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는 그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가치를 부여받는다. 하지만 그런 용도와는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섬김을 받는 나무들이 있다. 바로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어 있는 나무들이다. 우리나라에는 많은 종류의 나무들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이 나무들은 학술적으로도 매우 소중하기 때문에 보호를 받아야할 소중한 가치를 갖는 것이다.

 

나무 한 그루가 360년 세월동안 한 곳에 서 있다. 그렇다면 이 나무는 주변에 사람들이 벌써 10대 이상을 바뀌는 모습을 보고 있었다는 뜻이다. 말을 하지 못해 우리에게 지난 사람들에 대해 고변을 할 수는 없지만, 아마도 꽤 많은 이야기꺼리를 갖고 있지나 않을까?.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149-2 웅지마을 뒤편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470호인 전곡리 물푸레나무의 이야기이다.

 

 

이 나무 임신한 것 아니오?

 

전국을 다니면서 크고 작은 나무들을 보았다. 물론 그 나무들은 모두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는 나무들이다. 그런데 11일 화성에서 만난 이 물푸레나무는 조금은 사람을 황당하게 만든다. 나무가 마치 임신을 한 듯하다. 굵은 줄기 중간에 속이 들여다보이는데 그곳에 줄기 같기도 하고 뿌리 같기도 한 것이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은 우리가 알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지만, 이런 경우는 도대체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6,25 한국전쟁 때까지만 해도 마을 사람들이 동신제를 지낸 나무라고 한다. 가뭄이 들어 비가 오지 않으면 이 나무에 정성스럽게 기우제도 지냈다는 것이다.

 

 

전곡리 물푸레나무는 수형이 아름답다. 나무의 높이는 20m 정도에 밑동의 둘레는 거의 5m 가까이 된다. 가지는 동으로 10m 정도, 서쪽으로 6.3m, 남으로 5m, 북으로 8.3m를 뻗어 동서로 16m, 남북으로 13.3m 정도를 뻗고 있다. 각종 농기구나 생활용품의 재료로 사용하던 물푸레나무, 여름철 입을 실하게 달고 있는 나무를 찬찬히 돌아본다.

 

잡풀 무성하고 관리도 하지 않는 듯

 

물푸레나무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자라는 키가 큰 나무로, 목재의 재질이 단단하여 괭이자루 등 각종 농기구와 생활용품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나무껍질은 건위제나 소염제 등의 한방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농촌에서는 여러 가지로 쓰임새가 많은 나무가 바로 물푸레나무이다.

 

 

전곡리 물푸레나무는 보기만 해도 압도당한다. 우선 거대한 밑동의 둘레도 그렇지만 실하게 잎을 달고 있는 나무가, 상당히 생육이 좋아 보이기 때문이다. 2년 전 이 나무를 만났을 때는 11월 말이라 나뭇잎을 달고 있지 않았다. 이런 나무를 마을에서 신성시 하는 것도, 이 나무를 잘못 대했다가 예전에 혼을 난 일이 있다고 전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석연휴가 끝난 11일 찾아간 전곡리 물푸레나무는 한 마디로 실망스럽다. 마을에서 신성시 했다는 것 외에도, 이 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는 나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무 주변은 잡풀이 무성해 안내판에 접근하기조차 어렵다. 나무를 촬영하려고 주변을 돌아보아도 높다랗게 자라난 잡풀이 발목을 붙들고는 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전곡리 물푸레나무, 어째 이렇게 관리들을 하고 있는 것일까? 항상 이유는 많다. 비가 많이 와서 풀을 미처 베지 못했는데 갑자기 풀이 자랐다. 추석연휴가 끝나면 정리를 하려고 했다. 언제나 판에 박은 이런 핑계들을 댄다. 하지만 문화재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그런 이유를 다 이해를 하고 다닌다고 생각을 하는 것일까?

 

360년이라는 긴 시간을 마을을 굽어보며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전곡리 물푸레나무. 앞으로도 이 나무가 얼마를 더 이 마을을 지키며 살아갈 것인지 아무도 가늠할 수 없다. 하지만 그런 것은 이 나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을 때라야 가능한 이야기이다. 담당 관청에서는 소중한 천연기념물임을 깨닫고 주변 정리를 속히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