말들이 그 자리에 무릎을 꿇어버리는 것이었다. 왜병의 장수가 이상히 여겨 굴 안으로 들어가 보니, 굴 안에는 서연이 가득하고 미륵불이 현신해 있었다는 것이다. 왜장과 병사들은 하루 동안 그 곳에서 정성을 드리고 나서야 말이 움직였다고 한다.

 

전설이란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아들을 많이 낳는다는 '다남사'라고 불렀던 점이나, 이곳에서 쌀이 나왔나는 전설 등은 모두 이 절이 영험한 도량임을 암시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요즈음 한창 불사를 하고 있는 단암사. 그런데 그 불사를 보는 순간, 그만 어안이 벙벙해지고 만다.

  

미륵전은 굴 앞쪽에 새롭게 조성하였다. 흡사 인법당 지붕 위에 지은 듯하다.

 

새롭게 조성하는 불사로 인해 유명해질까?

 

지난 4월 30일, 송광사를 둘러보고 나오다가 절벽 안에 있는 미륵전을 보고 단암사로 발길을 돌렸다. 밖에서 볼 때는 한창 불사를 하는 것 같았는데, 막상 절 안으로 들어가니 정말 기가 막힌다. 새롭게 조성하고 있는 전각은 목재로 지은 집이 아니다. 커다란 트레일러 적재함 외벽을 방수목으로 둘러 목재집인 듯 보였던 것이다.

 

미륵전을 둘러보고 내려오는데 주지스님인 대명스님이 나오신다. 일을 하는 목수들과 다를 바가 없다. 허리에는 연장 띠를 두르고, 허름한 옷을 입고 불사에 동참을 하고 계시다. 아니, 동참 정도가 아니라 직접 목수 일을 하신다. 트레일러 밑에는 커다란 바퀴들이 그냥 달려있는 대로 고정을 시켰다. 그리고 안과 밖을 목재로 마감을 하고 계시다.

 

"이 건물을 전시실로도 사용하고, 때로는 사람들이 모임도 가지려고요."

"그런데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시게 되었나요?"

"어쩌다보니까. 하하. 이거 유명해질 것 같아요?"

 

목재로 조성하고 있는 전시실

가까이 가서보니 트레일러다. 바퀴도 그냥 달려있는데, 단암사의 새로운 전각으로 바뀌고 있다.

 

조성이 다 끝나면 어떻게 변해있을까? 아마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트레일러 전각이니, 생긴 그대로 유명해질 것 같다. 큰 돈 안들이고 전시장과 방, 그리고 창고까지 해결이 되었다고 호탕하게 웃으시는 대명스님의 모습을 보면서, 아름다움이란 참 별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불사를 마치는 날은 필히 다시 한 번 찾아보겠다고 생각을 하면서 발길을 돌린다. 아마 단암사는 전설과 함께, 색다른 모습으로도 유명해지지 않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