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슬이 퍼런 작두위에 올라섰다. 그리고 많은 단골들에게 별상님이 하는 말이다.

내가 다들 도와주마 어려워도 걱정하지 마라

6, 수원시 팔달구 창룡문로 56번길 18호에서 이른 아침부터 맞이굿이 열렸다. 맞이굿이란 신을 모시는 무당이 자신을 따르는 단골들의 일 년간의 안녕을 위해 신에게 정성을 드리는 굿을 말한다. 맞이굿은 제물을 쌓아놓고 신에게 드린다고 해서 진적굿이라고도 한다.

 

아침부터 시작한 굿은 밤 11시가 넘어서 끝났다. 그 안에 들락거린 단골들만 해도 족히 200명은 넘을 듯하다. 전안(무당들이 신을 모셔 놓은 곳)에서 시작한 굿은 마당에 차려놓은 천궁맞이 상으로 이어진다. 천궁맞이란 선계인 하늘에 있는 신령들을 맞이하는 자리이다. 여기서 무당은 용사슬을 탄다. 용사슬이란 물동이에 물을 가득 담고 그 위에서 뛰는 것이다. 무당 스스로 제물이 되는 행위이다.

 

 

날선 작두 위에서 주는 공수는 영험하다고

 

전안으로 들어가 굿을 이어간다. 하루 종일 사람들은 상을 받는다. 굿판에서는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그저 누구라도 들어오면 한 상 차려 내어놓는다. 굿은 열린축제라고 한다. 굿판을 찾은 사람들은 빈부귀천 남녀노소를 따지지 않는다. 그만큼 열러있는 곳이다. 지금은 이렇게 차리고 굿을 하는 집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고성주(, 60)씨의 굿은 남다르다. 넓은 전안의 수미단(신령들을 모셔 놓은 곳의 앞에 조성한 단으로 음식 등을 놓을 수 있는 곳)에는 온갖 과일 등이 차려져 있다. 그 제물만 해도 엄청나다. 누구라도 이렇게 차리기가 쉽지가 않은데, 일 년에 두 번을 봄, 가을로 차리고 굿을 한다.

 

 

전안의 굿이 끝날 때쯤 별상이 접신이 되었다. 밖으로 나가 작두 위에 오른다. 날이 시퍼렇게 선 작두는 보기만 해도 소름이 끼친다. 그 위에 올라서 오방기를 뽑게 하고 공수를 준다. 굿판에서는 작두 공수가 가장 효험하다고 한다. 한 사람씩 공수를 주고 난 다음 마당에 모인 단골들에게 내가 도와주마 걱정하지마라라고 한다.

 

열린 굿판 축제가 따로 없네.

 

사람들은 수없이 들락거린다. 그 많은 사람들이 올 때마다 일일이 상을 차려 내어 놓는다. 굿판에서는 배불리 먹어야 한단다. 신령이 좋아하는 일이란다. 부엌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은 힘이 들만도 한데, 모두가 얼굴에는 미소가 가시지 않는다.신령이 참 좋기는 합니다. 이렇게 힘든 일을 하면서도 어떻게 저렇게 웃으면서 할 수 있는 것인지. 저 분들 모두 복 받으실 겁니다.”

음식을 먹으면서 단골 한 사람이 하는 말이다. 그만큼 고성주씨의 맞이굿판에는 먹거리가 넘쳐난다.

 

굿판에는 장고, 피리, 대금. 아쟁을 연주하는 악사 4, 그리고 고성주씨와 신딸들을 비롯해 8명이 참여를 했다. 이들이 돌아가면서 굿을 한다. 밤이 되자 텃대감거리가 시작되었다. 이 집의 텃대감님은 참 드세단 생각이 든다. 단골들이 모두 대감쾌자를 입고 얼굴에는 검뎅칠을 하고 지하로 내려간다.

 

 

안택굿의 보존을 위해 문하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고성주씨의 집에는 지하실에 24, 2층에 34평의 연습실이 있다. 이곳에서는 꽹과리를 치고 난리법석을 떨어도 밖으로 소리가 새어나가지를 않는다. 마음껏 뛰고 난리들을 친다. 그리고 다시 전안으로 들어와 서낭과 뒷전을 한다.

 

아침부터 시작한 굿이 밤 12시가 다 되어서 끝이 났다. 그리고 전안에 차려놓은 음식들을 모두 싸서 단골들에게 골고루 나누어준다. 복을 골고루 나누어준다는 의미가 있단다. 사람들은 그렇게 봉송이라는 제물을 나누어 갖고 돌아가면서 흐뭇해한다. 열린축제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게 한 굿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