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36호인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彌勒谷 石造如來坐像)’,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66-2에 소재하고 있다. 신라시대의 보리사 터로 추정되는 곳에 남아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전체 높이 4.36m, 불상 높이 2.44m의 석불좌상으로, 현재 경주 남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불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뒤편에 조성한 광배의 뒷면에도 선각으로 된 약사여래불을 조성했다. 광배 뒤편에 새긴 약사여래불이 처음부터 조성을 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이렇게 앞으로는 석조여래좌상을 조각하고 뒤편에도 선각으로 약사여래불을 조성한 경우는 보기 드문 예이다.

 

마귀를 쫓는 항마촉진인의 내력

 

이 석조여래좌상의 머리칼은 작은 소라 모양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높게 솟아 있다. 얼굴은 둥근 편인데 은은한 웃음을 띤 표정이 사람의 마음을 푸근하게 만든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나 힘없이 축 늘어진 느낌이며, 군데군데 평행한 옷 주름을 새겨 넣었다.

 

결기부좌를 한 형태로 좌정한 석조여래좌상의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로 향하고 왼손은 배 부분에 대고 있다. 이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인데 다소 연약해 보인다. 옛날 석가모니가 성불하기 전에 정각산의 선정굴에서 내려와, 보리수 아래 앉아 결가부좌하고 다시 선정에 들어갔다.

 

 

선정에 든 석가모니를 본 제6천의 마왕 파순은, 만약 석가모니가 성불하여 부처가 된다면 일체의 중생이 구제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석가모니가 성불을 하고나면 마왕의 위력이 중생들에게 못 미친다고 생각을 해, 염욕, 능열인, 가애락이라는 3인의 미녀를 보내어 석가모니를 유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번번이 성공하지 못하자 마계의 모든 군사를 동원했다. 마왕 파순은 칼을 석가모니에게 겨누면서 "비구야, 나무 아래 앉아서 무엇을 구하는가. 너는 신성한 금강보좌에 앉을 자격이 없는 자이다." 라고 소리쳤다. 이 말을 들은 석가모니는 "천상천하에 이 보좌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나 한 사람뿐이다. 지신(地神)이여 이를 증명하라." 고 하면서 선정한 오른손을 풀어서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향했다.

 

그러자 지신이 땅에서 튀어나와 마왕 파순을 물리치며 석가모니의 말을 증명하였는데, 이 때의 수인이 바로 항마촉지인이다. 항마촉지인은 항마인, 촉지인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이 수인은 오직 석가모니만이 취하는 수인이다.

 

마귀는 쫓고 중생은 고치고

 

불상의 뒤편에 조성한 광배는 장식적이다. 광배에는 작은 부처상인 화불과 보상화, 넝쿨무늬 등을 화려하게 조각을 하였다. 광배 뒤편에 선각으로 약사여래불을 조성한 경우는 밀양 무봉사와, 남원 만복사지 석불입상 등에서 보이는 특이한 경우이다.

 

 

경주 남산 미륵곡 보리사 터에 소재한 석조여래좌상. 전면은 항마촉지인을 한 여래좌상이 세상의 악한 기운을 쫓고, 뒤편에는 약사여래불을 조성해 중생을 질병에서 구제하고 있다. 이렇게 앞뒤로 조성한 석가여래와 약사여래로 인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편해지기를 바란 것일까?

 

내년 봄, 꽃이 피는 계절이 돌아오면 날을 잡아 경주일대를 한 번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는다. 남산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수많은 부처님들을 만나보기 위해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