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이른 아침부터 부산을 떨었다. 오랜만에 답사를 하리라 마음을 먹었기에, 모든 일을 젖혀두고 길을 나섰다. 오늘의 일정은 안산시 상록구 초지동에 위치한 조선 초기에 쌓은 평산성인 별망성지를 돌아보기 위해서였다. 수원 화성을 늘 돌아보면서 전국에 있는 성곽을 다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었지만 그리 쉽지가 않다.

 

그래도 4~5년 전에는 한 해에 5곳 이상의 성을 돌아보았으나, 이제는 고작 1년에 한 두 곳 밖에는 돌아보지 못한다. 그만큼 하는 일이 바빠진 것인지, 아니면 게으름을 떠는 것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매일 바쁘게 사는 것을 보면 게으름을 떠는 것은 아닌 듯하다. 경기도 기념물 제74호인 별망성지는 새로 복원을 한 곳이다.

 

 

바다에 근접해 있는 평산성

 

예전 별망성이 있던 곳을 여곶또는 초지영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별망성은 바다에 근접해 있는 야산의 능선을 연결하고, 남쪽으로는 해안에 닿아 평지를 감싸 안으며 축성이 되었다. 별망성은 선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축성한 해안 평산성이다. 별망성은 15세기 이전에 이미 축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별망성은 조선 초기 남양만을 거쳐 해안으로 침입하는 외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쌓은 성이다. 그렇기에 높지 않은 산에서 바닷가까지 성을 잇대어 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조 초기의 기록에 이곳에 수군만호영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적고 있다. 초자양영은 효종 7년인 1656년에 강화도로 옮겨 가면서 폐지되었다.

 

 

1988225m를 복원 해

 

별망성지라는 안내판에 보인다. 별망성을 오르는 입구 주차장에는 차 한 대 댈 공간이 없다. 근처에 공사장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곳에 일을 하러 온 사람들의 차인 듯하다. 차를 피하여 계단을 오른다. 그저 얼마 오르지 않아 성벽의 안에 쌓은 토축이 시야에 들어온다. 둘레가 1,040m에 성벽의 높이는 1.2~2.1m이었다고 기록에 보인다.

 

이렇게 남아있던 성벽도 6,25 한국동란을 거치면서 대부분 파괴되었던 것을, 1988년에 일부 복원을 하였다. 현재의 성벽은 복원한 것으로 길이가 225m에 높이 1.45m 정도이며, 지형에 따라 높낮이가 약간씩 차이가 난다. 성벽은 바깥벽은 수직에 가깝게 쌓았으며 안쪽은 완만하게 흙을 다듬어 토축으로 쌓았다.

 

 

계단을 오르니 이곳에 별망성이 있었음을 알리는 비가 한 기 보인다. 앞으로 나아가니 치성이 돌출되어 있다. 성 위를 걸어 한편 끝으로 나가 성 밖으로 걸어보았다. 높지 않은 성벽은 그저 편안히 걸을만한 그러한 길이다. 복원한 성벽에는 두 곳의 치성이 보인다. 한편은 성이 해안으로 내려가는 곳에 있어 시야를 확보하기에 편하게 조성하였다.

 

250년 정도 존속했던 별망성

 

이 성 안에는 군대가 머물렀던 60정도의 편평한 터가 있었으며, 그 언저리에서 자기와 조각이 많이 흩어져 있었다고 한다. 여러 가지 문헌 자료나 기록으로 볼 때 조선조 초기에 축성된 것으로 보이는 별망성. 17세기 중엽에 폐기되기까지 약 250년 정도 서해안의 방어를 담당하던 중요한 성이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잘 모르고 사는 경우가 허다하다. 수원의 화성은 세계문화유산이요 사적이기도 하다. 수원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그 화성을 보고 감탄을 금치 못하는데 비해, 수원에 살고 있는 사람들도 그러할까? 그 점은 늘 의문으로 남는다. 성벽을 돌아보면 주변에 산재한 쓰레기들과 반려견의 분비물들이 널려있다.

 

이런 것들을 보면서 아직 시민의식이 멀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쓰레기는 외지에서 찾아 온 사람들이 버리고 갔다고 쳐도, 반려견의 분비물은 어떻게 설명을 할 것인가? 심지어는 사적 안에 버젓이 반려견을 끌고 다니는 사람들을 보면서, 참 저 정도면 시민의식이 아예 실종된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아침 일찍 찾아간 별망성지. 수원 화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는 시간이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