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한국민속촌. 우리나라 사람은 물론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이곳 한국민속촌 한편에 절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그리 흔치가 않다. 사람들은 이 절을 찾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는 길을 찾아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금련사는 사계절에 다 아름답다. 하지만 가을에 만나는 금련사는, 그 정취부터 남다르다. 민속촌을 찾아갈 때마다 가장 먼저 들리는 곳이 금련사인 이유도, 알고 보면 가을을 가장 아름답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민속촌의 왁자한 사람들 틈에서 벗어나 조용히 사색에 젖기 좋은 곳, 금련사는 바로 그런 곳이다.

 

 

널린 낙엽 밟는 소리가 행복한 곳

 

무봉산 금련사라는 일주문을 지나면 낙엽 길이 있다. 가을이 되면 이곳을 찾아 낙엽 밟는 재미를 느끼고는 한다. 그저 일부로 그리 펼쳐놓은 것은 아니지만, 발을 땔 때마다 바스락이는 소리가 즐겁다. 그렇게 걸음을 옮기다가 보면 천왕문을 만나게 된다.

 

금련사는 아미타여래를 주불로 모시고 있는 절이다. 그 외에 우리의 토속신인 칠성과 산신을 함께 봉안해 놓았다. 아미타여래는 서방정토의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으로, 부처를 믿고 염불하면 죽은 뒤에 극락정토에 태어나게 된다고 전한다. 아미타불은 한국 불교에서 가장 뿌리가 깊고 광범위하게 민중의 신앙심을 이끌어온 신앙의 대상이다.

 

 

칠성은 인간의 수명장수를 관장하는 신이며, 산신은 산중의 수호신으로서 영력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무리 작은 산이라고 해도 산신이 있다고 한다. 하기에 과거에는 마을마다 정월이나 음력 10월에 정성을 다해 산신제를 올리고는 했다.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과거 마을 공동체 제의식의 하나이다.

 

대전 유성의 절을 옮겨와

 

금련사 법당인 극락보전(極樂寶殿)은 외 7, 9포의 다포전각이다. 이 극락보전은 조선말기에 대전광역시 유성에 세워졌던 사찰의 법당을 이건한 것이다. 원래 화려한 금단청 (錦丹靑)이었으며 이건 후 외부만 개채(改彩)하고 내부는 원래의 단청을 그대로 두었다.

 

 

금련사 경내에는 일주문과 객사인 하마정, 사천왕을 모신 천왕문, 운판과 목어, 북이 달려 있는 자금광루,종각, 법문을 펴는 안심료, 칠성신 모셔진 칠성당, 아미타불이 모셔진 극락보전, 산신이 모셔진 산신각, 요사채인 염불당과 수광당 등의 건물과 돌장승, 부도, 삼층석탑, 석등, 돌당간, 돌수조, 연못 등이 있다.

 

깊은 가을 속으로

 

가을이 깊었다. 가을만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병을 갖고 있는 사람이다. 그저 한 자리에 있다는 것이 미안스러울 정도로 나돌기를 좋아한다. 춥지도 덮지도 않은 가을, 기거다가 아름다운 단풍까지 물들어 있다. ‘금상첨화란 바로 이런 계절을 일컫는 것이나 아닌지. 그래서 가을이 되면 가까운 곳이라도 찾아 나선다.

 

 

금련사. 참 크지는 않지만 가을을 마음껏 느낄 수 있는 절이다. 그리고 산사의 분위기까지 그대로 안아올 수가 있어서 더욱 좋다. 이 가을을 미처 느껴보지 못했다면, 한국민속촌의 금련사를 찾아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곳에 가을이 무르익어 있을 테니까.

최신 댓글