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재란 말이 쉬어간다는 곳이다. 남양주 다산 정약용의 유적지에서 5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1760년 경기도 광주 마재에서 진주 목사였던 정재원의 아들인 정약종(아우구스티노)과 다산 정약용(요한) 정약전, 정약현 등이 선조 28년인 1595년 마태오 리치가 펴낸 한역서학서인 <천주실의>를 읽고 천주 신앙을 받아들인 곳이다.

 

마재성지는 103위 순교성인이신 성 정하상(바오로)과 성 정정혜(엘리사벳) 남매의 탄생지이다. 일반적으로 성지란 순교한 장소인데 비해, 마재는 한 가정의 신앙 출발지라는 점이 다르다. 신유박해 때 정약종은 참수형을 당했고, 정약전은 정약용과 함께 귀양을 떠났다. 이 마재의 형제 중 정약전은 진주목사 정재원의 둘째아들이다.

 

 

독실한 천주신앙의 가문

 

정약전은 흑산도로 유배되었으나 그 곳에서 1814년에 <자산어보>를 저술, 한국 최초의 어류생태서를 완성했다. 그는 평생 이곳을 벗어나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다산 정약용은 조선후기 실학자로 각종 사회 개혁사상을 제시한 개혁가로도 유명하다. 천주교를 가까이 했다는 이유로 유배당했지만 유배기간동안 학문에 더욱 힘써서, <일표이서>를 비롯한 500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조선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 한 사람 강화도 출신인 황사영이 있다. 황사영은 1790년 정조 14, 16세의 나이로 사마시에 합격해서 진사가 되었으나 천주교에 입교를 한 후 관직에 나아기지 않았다. 정약현의 딸 명련과 혼인하셨으며, 정약용에게 교리를 배웠고 주문모 신부를 만난 다음 측근으로 활약하다가 1798년 아현동으로 옮겨 활동을 했다.

 

 

그는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충청북도 제천의 배론으로 피신, 그곳 토굴에서 박해받는 조선교회의 참상을 알리고자 북경주교에게 보내는 장문의 편지를 썼는데 이것이 그 유명한 황사영백서이다. 북경 동지사 편에 끼어 보내려고 했던 이 편지는 도중에 발각되어 92일 체포되었다. 서울로 압송된 황사영은 능지처참 형을 받았다. 아내인 명련과 아들은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마재성지를 돌아보다

 

마재성지는 딴 곳의 성지에 비해 그리 큰 편은 아니다. 한옥으로 지은 성당에는 나의 주님, 나의 하나님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그리고 건너편에 마재성지가 자리한다. 마재성지 안으로 들어서면 좌측 편에 사무실이 있고, 103위 성인들의 그림과 정약용 일가를 상징한 듯한 모임을 하고 있는 인형들이 보인다.

 

 

 

마재성지의 정씨 형재 중 정약종의 업적 가운데는 최초로 한글교리서인 <주교요지>가 있다. 주교요지는 모두 43쪽으로 된 한글교리서이다. 이렇게 정약종의 형제들이 어릴적부터 천주의 가르침대로 살아가기 위해 노력을 했던 터전. 성지 안에 조형물로 세운 칼 십자가 상이 있다.

 

정약종이 잡혀가기 얼마 전에 그의 몸에서 무수히 많은 작은 십자가들이 빛나는 것을 본 교우가 약종이 맞게 될 수난의 증표라고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그러한 많은 작은 십자가를 입힌 칼 십자가 상은 바로 정약종의 꿈을 형성화 한 것이다. 형리가 그의 목을 베기 위해 나무 형틀 위에 머리를 대라고 하자 땅을 내려다보면서 죽는 것 보다는 하늘을 올려다보면서 죽는 것이 낫다며 바로 누워서 형을 받았다고 전한다.

 

 

입구에서 우측으로는 십자가의 길 14체가 조성이 되었으며, 좌측동산 길은 마재 명상길이다. 성지를 한 바퀴 돌아본다. 박해 때마다 목숨을 잃은 수많은 사람들. 요즈음 사람들은 과연 그런 고통을 이겨내면서 자신의 종교를 지킬 수가 있기는 할까? 어쭙잖은 모습으로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성인인체 하는 무리들이 가여워지기까지 한다.

 

화성을 축성할 때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던 다산 장약용. 그의 흔적을 찾아보기 위해 들렸던 다산유적지. 그리고 그가 태어났던 천주신앙의 가족발상지인 마재성지. 어찌 보면 다산이 그 많은 저서를 남긴 것도 이런 믿음이 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마재 명상 길을 걸어보면서 세상의 모든 번뇌를 내려놓고 싶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