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로 지정이 된 대웅전. 고려 충렬왕 34년인 1308년에 지은 전각이라고 한다. 우리는 국보나 보물이라고 하면 먼저 화려함을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국보 제49호인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우리의 그런 편견을 깨고 있다. 어디에도 칠을 한 흔적이 없이 목재의 속내를 다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수덕사는 백제 위덕왕 재위 시에 창건한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위덕왕은 44년 동안의 재위 기간 중에, 왕흥사라는 호국사찰을 지을 정도로 불교에 관한 많은 문화재를 남겼다. 부친인 성왕이 관산성(지금의 옥천) 전투에서 전사를 하자, 아들 창(위덕왕)은 승려가 되려고 하였으나, 즉위를 하여 왕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 때의 주심포 양식인 대웅전

 

하지만 덕숭산 수덕사는 백제 후기에 숭제법사가 처음으로 절을 창건하고, 고려 공민왕 때 나옹선사가 중창을 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또 다른 기록에는 백제 법왕 1년인 599년에 지명법사가 짓고, 원효가 다시 고쳤다고도 전한다. 덕숭산 수덕사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어 창건연대는 명확하게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대웅전에 대한 기록은 1937년 수리공사 때 발견 된 묵서의 내용으로 인해 고려 충렬왕 34년에 건립된 것으로 밝혀져,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이다.

 

수덕사 대웅전은 잘 다듬은 8단의 바른 돌쌓기로 쌓은 장대석 위에 올려 세웠다. 양편으로는 난간을 놓은 계단이 있으며, 건물은 고려 때의 양식인 주심포 양식이다. 정면 3, 측면 4칸 규모의 맞배지붕으로 꾸민 대웅전은, 사각형의 자연석 주초를 이용했다. 기둥은 배흘림 기둥으로 조성했으며, 정면에는 빗살 삼분합문으로 꾸몄다.

 

 

단청을 하지 않은 고졸한 건축양식

 

국보라서 칠을 하지 않았나?”

아냐, 국보도 칠을 한 것이 있던데

그럼 왜 이렇게 그냥 놓아두었지? 이러면 오래가지 않을 텐데

 

대웅전을 구경하던 관광객들이 하는 말이다. 요즈음은 주말을 맞아 관광지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많아 전문가가 아니라고 해도 점점 문화재에 관심이 높아진 듯하다. 수덕사 대웅전은 단청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더욱 고졸한 멋을 풍긴다.

 

9일 오전에 찾아간 수덕사 대웅전에는 수능을 볼 자녀들을 둔 부모님들이 찾아들어 열심히 절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괜히 대웅전 안으로 들어가기가 부담스럽다. 남들이 열심히 자녀를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데 방해라도 될까해서이다.

 

 

조성을 한 형태가 아름다운 수덕사 대웅전, 맞배지붕 안으로 보이는 장식적인 요소가 색다르다. 대웅전 뒤편으로 돌아가니 3칸 벽면에 모두 문을 내었는데 양편에는 문을 장식하고 가운데만 널문을 달았다. 외부로 나타난 목재는 그대로 나무의 재질이 들어나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운 모습이다.

 

백제계통의 목조건축 양식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는 수덕사 대웅전. 건축 당시의 나무가 간직하고 있는 세월의 흔적이 그대로 느껴지는 대웅전 안을 들여다본다. 중앙에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좌우에 아미타와 약사불을 협시불로 모셔놓았다.

 

대웅전 안에는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세운 서원을 위해 열심히 절을 하고 있는데, 사진을 찍기가 죄스러워 카메라만 만지작거리다가 뒤돌아선다. 돌계단을 내려오면서 만난 신라 때 원효대사가 중수했다고 전해지는 삼층석탑에도 누군가 합장을 하고 열심히 탑돌이를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람들은 단풍이 짙게 든 경내에서 여기저기 모여 사진촬영을 하기에 바쁜데, 천년세월을 그렇게 버텨 온 고졸한 멋을 풍기는 대웅전은 오늘도 말없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