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오후 1, ()한국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상국)에서는 경기도 화성 향남2지구 동서간선도로(요리)에서 긴급 학술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향남2지구 발굴지역의 현장설명회는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시행하고 있는, 경기도 화성 향남2지구 동서간선도로(H지점) 발굴 문화재의 현장설명회이다.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이 현재까지 조사 결과 미리 흑이나 돌로 봉분과 같은 분구를 조성하고 그 위에 매장시설을 만드는 무덤양식인 분구묘 1기와, 덧널무덤인 목곽묘 1기 등이 확인되었으며, 내부조사가 진행 중인 목곽묘를 중심으로 공개했다.

 

 

덧널무덤인 목곽묘에서는 금으로 만든 모자인 금동관모와 금동으로 만든 신발인 금동식리’, 금으로 만든 귀고리인 금제이식과 둥근 고리가 있는 고리자루 칼인 환두대도등의 장신구가 출토되었다. 또한 말을 탈 때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만든 안장에 달린 발 받침대인 등자와 재갈을 비롯한 마구류, 화살을 휴대하기 위해 담는 통인 성시구 등 다양한 유물이 부장되었다.

 

특히, 내부에서 꺾쇠와 관못이 정연하게 확인되어 목곽 내부에 안치했던 목관(木棺)의 결구(結構)와 제작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학술자료들을 확보하게 되었다.

 

 

백제 때 주요 거점지역으로 추정돼

 

이번에 출토된 금동관모의 외면에는 삼엽초화문을 면을 도려내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법인 투조로 되어 있으며, 일정한 폭을 가진 띠 모양인 대륜부의 내면에는 자작나무 거질인 백화수피제 내관이 들어있어 현재 긴급 보존처리 중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금동관모의 양상은 공주 수촌리 1호 토광묘,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합천 옥전 23호분 출토품과 유사하여 금동관모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에 해당한다. 또 꺾쇠와 관못을 사용한 목관의 결구 방법은 공주 수촌리 고분군과 비교할 수 있다. 목곽의 모서리에 덩이쇠인 철정을 매납하는 방법은, 오산 수청동 고분군, 서산 기지리와 부장리 고분군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목곽묘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금동식리, 환두대도 등의 유물은 45세기 경기도 화성 지역이 백제의 지방 주요 거점지역이었음을 알려주는 최고의 위세품(威勢品)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기 지역에서 최초로 출토되었다는 점에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분구묘는 김포에 이어 두 번째

 

현재 내부조사 예정인 분구묘의 경우, 경기 지역에서는 김포 지역(김포 운양동과 양곡 양촌 유적)에 이어 두 번째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내부조사가 완료될 경우 분구묘의 축조과정, 확산과정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학술적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조사지역이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요리 주변은 길성리토성을 비롯하여, 소근산성 등의 관방유적(關防遺蹟)과 마하리와 당하리 고분군, 발안리 마을유적, 기안리 제철유적 등 삼국 시대 대규모 유적군이 발굴된 바 있어, 지정학적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었음이 다시 확인된 것이다.

 

특히, 1930년대 일괄출토품으로 신고되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금구(허리띠 장식품), 환두대도, 각종 마구류 등이 출토된 화성 사창리 산 10-1번지 유적은 이번 조사지역과 불과 100m 거리 내에 있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목곽묘에 대한 마무리조사와 분구묘에 대한 내부조사를 통해, 4~5세기 백제의 중앙과 지방 세력 간 정치적 관계를 구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사진 문화재청)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