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m 정도에, 길이는 10m. 그 위에서 20여분을 줄 위에서 내려오지 않는 줄광대는, 온갖 묘기를 다부린다. 줄 위를 바라보며 목을 있는 대로 뺀 구경꾼들은, 자칫 광대가 줄 위에서 발이라도 삐끗할작시면 바로 탄성이 터져 나온다. 악사들은 장단을 덩덕쿵~ 치면서 흥을 고조시킨다.

 

줄타기는 승도(繩度), 주색(走索), 색상재(索上才), 답색희(沓索戱), 고무항(高舞恒), 희승(戱繩), 항희(恒戱)등의 어려운 명칭을 갖고 있다. 남사당패의 놀이 중에서도 가장 흥겨운 판이 바로 줄타기이다. 줄타기는 대개 관아의 뜰이나 대갓집의 마당, 놀이판이나 장거리 등에서 많이 연희가 되었다.

 

 

가끔은 절 마당에서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절 걸립을 시작하거나 마쳤을 경우에 펼쳐진다. 줄을 타는 줄광대를 어름산이라고 부른다. ‘산이란 경기도 지역에서 전문적인 연희 꾼을 일컫는 말이다. ‘어름이란 줄 위에 올라가 줄을 어른다는 뜻을 갖고 있다. 또 하나의 속설에는 얼음판처럼 위험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라고도 한다. 즉 어름산이는 얼음산이라는 것이다. 그만큼 줄타기는 항상 생명을 걸어놓고 위험한 연희를 하게 된다.

 

판줄과 토막줄로 구분되는 줄타기

 


우리나라의 줄타기는 대령광대(待令廣大)계열인 나례도감에 소속된 줄광대는 유한계층을 대상으로 연행하는 재인청 '광대줄타기'가 있다. 또한 유랑예인계열의 서민 계층을 대상으로 순연하는 남사당 여섯 마당 중 하나인 '얼음줄타기'가 있다.

 

줄타기를 할 때는 줄광대인 어름산이와 재담을 맞받아주는 어릿광대
, 그리고 음악을 연주하는 악사가 함께 한다. 어릿광대가 없을 때는 악사 중에 한 사람이 재담을 받아주기도 한다. 줄광대가 어릿광대와 악사 등을 두루 갖추고, 줄 위에서 재담과 춤, 그리고 줄 위에서 하는 40여 종의 잔놀음과 살판까지 하면 판줄이라고 부른다.

 

어릿광대 없이 줄광대 혼자 재담과 잔놀음을 간단하게 노는 것을 토막줄이라고 한다. 하지만 줄을 타는 어름산이에게는 판줄이나 토막줄이나, 그 위험은 항상 같을 수밖에 없다. 하기에 줄 위에 오르고 나면, 잠시도 긴장을 늦추지 않게 된다.

 

어째 춘향이는 하나도 보이지 않소

 

국가지정 명승인 남원 광한루원 안에 자리한 놀이마당. 14일과 15일 오후에 놀이마당 주변에는 사람들로 만원이다. 사람들 틈 사이로 흰 등걸잠방이를 입은 사람 하나가 널을 뛰듯 위로 솟구친다. 줄광대가 줄을 타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 틈을 비집고 안으로 들어가려는데, 좀처럼 자리를 내어주지 않는다. 서로가 가까운 곳에서 묘기를 보려고 하기 때문이다.

 

내가 한국에 있는 줄광대 중에서는 그래도 인물이 나만한 사람이 드믈지. 이나저나 춘향제에 와서 춘향이 얼굴이라도 한 번 보고 가려고 했더니 어째 춘향이는 하나도 없는 것인지 모르겠소.”

 

 

줄 위에 올라앉아 구경꾼들을 보고 하는 소리다. “어디 춘향이 없소?”하고 소리치니, 구경꾼들 틈에서 한 여인이 손을 든다. “아줌마가 무슨 춘향이요, 월매구만구경꾼들이 소리를 내며 웃는다, 줄 위에 올라 선 광재는 연신 재담을 섞어가면서 사람들을 즐겁게 만든다. 이런 재담은 주로 민초들을 대상으로 하는 남사당패의 어름줄타기에서 많이 나타난다.

 

양반가의 마당 등에서 연희를 하는 광대줄타기는 재담이 없이 단순히 줄만 타고 내려온다. 광대줄을 타는 어름산이들은 그 기능이 어름줄타기를 하는 줄광대보다 뛰어났다고 한다, 아무래도 양반을 상대로 농지거리를 할 수 없으니 기능이 더 뛰어나야 박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여 분 줄 위에서 갖은 기능과 재담을 섞어가면서 줄을 나는 줄광대는 마지막으로 줄 위에서 솟구쳐 오르면서 몸을 180도 회전시킨다. 보는 사람들은 절로 탄성을 지른다. 20여분의 주라기 공연을 마치고 내려오는 줄광대의 옷은 더운 날씨에 땀으로 흥건하게 젖어 몸에 붙어있다. 이제 20대 중반으로 보이는 줄광대지만 그 기능은 어느 누구 못지않은 듯하다. 이름이라도 알아보려는데 어느새 옷을 훌훌 벗고 있다. 30도를 웃도는 날씨에 줄을 탔으니 오죽하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